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 요
선물과 옵션을 조합하는 기법을 가리킨다. 선물은 가격의 한 방향의 리스크만 커버하지 양 방향의 리스크는 커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가격상승 리스크를 커버하기 위하여 long futures를 한 경우 가격상승 리스크는 커버하나 가격하락 리스크는 커버하지 못하며 short futures를 한 경우 가격하락 리스크는 커버하나 가격상승 리스크는 커버하지 못한다. 이를 대비하여 선물과 옵션을 합성하면 일정한 범위내에서 양 방향의 리스크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
2. Synthetic Long Futures(Synthetic Call)
Synthetic long futures는 가격이 상승하리라고 예상되는 bull market에서 취해지는 기법이나 가격의 변동을 확신할 수 없을 때 long futures와 long put을 조합하는 거래기법이다. 가격이 예측대로 상승하면 put은 포기를 하고 futures만 매입한다. 그러나 가격이 예측과 반대로 하락하였으면 put을 행사한다. future는 포기가 불가능하므로 매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나 put에서 얻는 이익이 있기 때문에 outright long futures보다 손실이 작다. 한편 가격이 상승하여 선물을 매입한 경우 옵션수수료를 지급하였으므로 outright long futures에 비하여 옵션수수료만큼 이익이 작다. 이 기법은 마치 long call을 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므로 synthetic call이라고 한다.
3. Synthetic Short Futures(Synthetic Put)
Synthetic short futures는 가격이 하락하리라고 예상되는 bear market에서 취해지는 기법으로 가격의 변동을 확신할 수 없을 때 short futures와 long call을 조합하는 거래기법이다. 가격이 하락하였으면 call을 포기하고 선물을 매도하나 가격이 상승하였으면 call option을 행사하므로 선물의 매도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커버할 수가 있다. 가격이 예측한대로 하락한 경우 옵션수수료를 지급했으므로 outright short future에 비하여 옵션수수료만큼 작으나 가격이 예측과 반대로 변동한 때에는 손실이 outright short future에 비하여 작아진다. 이 기법은 마치 long put을 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므로 synthetic put이라고 한다. Short futures와 다른 점은 손익분기점이 일정범위를 보인 다는 점이다. 한편 long call 대신에 short put을 조합하는 예도 있는데 이를 sell-write라고 한다. Short put은 효과면에서 long call과 같으므로 대체가 가능하며 short은 write라고도 하므로 long futures와 write put(short put)을 조합한 것을 sell-write라고 하는 것이다.
4. Synthetic Equivalent
Synthetic equivalent란 synthetic trading에서 옵션포지션이 반대가 되는 포지션을 말한다. 예컨대 long futures and long put의 synthetic equivalent는 long futures and long call이다. 또 short futures and long call의 synthetic equivalent는 short futures and long put이다. 따라서 option position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이의 반대되는 옵션포지션을 찾아내면 된다. 이는 최대이익, 최대손실과 손익분기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관찰된다. 예컨대 "long one Dec gold futures contract at 460 and long one put Dec gold 460 at 4" 한 경우 synthetic equivalent는 "long one call Dec gold 460 at 4"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