오리(梧里) 이원익 종택(李元翼 宗宅)과 충현박물관(忠賢博物館) 오리(梧里) 이원익 종택(李元翼 宗宅)과 충현박물관(忠賢博物館)을 찾았습니다.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1086번지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이원익의 종가와, 집안의 유물들을 보관, 전시해둔 충현박물관의 입구로 별도의 입장료가 있어야 들어갈 수 있습니다. 입구를 들어서면 오른쪽에 있는 충현박물관(忠賢博物館)으로, 2003년 5월 1일 설립한 이원익의 종가(宗家)박물관으로 대지 면적은 11,637.2㎡, 건물면적 2,216.04㎡로, 내부에는 전시실과 수장고, 연구실, 교육실 등이 있습니다. 이곳 박물관 일대는 이원익이 말년에 여생을 보내던 곳이라고 합니다. 충현박물관은 이원익의 13대 종손인 이승규(李升圭)와 종부인 함금자(咸金子) 부부가, 종가의 생활 모습을 통하여 급변하는 세태 속에서도 조선시대의 충·효, 청백리 정신 등의 정신문화를 보급하고자 설립하였으며, 2003년 5월 재단법인 충현문화재단의 설립 후, 2003년 10월 24일 충현박물관을 개관하였습니다. 2004년 8월에는 경기도 테마 박물관으로 지정되기도 하였습니다. 충현박물관에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청백리(淸白吏) 재상인, 오리 이원익(梧里 李元翼)과 그의 직계 후손들의 유적 및 유물이 보존되어 있는데, 전시관에는 이원익의 초상화, 친필, 교서, 문집 등을 비롯하여 그의 후손들이 남긴 고문서, 목가구, 제기, 집기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인조가 이원익에게 하사한 관감당(觀感堂)의 현판으로, 관감(觀感)이란 "보고 느끼다"라는 뜻으로, 인조가 "내가 집을 하사하는 이유는 신민들이 그대의 청백리의 삶의 자세를 보고 느끼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라는 구절에서 취했다고 합니다. 보물 제1435호인 "이원익의 초상" 으로, 화면 왼편을 향하여 몸을 살짝 돌린 자세로 의자에 앉은 전신상입니다. 이 초상화는 이원익이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무사히 피난하도록 했던 공적을 인정받아 58세가 되던,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녹훈(錄勳)된 것을 기념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은 오사모를 쓰고 검은 단령을 입고 양손은 소매 속으로 감추고 있으며 바닥에는 화려한 채전이 깔려있습니다. 돗자리가 덮인 족좌대(足座臺) 위에는 양쪽으로 벌린 흑피혜(黑皮鞋)가 일부만 보이고, 공작흉배와 서대를 착용하고 있어 정1품 신분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단령 소매 사이로 흰 창의가 보이며, 의자의 손잡이는 인물의 양 편으로 뻗어 있습니다. 오른편 의자 뒤로는 단령에 덧댄 무가 세모꼴로 접혀 올라가 있으며 그 아래 트임 사이로는 연두색 안감과 청색의 첩리가 보이고 있습니다. 곁에 있는 또 하나의 이원익 영정으로 경기도 유형문화재 80호로 지정되었으며, 조선 중기의 문신 이원익은 태종의 12번째 아들 익녕군(益寧君)의 4세손으로 선조, 광해군, 인조 3대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으며 키가 작아 키작은 재상으로 널리 불렸으며 "오리 정승"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원익은 투철한 책임감과 애민(愛民) 정신으로 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병졸의 입번(入番) 제도를 개선하여 전국적으로 확대시켰고, 안주목사(安州牧使) 시절에는 뽕나무를 권장하여 ‘이공상(李公桑)’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으며, 또한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여 백성들의 세금 부담을 덜어주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평안도도순찰사(平安道都巡察使)로 평양 탈환에 공을 세웠고, 사도도체찰사(四道都體察使)로 군무를 총괄하여 왜란을 극복하는 데 큰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으로 녹훈되었고,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에 봉해졌습니다. 성품이 소박하여 과장이나 과시를 할 줄 모르고 소임에 충실하며, 정의감이 투철하였으며, 청빈하게 살아 청백리에 녹선 되었고, 인조로부터 사제(私第)와 궤장(杖)을 하사받았습니다. 이원익은 1634년(인조 12) 여든여덟 살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는데 이때도 집이 가난해 상(喪)을 제대로 갖춰 치르지 못하니, 인조가 관재(棺材)의 여러 도구를 보내고 세자가 조문했다고 합니다. 저서로는 『오리집(梧里集)』·『속오리집(續梧里集)』·『오리일기(梧里日記)』 등이 있으며, 가사로 「고공답주인가(雇貢答主人歌)」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