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에 미국의 위스콘신으로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제작된 하르당게르 피들은 20세기 북미의 색다른 영향을 보여준다.
하르당게르(hardanger) 피들은 노르웨이의 민속악기다.1651년 하르당거의 올레 욘센 야슈타트(Ole Jonsen Helland,1816~68)에 의해 시작되고 알려진 이 악기는 선율을 담당하는 4현과 2현의 공명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던 바이올린에 비해서 폭이 좁지만, 에릭 욘센 헬란트의 영향으로 피들도 점차 현대적인 스타일로 변해갔다.
수백년 전에 제작된 피들을 보면 일반적으로 테일피스와 지판은 매우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들은 노르웨이 지역의 나무를 악기의 재질로 사용했다. 따라서 가문비나무나 검은 오리나무가 쓰였으며 스칸디나비아 특유의 스타일로 제작했다. 지판과 테일피스 또한 마찬가지였다. 이들은 검은 황소의 뿔과 진주를 사용했으며 기하학적인 모티브의 문양을 장식했다.
그러나 현대의 피들은 모던 바이올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래도 여전히 피들만의 특성은 남아있는데, 네 개의 현이나 다섯개의 공면현이 바로 그것이다. 노르웨이 이민자들이 북미에 도착하기 시작하면서 하르당게르 피들과 그들의 전통음악이 전해졌다. 헬란트(Helland)가는 이러한 새로운 물결을 대표하는 악기 제작 가문이다.
군나르(Gunnar)와 크누트 헬란트 (Knut Helland)가 위스콘신 주의 치페와에서 첫번째로 상점의 문을 연 시가는 1905년이다. 나중에 군나르는 미네아폴리스와 노스 다코타의 파고에서 새로운 상점을 열었는데, 그는 1936년에 마지막으로 하르당게르 피들을 만들었다. 그리고 죽기 직전인 1976년까지 바이올린 제작에 온 힘을 기울였지만, 그가 만든 바이올린은 평범한 수준을 넘어서지 못했다.
이 피들은 헬란트 형제가 1919년에 제작한 것으로, 전통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네개의 현과 두 개의 공명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악기를 제작하는 도중 크누트는 사망했지만, 군나르가 이를 완성시켰다. 피들의 라벨에는 'Helland Brother / Violin Makers/ Chippewa Falls, Wisc/ 1919 ' 라 적혀있다.
장식은 비범함으로 가득 차 있으며 그가 사용한 기법은 비전통적인 방식이었다. 흑단의 지판과 테일피스는 꽃문양의 화려함이 인상적이다. 뒤판은 슬랩-컷의 미국산 메이플을 사용했으며, 숭고한 빛깔의 투명함은 악기제작자로서 그의 재능을 말해준다. 중앙에는 밀라르구텐(Myllargutten)으로 알려진 위대한 노르웨이 음악가 토르게이르 아우군트손 (Torgeir Augundsson)의 초상이 보인다.
밀라르구텐은 50년전에 사망했지만 비르투오소 바이올리니스트인 올레 불 (Ole Bull) 은 그를 위해서 작곡한 곡도 있을 만큼 유명하다. 지금 현재 이 피들은 미네소타의 세인트 폴, 슈베르트 클럽의 소유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