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한국천문연구원에서 '최초의 갑자년 정월 갑자일' 문의에 대한 답변내용을 그대로 퍼왔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참고에 있는 주소를 클릭하시면 관계되는 의견이 있으니 아울러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초의 갑자년 정월 갑자일'이 언제인지는 아직 모릅니다. 설도 구구합니다.
다만 언제부터인가 (중국 상나라때: 기원전 1500년 전후) 자료에 10간과 12지의 자료가 남아있었고, 후세에는 그걸 이용한 것이지요.
중국의 한 자료에 따르면 최초의 상원 갑자년은 약 4500년전인 황제때의 갑자년을 택한것이라고 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또 다른 책에는 황제 61년(기원전 2637년)부터 세차(갑자, 을축 등등)에 대한 기록을 하고 있습니다.
역법에서는 이 내려오는 자료들 중, 한 갑자일을 기준으로 정해서 역법의 기준점을 잡고 역법을 계산하게 되는 것이죠. 이것을 역원이라고 하는데, 그렇다고 그것이 아무 갑자일을 잡는것은 아니고요. 중국에서는 동지달인 음력 11월의 첫날이 갑자일이고, 자정이 동지시 인때인 두 조건을 충족하는 날 중 하나를 택해서 역원을 잡습니다.
한국에서는 세종시대인 세종 26년 한국의 역법책인 칠정산 내편이 간행된 것을 기념으로 1444년을 상원 갑자년으로 하여 역법의 계산 기점을 잡고 있습니다.
정월은 옛날 중국에서는 국가마다 여러번 달라졌죠. 11월이 한해의 시작인때도 있었고, 12월인때도 있었고, 지금처럼 1월이 한해의 시작인때도 있었습니다. 우리는 그중에서 우리나라에 전래된 역법을 따라 지금처럼 정월을 1월로 사용하는것입니다.
지금도 중국에서는 고대 자료가 계속 발굴되면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또 어떻게 바뀔른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간지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이렇게 이루어져있습니다.
즉 십간(첫번째 줄)과 십이지(두번째 줄)에서 한글자씩 합쳐서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간지라 부르는 것입니다.
간지가 1회전하는 년수는 60년입니다.
(산술적 계산을 하면 10, 12의 최소공배수이므로 60이 됩니다.)
2004년이 갑신년입니다.
그럼, 2004년에 45살과 43살인 사람의 간지를 따져보겠습니다.
(60년에 1회전이라는 것으로 따져봅시다)
첫번째.
45살의 경우.
60살이 되었을때가 자신이 태어난 간지와 같게되므로,
앞으로 15년후인 2019년의 간지가 45살의 간지와 같게됩니다.
2004-갑신,2005-을유,2006-병술,2007-정해,2008-무자,2009-기축,
2010-경인,2011-신묘,2012-임진,2013-계사,2014-갑오,2015-을미,
2016-병신,2017-정유,2018-무술,2019-기해........
즉 45살의 간지는 기해 입니다.
(쉽게 따지는 법은, 십간과 십이지 이므로 2004년의 10년후인 2014년의
십간은 2004년과 같은 "갑"이고, 10년후의 지는 10번째후의 "오"입니다.
-십이지에서 왼쪽으로 두번가면되겠죠 - 즉, 2014년의 간지가 "갑오"로
나오게 되고. 그럼 2019년은 "기해"로 나오게됩니다.)
두번째.
43살의 경우
60살이 되는것은 17년후이므로, 2004 + 17 = 2021년입니다.
2004-갑신,2005-을유,2006-병술,2007-정해,2008-무자,2009-기축,
2010-경인,2011-신묘,2012-임진,2013-계사,2014-갑오,2015-을미,
2016-병신,2017-정유,2018-무술,2019-기해,2020-경자,2021-신축........
(쉽게 따지는 법은, 2004년 "갑신", 2014년 "갑오", 2024년 "갑진"
여기서 구하고자하는것은 2021년이므로 "갑진"에서 왼쪽으로 3개씩 가면됩니다.
그럼 2021년 즉 "신축"이 나오게 됩니다.)
즉 43살의 간지는 "신축"입니다.
정리하면,
1. 알고자 하는 나이의 60세가되는 년도를 계산한다.
2. 현재 년도의 간지로 10년씩 계산한다.
(십간 : 고정, 십이지 : 왼쪽으로 두개씩 이동)
3. 해당 년도에서 가까운 해에서 계산한다.
먼저 천간과 지지에 각각의 숫자를 보면 모두 4로 시작함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천간 : 갑(4) 을(5) 병(6) 정(7) 무(8) 기(9) 경(0) 신(1) 임(2) 계(3)
지지 : 자(4) 축(5) 인(6) 묘(7) 진(8) 사(9) 오(10) 미(11) 신(0) 유(1) 술(2) 해(3)
1. 간지의 첫번째 자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태어난 해를 10으로 나눈 나머지를 찾습니다.
1968 ÷ 10 = 196 .....8(나머지) →→ 무
1969 ÷ 10 = 196 .....9(나머지) →→ 기
2. 띠에 해당하는 지지를 찾기 위해 12로 나눈 나머지를 찾습니다.
1968 ÷ 12 = 164 .....0(나머지) →→ 신(원숭이)
1969 ÷ 12 = 164 .....1(나머지) →→ 유(닭)
3. 위의 1과 2의 내용을 합합니다.
1968년생은 무신생
1969년생은 기유생
이 됩니다.
따라서 육십갑자표와도 일치되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단, ※ 계산시 주의하실 점은 나머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전자계산기로 하시면 틀린 답이 나올 수 있습니다. 반드시 손으로 써서 계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