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주가리 효능
맛은 달고 성실은 평하다.
덩굴성 다년초로서 길이 3m이상 달하고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오며 지하경이 길게 뻗어 번식한다.
개화기 7월-8월 결실기 열매특성 골돌과(분과), 표주박 같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10cm정도이며 겉에 사마귀같은 돌기가 있고
종자는 좁은 날개가 있으며 끝에 백색의 긴털이 있다.
씨를 "라마자"라하며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려 씨를 모아서 쓴다.
씨의 성분은 데아실티난코게닌, 데아실메타플렉시게닌,
사르코스틴이 있고, 줄기와 잎에도 사르코스틴, 메타플렉시게닌,
우텐딘, 페르굴라틴, 벤조일라마돈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와 잎에는 벤조일라마논, 데아실티난코게닌, 이소디기푸르푸로게닌 II와
디기푸르프로게닌II이 있고 , 쿠마린(잎)과 사포닌(뿌리)이 들어 있으며
전초에 사르코스틴, 메타플렉시게닌, 우텐틴, 페르굴라린, 포도당,
치마로즈 등이 함유되어 있다.
박주가리의 씨는 남자의 성기능을 높일 수 있다고 하며
옛부터 자양강장, 강정약으로 쓰였고 뿌리, 열매, 잎은
백전풍·백선·약정·강장 등의 약으로 쓰인다.
◐ 활용 방법
*잎과 씨를 말려서 가루를 낸 후 1회 2 - 3 g 정도를
마시면 강정제로서 효과를 발휘한다.《본초비요》
*줄기나 잎을 자를 때 흘러나오는 흰 유액을 손등의
사마귀 난데 상처를 내고 바르면 사마귀가 떨어진다.
*뱀이나 거미 등에 물린 데나 종기 등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중의묘방》
*손가락 등의 칼로 베인 상처에는 씨에 달려 있는 흰 명주실 같은
털을 붙이면 출혈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경험방》
*박주가리 뿌리 신선한것 40~60g을 잘게 썰어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약간의 술과 함께 마신다.
3개월을 한 주기로 하여 2~3번 쓴다.
결핵성 누공을 낫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임파절 결핵에도 쓸 수 있다.
♣ 박주가리산
박주가리씨 16g, 지골피, 오미자, 측백자, 산조인, 건지황
각 12g씩을 가루내어 하루 3번씩 먹는다.(자양강장)
*씨의 털을 상처에 붙인다.(지혈작용)
*신선한 잎으로 즙을 내어 바른다.(뱀에 물렸을 때, 독풀이 약)
정기를 보하고 젖이 잘 나오게 하며 해독 한다.
몸이 약한데, 음위증, 유즙불하, 대하, 옹종 단독 등에 쓴다.
하루 15~60g을 탕약으로 먹는다.
외용 약으로 쓸 때는 신선한 것을 짓찧어서 붙인다.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정기를 보하고 출혈을 멈추며 새살을 잘 돋아나게 한다.
몸이 약한데, 음위증, 외상출혈 등에 쓴다.
하루 9~18g을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인다.
덩굴을 걷어서 끓여 먹어보면 호박이나 박넝쿨 냄새가 난다.
덜 익은 열매를 시골서 따 먹기도 하는데맛이 먹을만 하다.
시골에서 배고플때 어린 아이들의 허기를 채워 주기도 한다
박주가리
학명 : Metaplexis japonica
분류 : 용담목 박주가리과
박조가리, 새박덩굴, 구진등, 노아등(老鴉藤), 뢰과(賴瓜), 비래학, 학광표 등의 이름이 있다.
한의학에서는 나마등(蘿麻藤)이라고 한다.
들판의 풀밭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길게 벋어가고 여기서 자란 덩굴이 길이 3m 정도로 자라며,
자르면 흰젖 같은 유액(乳液)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긴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끝은 뾰족하고 뒷면은 분록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5cm이다.
유백색의 즙에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Prootease가 들어 있어 유독성이다. 사마귀가 떨어질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연한 자주색이나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화관은 넓은 종처럼 생기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안쪽에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넓은 바소꼴이며 겉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다. 꽃잎이 뒤로 말린다.
열매는 표주박 모양이며 다 익으면 갈라지는데 한쪽에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흰 유액에 독성분이 들어 있으며 연한 순을 나물로, 잎과 열매를 강장·강정·해독에 약용한다.
종자의 털은 솜 대신 도장밥과 바늘쌈지를 만든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열매를 라마자라 부르고 과실의 껍데기를 천장각(天漿殼)이라고 부른다.
박주가리의 씨인 라마자는 정기를 보하고 출혈을 멈추며 새살이 잘 살아나게 하고 음위증(조루) 치료에 쓴다.
박주가리잎부각
박주가리잎을 깨끗이 씻어 물기를 걷고 찹쌀가루는 풀을 쑤어 소금으로 간한 후 박주가리잎에 고루 바른 다음
통깨를 뿌려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말리고, 먹을 때 식용유에서 튀겨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