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국어, 도덕, 사회), 교육과학기술부.
【8-읽-(1)】설명하는 글과 설득하는 글을 읽고 글의 짜임을 비교한다.
【내용 요소의 예】
◦ 문단 요약 및 문단 간 관계 파악의 원리 이해하기
◦ 문단 간 관계 분석을 통해 글의 짜임 파악하기
◦ 글의 의도와 맥락을 고려하면서 글의 짜임을 비교ㆍ분석하기
◦ 글의 짜임의 효과 및 적절성 평가하기
이 성취 기준은 글 전체의 짜임을 파악하며 읽는 것이 읽기 능력 향상에 중요하다는 점을 중시하여 설정하였다. 글의 짜임이란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글쓴이가 글을 적절한 방법으로 구조화한 것을 말한다. 독자는 글의 짜임을 파악함으로써 글의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글 전체를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성취 기준을 학습할 때에는 글의 목적을 생각하면서 표지, 문단 등 글의 짜임을 파악할 수 있는 부분에 유의하여 글을 읽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글의 짜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글쓴이가 전하고자 하는 바가 글에 어떻게 조직되고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글쓴이의 생각은 주로 하나의 문단에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으로 구성되어 집약되어 있다. 이러한 문단의 내용을 요약하고, 문단과 문단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표지에 유의하면서 각 문단의 성격이나 기능 등을 분석하면 글 전체의 짜임을 알 수 있다. 각 글의 짜임을 정확히 파악한 후에는 글마다 목적과 맥락에 비추어 그 글의 짜임이 적절하고 효과적인지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설명하는 글과 설득하는 글을 중심으로 하여 글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글의 짜임이 이루어졌는지 파악하면서 글을 읽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글의 구성 방식과 서구의 글의 구성 방식을 비교하여 문화적인 배경에 따른 글의 짜임을 비교해 보는 등의 심화 활동도 할 수 있다.
【글의 수준과 범위】유사한 소재의 설명하는 글과 설득하는 글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소재를 유사하게 취하고 있고, 문단 구성이 잘 되어 있으면서, 의도나 목적을 달리하는 두 편 이상의 글들이 요구된다. 글의 목적이나 의도에 따라 글의 짜임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함께 비교하기에 적절한 설명하는 글과 설득하는 글이 바람직하다. 대상에 대한 객관적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과, 그에 대한 글쓴이의 견해를 주장하거나 독자에게 설득하려는 글을 비교하면서 주로 글의 짜임에 따른 효과를 따져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