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Weekly Monitor: 가격 상승률이 주도주를 결정
▶️ 보고서: https://bit.ly/4dsT2MJ
[총평]
▶️ 정제마진은 반등했고, 석유화학 Spot 가격은 강보합이며, 중국 선물가격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PX/PTX/MEG/천연고무 +3%, PVC/ECH +1%가 눈에 띕니다.
▶️ 중국은 10/1(화)~10/7일(월)까지 7일 간의 국경절 연휴에 돌입합니다. 따라서, 상해/대련선물거래소는 국경절 연휴 기간 중 휴장 예정입니다. 시황의 본격적인 흐름은 국경절 이후에 파악 가능합니다. 단기적으로는 헤즈볼라 수장 사망에 따른 중동 내 전운 고조 등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 단기 중동 정세, 중국 국경절 연휴 감안 시 Top Picks는 KCC, 금호석유, S-Oil를 제시합니다.
[가격 상승률이 주도주를 결정]
▶️ 어떤 업체가 주도주가 될까(=가장 많이 오를 수 있을까): 어닝 상승 속도가 빠르고 그 폭 가장 큰 업체가 ① 공급과잉 해소 속도가 빠른 것으로 이해될 것이고 ② 상대적인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부여받으며 주도주 역할을 할 것
▶️ Case 1(2008~12년): HDPE/PP/EG는 최저점 대비 최대 약 +120~220% 상승. 반면, SBR은 +240% 상승. 금호석유 주가는 최저점 대비 최대 약 +1,600% 상승하며 롯데케미칼 상승률 +1,215% 대비 압도적인 수치 기록
▶️ Case 2(2013~18년): SBR은 약 +290% 급등하며 HDPE/PP/EG의 상승률인 +130~190%를 크게 상회했으나, 정작 주가 상승률은 롯데케미칼(+375%)이 금호석유(+240%)를 앞섬. 해당 시점은 Shale Boom에 따라 유가와 납사가 하락하며 원재료 절감에 따른 밸류에이션 확장 스토리가 NCC 업체에 부여되던 시점
▶️ Case 3(2020~21년): NB Latex는 +180%로 가장 많이 상승했고, HDPE/PP/EG는 +90~170% 상승. 주가 상승률은 금호석유(+450%)가 압도적으로 롯데케미칼(+122%)을 상회
▶️ Case 4(2024년 이후): 2024년 현재까지 SBR은 +40%, NB Latex는 +24% 상승. HDPE/PP/EG는 +3~11% 상승. 최저점 대비 최대 상승률은 금호석유가 +52%로 롯데케미칼 +30% 대비 높음
▶️ 결론: 상대적으로 주가 상승 속도가 빠르고 그 폭이 크기 위해서는 결국 제품가격 상승 속도가 빠르고 상승폭이 커야 함. 제품 수급이 타이트한 제품이 결국 그러한 움직임을 보일 것. 결국, 턴어라운드 사이클에서는 ‘가격’에만 집중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