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웬의 가족 치료
정 현 숙
보웨에 의하면 인간관계는 개별성 (거리감, 회피)과 연합성 (접근, 친밀감)으로 구분 한다.
.개별성-독립성을 추구하고 불편을 느껴 피하려고 함
.연합성-서로에게 의존하려고 하는 것, 한 사람이 가까워지려고 다가옴
이런 양극단의 인간 본성의 성공적 조화는 감정 조절에 대해 얼마나 잘 적응 했는가 즉 (자아분화)에
달려 있다.
보웬의 체계 이론
자아 분화 : 불안에 직면 하더라도 유연, 현명하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
.분화가 이루어진 사람-사고와 감정에 있어 균형을 이루고 있고, 자발성이 있으며 정서적 충동에 저항할 수
있는 자제력이 있다.
.분화가 안 이루어진 사람-사람이나 사건에 충동적 반응, 맹종 또는 반항
정서적 삼각 관계
.삼각관계가 형성 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불안' 이다.
.불안이 심해지면 다른 사람과 정서적으로 가까롸 지려고 하거나, 거리를 둔다.
.두 사람간의 갈등 때문에 제 3자를 끌어들여 고착 시키거나 편을 만든다.
제 3자의 참여로 불안이 희석되기 때문에 원래의 불안은 감소 된다.
삼각화는 갈등의 열기는 식힐 수 있지만 그로 인해 두 사람의 관계는 손상시킬 수 있다.
핵가족 정서과정
자신이 태어난 가정이 분화 되어 있지 않으면
1.배우자간 정서적 거리감 발생
2.배우자 중 한 사람에게 신체적 또는 정서적 역기능 발생
3.부부간의 갈등 심화
4.한 명 또는 그 이상의 자녀에 대한 문제의 투사가 일어날 수 있다.
누대의 전수과정
.만성적 불안이 대를 이어 전달되는 과정
.어느 대에서나 가족과 가장 심한 융합을 이룬 자녀는 만성적 불안이 심하고 자아분화 수준이 낮아지는 반면
융합이 가장 덜한 자녀는 불안이 적고 자아분화 수준이 높다.
정서적 단절
.세대간의 불안을 처리 해 나가는 방법
.부모와 자녀 간 융합이 심할 수록 단절 경향이 높고 어떤 사람은 부모에게서 벗어남으로써 거리를 두려 한다.
정상적 가족 발달
.최상의 가족 발달은 가족 성원들의 자아가 잘 분화 되어 있고 불안 수준이 낮으며 부부 각자 자신이 태어난 가정의
가족과 정서적으로 좋은 관계를 맺을 때 가능하다. 그러나 과거에 해결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어디를 가든
타인과의 관계에서는 갈등이 재발한다.
행동 장애의 발달
.증상은 개인이 감당하기 힘든 만큼 스트레스가 심할 때 발생
.스트레스 조정 능력은 '분화'에서 나온다.
치료 방법
.보웬 학파는 사람을 변화시키려 하거나 문제 해결에도 그리 관심이 없다.
.대신 자신에 대한 또는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학습의 기회로 여겨 스스로 자신의 문제에 대해 책임을 떠맡게 한다
.가족 구성원이 각자 자신의 역할을 찾고 문제를 직면하도록 돕는다.
.사고와 감정을 구별하는 능력을 발달 시키고 관계문제 해결법을 학습하는 것이 주요 원리다.
.불안을 줄이고 자신에게 촛점 맞추기-대인관계 과정에서 자기 역할을 이해하는 능력 증대가 변화의 첫 번째
기제이다.
보웬의 가족 치료의 기법
1.가계도-3대에 걸쳐 내려오는 가족 체계의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것
갈등 관계, 단절, 주요 삼각 관계를 추측하는 데 사용.
2.치료적 삼각관계-치료사가 삼각관계에 끌려들어 가지 않으면 가족체계와 그 구성원들은 자신의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단계까지 평정을 찾게 된다.
3.과정 질문- 불안을 진정시키고 보다 분명하게 사고 할 수 있게 되고, 그것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다 많은
가능성을 발견하게 해 준다.
4.관계 실험-의존하려는 사람에게는 의 존을 자제하고, 상대방에 대한 요구를 중지하고 정서적 연결에 대한 압력
을 줄이고 자신과 상대방과의 거리를 두려고 하는 자에게는 상대에게 다가가 자기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게 한다.
다시 말해 상대의 요구를 회피하거나 무조건 항복하지 않고 그 대안을 찾게 한다.
5.코치하기-코치하다고 해서 내답자에게 어떻게 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코치는 내담자가 가족의 정서적 과정과 그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6.나의 입장-상대방의 행동을 지적하는 대신에 나의 입장을 피력하는 것이다
보웬의 중대한 공헌
.인간 행동을 과학적인 눈으로 보는 방법을 제시한 것
.보웬은 우리가 개인으로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 지 가족과는 어떻게 지내고 있는 지 또 서로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 지 이해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