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s have I heard.
At one time the Lord was staying near Rajagaha in the Bamboo Wood at the Squirrels’ Feeding
Place. On that occasion the Venerable Mahakassapa was staying in the Pipphali Cave,
sitting cross-legged for seven days having attained a certain (state of) concentration.
Then at the end of those seven days the Venerable Mahakassapa emerged from that
concentration. After emerging the Venerable Mahakassapa thought:
“What if I should enter Rajagaha for almsfood?"
At that time five hundred devatas were busily preparing almsfood for the Venerable
Mahakassapa, but having refused the offerings of those five hundred devatas the Venerable
Mahakassapa robed himself in the forenoon, and taking his bowl and outer cloak, entered
Rajagaha for almsfood.
On that occasion Sakka the ruler of the devas, wishing to give almsfood to the Venerable
Mahakassapa, assumed the appearance of a weaver weaving at a loom, while Suja the asura-
maiden filled the shuttle. Now the Venerable Mahakassapa, walking for almsfood in Rajagaha
on an uninterrupted alms round, came to the dwelling of Sakka the ruler of the devas.
Seeing the Venerable Mahakassapa coming from afar, Sakka the ruler of the devas came out
of the house and went to meet him. Taking the bowl from his hand and going into the house,
he took boiled rice from a pot, filled the bowl, and gave it to the Venerable Mahakassapa.
And this almsfood included various kinds of curry, various kinds of sauce, curry of various
kinds of (excellent) tastes and flavours. Then the Venerable Mahakassapa thought:
“Who is this being who has such supernormal potency and power?"
Then the Venerable Mahakassapa thought: “Is it not Sakka the ruler of the devas?"
Realizing it was, he said:
“This is your doing, Kosiya; do not such a thing again."
“We too need merit, revered Kassapa. We too should make merit.”
Then Sakka the ruler of the devas, having prostrated himself to the Venerable Mahakassapa,
keeping his right side towards him, rose into the sky.
While suspended in the sky, three times he uttered this inspired utterance:
“Ah, the best almsgiving! On Kassapa alms is well donated!"
The Lord, with divine hearing purified and surpassing that of humans, heard Sakka the ruler of
the devas suspended in the sky uttering three times this inspired utterance.
Then, on realizing its significance, the Lord uttered on that occasion this inspired utterance:
The devas hold dear such a bhikkhu
Who collects his food on alms round,
Self-sufficient, supporting no other,
Who is calm and ever mindful.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한 때 부처님께서는 라자가하 가까이 밤부숲 다람쥐 사육장에 머물고 계셨다.
그 때 마하카샤파 장로는 피빠리 동굴에 머물고 있었는데, 칠일간 앉아서 어떠한 경계의 집중
(삼매) 상태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런 다음 칠일의 마지막날에 마하카샤파 장로는 집중에서
깨어났다. 삼매로부터 깨어난 후에 마하카샤파에 생각이 일어났다. ;
"탁발을 위해 라자가하로 가는게 어떨까? "
그 때 오백명의 하늘신들이 바쁘게 마하카사파를 위한 공양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하늘신들
의 공양을 거절하자 마자 오전에 마하카샤파 장로는 옷을 입고 발우와 윗옷을 들고 탁발을 위해
라자가하에 갔다. 그 때 마하카샤파 존자에게 공양하기를 갈망하고 있던 하늘의 통치자 사까는
베틀에서 베를 짜는 직공인 것처럼 가장하고, 아수라 처녀인 수자는 (베틀)북에 실을 감고 있었다.
마하카샤파 존자는 라자가하에서 빠짐없이 차례차례로 탁발을 하며 걷다가 하늘의 통치자 사카가
머물고 있는 곳에 도착했다. 멀리서 마하가섭 존자가 저 멀리서 보이자, 하늘의 통치자 사카는 집
에서 나와 그를 맞이하러 갔다. 그에게서 발우를 받아 집으로 들어가서, 냄비에서 끓인 쌀(밥)을
꺼내 그 발우를 가득 채워 마하카샤파 존자에게 주었다. 그리고 이 공양에는 다양한 종류의 카레,
다양한 종류의 소스가 담겨 있었는데, 다양한 종류의 카레는 맛과 향이 다양하고 뛰어났다.
그 때 마하카샤파는 생각했다: "이런 비범한 능력과 힘을 가진 자는 누구일까?"
그리고 마하카샤파는 생각했다.: "하늘의 통치자 사카가 아닐까?"
그렇다는 것을 알아차린 그가 말했다:
"이것은 당신이 그랬군요,코시야; 이러한 행위는 두번 다시 하지 마시오."
"우리 역시 공덕이 필요합니다, 마하카샤파 존자님. 우리 역시 공덕을 지어야 합니다."
그런다음 하늘의 통치자 사카는 마하카샤파 존자에게 예를 갖추고 그의 주위를 오른쪽으로 돌면
서 하늘로 올랐다. 하늘에 떠 있는 동안, 그는 세번이나 말했다.
"아, 최상의 보시였네, 드디어 카샤파에게 공양을 했네!"
부처님께서는 천이통으로 하늘의 통치자 사카의 하늘에 떠 있는 동안 세번이나 말하는 것을 들었
다.
그 때 이것의 중요성을 깨달으신 부처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신들도 소중하게 여기는 비구는,
탁발하여 먹을 것을 취하는 자,
스스로 족하며, 다른 이를 부양하지 않으며,
평안하며, 그리고 언제나 알아차림과 함께 하는 자.
첫댓글 위에서 소개된 [경]은, 이 게시판의 [Udana 01-06 Kassapa]와 관련이 있는데요.
[스스로 족하며, 다른 이를 부양하지 않으며]는, [스스로 감당할 뿐, 타인에 의존하지 않으며]정도의 뜻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