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새만금 지역에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단지와 대형 과학연구시설의 조기 유치가 추진되는 등 생산 및 연구개발 기능이 집적화된다. 또 새만금에 식품가공산업단지 및 가공식품물류센터가 조성되고, 명품 해양레저도시도 건설된다.
전북을 포함해 인천·경기·충남은 '서해안 신산업벨트(골드벨트)'로 묶여 환황해 경제권을 주도하는 지식·첨단산업의 융복합벨트로 조성된다.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는 2일 대구 시내 경북도청에서 제3차 회의를 열고 우리 국토를 남해안·동해안·서해안·남북 접경지역 등 4대 권역으로 나눠 개발하는 '초광역권 4대 벨트 기본구상'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기본구상에 따르면 '서해안 신산업벨트'로 명명된 서해안 일대는 동북아의 국제비즈니스 거점지역이자 초일류 첨단산업의 집결지로 개발된다.
서해안의 국제비즈니스 거점화를 위해 새만금과 인천·황해 경제자유구역에 외국인 직접투자를 촉진시키고, 서해안권 자치단체는 공동으로 해외협력교류협의회를 설치해 중국과 일본 기업의 국내 입지를 위한 임대산업단지 조성과 우리 기업의 중·일 진출을 위한 산업단지 공동개발 등을 추진한다.
서해안권 초일류 첨단산업벨트 구축을 위해서는 수도권(IT·기계)~충남(자동차·제철)~전북(자동차·기계)을 연계해 자동차·기계·로봇 등 주력산업과 IT산업간의 융복합화가 촉진된다.
새만금 지역에 신재생에너지 산업 성장벨트가 구축되고, 서해안권 식품산업벨트 구축을 위해 익산 국가식품산업클러스터와 새만금 식품가공산업단지 및 가공식품물류센터가 조성된다.
역내외 연계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인천, 평택·당진, 군산·새만금 등 주요 물류거점을 연결하는 도로·철도망(서해안선)을 완성하고, 연안 초고속 페리를 운영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또 환황해권 거점역할 강화를 위해 중국 북부 주요항만과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안도 강구된다.
서해안권의 글로벌 해양 생태·문화 관광벨트 조성을 위해 세계 5대 갯벌의 하나인 서해갯벌 등 생태 및 역사문화자원을 연계한 생태테마 및 스토리텔링 관광개발이 추진되고, 해양레포츠 인프라 확충을 위해 새만금권에 명품 해양레저도시가 조성된다.
지발위는 내년 5월까지 기본구상을 구체화한 해안권별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4대 벨트의 개발 효과를 내륙으로 확산시켜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내륙벨트 기본구상'을 내년 1분기까지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 '동서남해안발전특별법'을 가칭 '동서남해안 및 내륙발전 특별법'으로 개정하고 '접경지역지원법'도 실효성있게 개정하는 한편, 초광역권 간의 연계협력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까지 90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개별 도시로 나누기보다 초광역권으로 묶어 발전계획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내륙과 해안을 연계해 같이 발전하도록 한다면 20년 쯤 후에는 우리나라 전체가 균형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