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군사령부 2작전사령부로 개편 2007.11.1 -> 9.11군단 해체, 예하부대 2작사 직할로 전환
9 군단 - 1987.4.1 창설 2군 예하 충청,전라권 부대 지휘 - 2007.10.31 해체
11군단 - 1987.4.1 창설 2군 예하 경남 경북권 부대 지휘 - 2007.10.31 해체
국방개혁2020 (2005.09.13 발표, 노무현 정부시절)에 의거 해체
101, 102, 103보병여단 해체
1980년대 90년대 초반, 전방 지역 경계및 방어임무를 위해 편성됨
101보병여단 - 1982년 창설 -> 2007.11.30 해체, 부근 사단으로 분할 합병
102보병여단 - 1988.06.01 창설 -> 2007.11.30 해체, 102기갑여단(창설07.12.1)으로 개편
103보병여단 - 1993년 창설(17사단103연대에서 수도군단 103여단으로 승격 개편)
2007.11.30 해체, 부근 사단으로 분할 합병
국방개혁2020 (2005.09.13 발표, 노무현 정부시절)에 의거 해체
205특공여단 해체
1984.10.01창설 - 2작사(11군단)예하로 창설 ->2008.11.30 해체(201.203으로 귀속)
국방개혁2020 (2005.09.13 발표, 노무현 정부시절)에 의거 해체
국방개혁2020 (2005.09.13 발표, 노무현 정부시절)에 의거 해체
국방개혁307(2011.03.08 발표, 이명박 정부 시절)에 의거 해체
2019년 야전공병단 요원들의 문.부교 설치 모습
2작사 직할 1116공병단 2013년 해체(김해), 2작사 직할 1117공병단으로 통합
2작사 직할 1118공병단 2013년 해체(정읍), 2작사 직할 1115,1117공병단으로 분할 합병
306보충대(구101보충대) -1952.2.17년 부산에서2보충대로 창설 -1958.11.30. 의정부시로 이전 -1960.02.20. 101보충대로 명칭 변경(경기도 전방지역 자대 배치의 대명사) 훈련소 훈련 종료후 3군지역 배치 병력, 자대 배치시 까지 대기하는 보충대 '70년대 후반 3군지역 사단 신병교육대 창설로 입소병력 보충대 역할 수행
(수도기계화,1,3,5,6,8,9.17,20,25,26,28,30,51,55사단 신교대 입소병력) -1983.07.01. 306보충대로 명칭 변경 -2014.12월 해체, 사단 신병교육대 입소병력 신교대로 바로 입소 훈련소 훈련 종료 병력 자대로 바로 배치
102보충대(구103보충대) -1951년 3월. 제주도 모슬포에서 제1훈련소로 창설 -1953.08.12. 춘천시로 이전 -1960.02.20. 103보충대로 명칭 변경(강원도 전방지역 자대 배치의 대명사) 훈련소 훈련 종료후 1군지역 배치 병력, 자대 배치시 까지 대기하는 보충대 '70년대 후반 1군지역 사단 신병교육대 창설로 입소병력 보충대 역할 수행
(2,7,11,12,15,21,22,23,27,36사단 신교대 입소병력) -1983.07.01. 102보충대로 명칭 변경 -2016.10월 해체, 사단 신병교육대 입소병력 신교대로 바로 입소 훈련소 훈련 종료 병력 자대로 바로 배치
국방개혁안 (2014.03.06 발표, 박근혜 정부 시절)에 의거 해체
국방개혁2.0 (2018.7.27 발표, 문재인 정부)에 의거 해체
1군(1야전군)사령부 3군(3야전군)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1군,3군 통합사령부)창설 2019.1.1. -> 1,3야전군사령부 해체
1953.12.15. 1군사령부 창설->경기도,강원도 전방지역 부대 관할 사령부로 창설
1973.07.01. 3군사령부 창설로 경기도 및 강원도 철원지역 관할권 인계
1973.07.01. 3군사령부 창설->1973년3월 철수한 주월한국군사령부를 모체로 창설
1군사령부로 부터 경기도 및 강원도 철원지역 관할권 인수
2013.05.14. 1,3군사령부->1.3야전군사령부로 명칭 정식 변경
임무를 명확하게 교정하려는 목적에 따라 명칭을 개정하는 법안 통과
2019.01.01. 지상작전사령부 창설, 3야전군사령부를 모체로 창설
1,3야전군사령부 해체
3야전군사령부 시설을 모체로 1,3야전군사령부를 통합하여 지상작전사령부를 창설하고
부대마크는 1야전군사령부 부대마크를 사용함.
국방개혁2.0 (2018.7.27 발표, 문재인 정부)에 의거 해체
1,3군 사령부 -->지작사로 통합에 따른 예하 1,2,3 군수지원사령부 개편
1군 사령부 예하 1군수지원사령부는 지작사 예하로 편성되면서
예하에 수도군수지원여단(수도군단), 2군수지원여단(2군단), 3군수지원여단(3군단),
6군수지원여단(6군단), 7군수지원여단(7군단), 8군수지원여단(8군단)창설하여 각 군단 지원
3군 사령부 예하 2군수지원사령부는 해체하여 5군단 예하 5군수지원여단으로 개편 창설
일부 예하 부대는 1군수지원사령부 예하로 전환
3군사령부 예하 3군수지원사령부는 해체하여 1군단 예하 1군수지원여단으로 개편 창설
일부 예하 부대는 1군수지원사령부 예하로 전환
2작전사 예하 5군수지원사령부는 변동 없으며 예하에 51군수지원단(전라권 지원),
52군수지원단(부산,경남),53군수지원단(대전,충청), 대구 경북지역은 5군지사에서 직접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