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beg your pardon.”
Gatsby’s butler was suddenly standing beside us.
“Miss Baker?” he inquired. “I beg your pardon but Mr. Gatsby would like to speak to you alone.”
“With me?” she exclaimed in surprise.
“Yes, madame.”
She got up slowly, raising her eyebrows at me in astonishment, and followed the butler toward the house. I noticed that she wore her evening dress, all her dresses, like sports clothes–there was a jauntiness about her movements as if she had first learned to walk upon golf courses on clean, crisp mornings.
I was alone and it was almost two. For some time confused and intriguing sounds had issued from a long many-windowed room which overhung the terrace. Eluding Jordan’s undergraduate who was now engaged in an obstetrical conversation with two chorus girls, and who implored me to join him, I went inside.
- obstetrical conversation : 음담패설을 뜻하는 완곡어법.
- chorus girls :
1920년대 뉴욕에서의 코러스 걸(Chorus Girl)은 재즈 시대의 상징적인 모습 중 하나로, 브로드웨이와 나이트클럽 문화가 번성하던 시기의 중요한 문화적 아이콘이었습니다. 코러스 걸은 뮤지컬, 연극, 버라이어티 쇼 등에서 백댄서 또는 합창단으로 활동하며 공연을 빛내는 역할을 했습니다.
### 주요 특징
1. **패션과 스타일**
- 플래퍼 스타일로 유명했습니다. 짧은 드레스, 비즈 장식, 깃털 장식 헤드밴드, 긴 목걸이 등이 유행이었고, 이는 재즈 시대의 반항적이고 자유로운 정신을 반영했습니다.
- 단발머리(보브 컷)와 강렬한 메이크업(예: 진한 아이라인과 붉은 립스틱)이 대표적이었습니다.
2. **활동 무대**
- 브로드웨이 극장이 코러스 걸의 주요 무대였습니다. 뮤지컬 코미디와 같은 대형 프로덕션에 참여하며 군무를 선보였습니다.
- 코튼 클럽(Cotton Club)과 같은 유명 나이트클럽에서 재즈 음악과 함께 공연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3. **대표적인 쇼**
- 지그펠드 폴리즈(Ziegfeld Follies): 당시 가장 화려하고 호화로운 버라이어티 쇼로, 코러스 걸들이 화려한 의상과 춤으로 관객을 매료시켰습니다.
- 리버티 극장, 윈터 가든 극장 등에서도 많은 코러스 걸이 활약했습니다.
4. **역할과 이미지**
- 코러스 걸은 종종 당시의 현대적이고 독립적인 여성을 상징했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화려한 무대 뒤에 있는 고단한 노동과 저평가된 위치를 상징하기도 했습니다.
- 많은 여성들이 브로드웨이의 스타로 성장하기 위해 코러스 걸로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조앤 크로포드(Joan Crawford)와 같은 배우가 코러스 걸에서 영화 스타로 발돋움한 사례가 있습니다.
5. **사회적 맥락**
- 1920년대는 금주법(Prohibition) 시대였으며, 비밀 술집(스피키지)과 재즈 문화가 융성했습니다. 이와 함께 코러스 걸은 당시의 사교 문화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 페미니즘의 초기 물결이 시작되던 시기로, 코러스 걸들은 자립적인 이미지와 함께 여성의 사회적 위치 변화에도 기여했습니다.
코러스 걸은 단순한 백댄서 그 이상의 역할을 하며, 1920년대 뉴욕의 활기와 대중문화를 정의하는 상징적인 존재였습니다.
피츠제럴드의 소설 “Head and Shoulders”를 각색한 영화 “Chorus Girls’ Romance”(1920)가 있다.
“**Head and Shoulders**”는 1920년에 발표된 F. 스콧 피츠제럴드(F. Scott Fitzgerald)의 단편 소설로, 1920년대의 미국 사회와 인물 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다룹니다. 이 작품은 역전된 운명과 선택의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 줄거리:
이 이야기는 두 명의 주인공, **호레이스 타프레(Horace Tarbox)**와 **마르시아 메도우즈(Marcia Meadowes)**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 1. **호레이스 타프레**:
호레이스는 18세의 천재적인 철학자로, 예일대학에서 학문에 몰두하며 학자로서의 성공만을 추구합니다. 그는 사회적 교류나 쾌락적인 삶에 관심이 없는 전형적인 지식인입니다. 모든 것이 계획적이고, 논리적으로 조직된 삶을 살아갑니다.
#### 2. **마르시아 메도우즈**:
마르시아는 자유분방한 성격의 브로드웨이 뮤지컬 배우입니다. 그녀는 열정적이고 낙천적이며, 예술과 삶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인물입니다. 우연히 호레이스의 집에 방문하게 되면서 그의 삶에 활기를 불어넣습니다.
#### 3. **운명의 전환**:
마르시아의 등장으로 호레이스는 삶의 새로운 측면을 깨닫게 됩니다. 두 사람은 사랑에 빠지고 결혼하게 됩니다. 하지만 결혼 후에는 운명이 뒤바뀝니다.
- **호레이스**는 마르시아를 위해 학문을 포기하고, 가정을 부양하기 위해 스포츠에 뛰어들게 됩니다. 그는 권투선수로 성공하며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유명해집니다.
- 반대로, **마르시아**는 가정적인 역할에 충실하며, 이전의 예술적인 활동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 4. **아이러니와 결말**:
이야기는 결국 두 인물의 삶이 완전히 역전된 상황에서 끝납니다. 학자로서의 미래를 꿈꾸던 호레이스는 육체적인 노동과 스포츠에 전념하게 되고, 자유로운 예술가였던 마르시아는 가정의 틀 안에 갇히게 됩니다.
### 주제와 메시지:
- **인생의 아이러니**: 인물들의 초기 삶의 목표와 결말의 역전은 인생의 예측 불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사랑과 희생**: 두 사람은 서로를 위해 자신들의 원래 꿈과 삶을 포기하는데, 이것은 사랑의 힘과 희생을 상징합니다.
- **사회적 역할**: 1920년대 미국 사회에서의 성 역할과 개인의 자유에 대한 문제를 탐구합니다.
이 작품은 피츠제럴드 특유의 재치 있는 필체와 시대의 감각이 살아있는 이야기로, 그가 그리는 인간 관계와 사회적 변화의 주제를 잘 보여줍니다.
The large room was full of people. One of the girls in yellow was playing the piano and beside her stood a tall, red haired young lady from a famous chorus, engaged in song. She had drunk a quantity of champagne and during the course of her song she had decided ineptly that everything was very very sad–she was not only singing, she was weeping too. Whenever there was a pause in the song she filled it with gasping broken sobs and then took up the lyric again in a quavering soprano. The tears coursed down her cheeks–not freely, however, for when they came into contact with her heavily beaded eyelashes they assumed an inky color, and pursued the rest of their way in slow black rivulets. A humorous suggestion was made that she sing the notes on her face whereupon she threw up her hands, sank into a chair and went off into a deep vinous sleep.
- beaded eyelashes
--> https://youtube.com/shorts/AU2wLOQ4zdc?si=A4qOFRpFvw2RSkWW
ps
“She had a fight with a man who says he’s her husband,” explained a girl at my elbow.
- a girl at my elbow : 닉 옆에 어느덧 어떤 아가씨가 와서 팔장을 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I looked around. Most of the remaining women were now having fights with men said to be their husbands. Even Jordan’s party, the quartet from East Egg, were rent asunder by dissension. One of the men was talking with curious intensity to a young actress, and his wife after attempting to laugh at the situation in a dignified and indifferent way broke down entirely and resorted to flank attacks–at intervals she appeared suddenly at his side like an angry diamond, and hissed “You promised!” into his ear.
angry diamond : 화가 났지만 다이아몬드와 같은 최고급 보석과 같은 품위는 잃지 않으려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다.
'성난 다이아몬드'라는 멋진 비유는 다이아몬드의 빛나는 화려함이라는 외양 이면에 금세 불 같이 타오를 불협화음을 상징적으로 잘 보여 준다. 바즈 루어만 (Baz Luhrmann)이 감독하고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Leonardo Dicaprio)와 캐리 멀리건(Carey Mulligan)이 주연한 2013년 영화에서는 원작의 이 비유를 닉이 캐츠비를 통해 처음 울프샤임을 만나는 유흥업소—이발소로 위장한 주류 밀매와 쇼를 겸한—의 무대 전면에 'The Angry Diamond'라는 플래카드를 붙여 활용하였다.
The reluctance to go home was not confined to wayward men. The hall was at present occupied by two deplorably sober men and their highly indignant wives. The wives were sympathizing with each other in slightly raised voices.
“Whenever he sees I’m having a good time he wants to go home.”
“Never heard anything so selfish in my life.”
“We’re always the first ones to leave.”
“So are we.”
“Well, we’re almost the last tonight,” said one of the men sheepishly. “The orchestra left half an hour ago.”
In spite of the wives’ agreement that such malevolence was beyond credibility, the dispute ended in a short struggle, and both wives were lifted kicking into the night.
As I waited for my hat in the hall the door of the library opened and Jordan Baker and Gatsby came out together. He was saying some last word to her but the eagerness in his manner tightened abruptly into formality as several people approached him to say goodbye.
hat : 머틀의 아파트에서 나올 때 닉은 모자를 샹들리에에서 가지고 나온다(42:2). 여기 파티에서는 자기의 모자를 가져다 줄 사환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부분에서 개츠비가 조단을 대하는 태도는 개츠비가 닉을 대하던 태도와 같다. eagerness를 가지고 대하다가 formality(53:5)로 바뀐다.
Jordan’s party were calling impatiently to her from the porch but she lingered for a moment to shake hands.
“I’ve just heard the most amazing thing,” she whispered. “How long were we in there?”
“Why,–about an hour.”
“It was–simply amazing,” she repeated abstractedly. “But I swore I wouldn’t tell it and here I am tantalizing you.” She yawned gracefully in my face. “Please come and see me...Phone book...Under the name of Mrs. Sigourney Howard...My aunt...”
She was hurrying off as she talked—her brown hand waved a jaunty salute as she melted into her party at the door.
- tantalizing : 조단 일행이 부를 때에는 lingered 했고 닉에게는 tantalizing 한다. 닉에게 일부러 이렇게 행동하고 있는 것일까?
melted into her party : 조단이 자기 일행과 완전히 하나가 된 느낌.
- Sigourney : 피츠제럴드가 1911년 뉴욕 인근의 가톨릭 예비학교 뉴먼 스쿨(Newman School)에 입학한다. 여기에서 Monsignor Sigourney Fay를 만나 친하게 지내게 되는데, 그는 피츠제럴드에게 아버지와 스승의 역할을 했다. 신부는 스콧에게 글을 쓰도록 격려하고 독서를 지도했으며 그가 작가의 길을 놓고 고민하던 결정적인 시기에 지적인 안내자가 되어주었다. 스콧의 첫 장편소설 『낙원의 이편(This Side of Paradise)』에 나오는 다르시 몬시뇰의 모델이기도 하다.
- 영화배우 Sigourney Weaver(1949~ ) 이름 개명 : Sigourney Weaver's parents didn't choose her unusual first name. She chose it herself.
"When I was about 14, I was reading The Great Gatsby and I picked it out of the book," she told CBC talk show host Bob McLean in 1981. "I guess I was bored with my name, which was Susan."
(https://www.cbc.ca/archives/sigourney-weaver-1981-1.6171685)
At 14, I changed my name from Susan to Sigourney – a minor character in The Great Gatsby. It was an act of desperation, because I didn't like being called Susie. Now I'm "Siggy", so it doesn't matter.
(https://www.theguardian.com/lifeandstyle/2010/may/01/sigourney-weaver-family-values-avatar)
Rather ashamed that on my first appearance I had stayed so late, I joined the last of Gatsby’s guests who were clustered around him. I wanted to explain that I’d hunted for him early in the evening and to apologize for not having known him in the garden.
“Don’t mention it,” he enjoined me eagerly. “Don’t give it another thought, old sport.” The familiar expression held no more familiarity than the hand which reassuringly brushed my shoulder. “And don’t forget we’re going up in the hydroplane tomorrow morning at nine o’clock.”
- The familiar expression held no more familiarity than the hand which reassuringly brushed my shoulder. ‘안심시키듯이 내 어깨를 쓰다듬는 손이 친근함이 없는 것처럼 그 친근한 표현은 친근함이 없었다.’ 표현도 행동도 친근함이 없었다는 뜻. no more A than B : A가 아닌 것은 B가 아닌 것과 같다, B가 아닌 것과 같이 A도 아니다
I think the underlined definitely implies “unfamiliarity”. The narrator conveys either his uneasiness or the insincerity of an obvious stranger who treated him like a long lost friend.
https://forum.english.best/t/expression-the-familiar-expression-held-no-more-familiarity/6817
In the passage, the author is suggesting that the expression "old sport" lost its familiarity. This is indicated by the phrase "held no more familiarity," which implies that the expression is no longer as familiar as it used to be. The comparison to the hand brushing the shoulder further emphasizes this point by showing that even physical touch is more familiar than the expression.
This interpretation is supported by the language and imagery used in the passage, highlighting a shift in the familiarity of the expression "old sport.“
https://brainly.com/question/45119139
"No more A than B"는 영어에서 **"B가 아닌 것처럼 A도 아니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이를 자연스럽게 한국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B가 아닌 것처럼 A도 아니다."
"A는 B와 마찬가지로 아니다."
예문과 번역
He is no more a genius than I am.
→ 그는 내가 천재가 아닌 것처럼 천재가 아니다.
This book is no more interesting than that one.
→ 이 책은 저 책이 재미없는 것처럼 재미없다.
이 표현은 종종 두 사물이나 사람을 비교하면서 둘 다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둘 다 해당 사항이 없다"**는 뉘앙스를 전달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tomorrow morning at nine o’clock : 닉에게 수상비행기를 같이 타자고 하면서 시간에 대해서는 Any time that suits you best. 라고 했는데(52:10) 여기서는 내일 아침 아홉시라고 자기 마음대로 정해버렸다.
Then the butler, behind his shoulder:
“Philadelphia wants you on the phone, sir.”
- Chicago에서 개츠비에게 전화가 온 데(53:11) 이어서 Philadelphia에서 개츠비를 찾는 전화가 온다. 시카고와 필라델피아는 미국 금주법에 있어서 중요한 도시들로서 개츠비가 밀주와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다는 암시를 주고 있다. 집사가 어디에서 전화가 왔다고 손님들이 있는 곳에서 말하지 않았을 것 같은데, 등장인물인 집사로 하여금 닉을 비롯한 이들이 모두 듣도록 함으로써 다른 등장인물들과 독자에게 개츠비가 밀주와 관련된 사업에 연루되었으리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미국 금주법(Prohibition)은 1920년부터 1933년까지 시행된 헌법상의 금주 기간으로, 당시 주류의 제조, 판매, 운송 및 소비가 금지되었습니다. 이 시기는 조직 범죄와 밀주업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 시카고와 금주법
시카고는 금주법 시기 조직 범죄와 관련해 가장 두드러진 도시 중 하나였습니다. 특히 알 카포네(Al Capone)와 같은 유명한 갱스터들이 밀주 거래와 클럽 운영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세력을 키웠습니다. 시카고의 '스피키지'(Speakeasy)라 불리는 불법 술집은 금주법을 무시하며 주류를 판매했습니다. 이로 인해 시카고는 금주법 시대의 상징적인 도시가 되었고, 당시의 조직 범죄와 부패한 경찰, 그리고 갱 전쟁이 자주 언급됩니다.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1929년의 **발렌타인 데이 대학살**(St. Valentine's Day Massacre)이 있습니다.
### 필라델피아와 금주법
필라델피아도 금주법 시대에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습니다. 필라델피아는 밀주 거래와 스피키지의 주요 허브 중 하나였으며, 많은 이민자 공동체가 주류 제조와 거래에 관여했습니다. 필라델피아 경찰은 종종 부패했다는 비난을 받았고, 일부 경찰관들은 밀주 거래를 눈감아주는 대가로 뇌물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필라델피아는 시카고만큼 조직 범죄로 유명하지 않았고, 대신 불법 주류 거래와 일반 시민들의 저항이 두드러진 지역이었습니다.
### 시카고와 필라델피아 비교
- **조직 범죄**: 시카고는 알 카포네와 같은 강력한 갱 조직으로 유명했지만, 필라델피아는 비교적 덜 폭력적이고 작은 규모의 불법 활동이 많았습니다.
- **경찰 부패**: 두 도시 모두 경찰 부패가 심각했으나, 시카고는 그 규모와 영향력이 훨씬 컸습니다.
- **사회적 분위기**: 필라델피아는 대중들이 금주법에 저항하기 위한 문화적 움직임이 강했지만, 시카고는 더 폭력적인 형태로 금주법에 반발했습니다.
이 두 도시는 금주법 시대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당시 미국 사회의 갈등과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ll right, in a minute. Tell them I’ll be right there...good night.”
“Good night.”
“Good night.” He smiled–and suddenly there seemed to be a pleasant significance in having been among the last to go, as if he had desired it all the time. “Good night, old sport...Good night.”
But as I walked down the steps I saw that the evening was not quite over. Fifty feet from the door a dozen headlights illuminated a bizarre and tumultuous scene. In the ditch beside the road, right side up but violently shorn of one wheel, rested a new coupé which had left Gatsby’s drive not two minutes before. The sharp jut of a wall accounted for the detachment of the wheel which was now getting considerable attention from half a dozen curious chauffeurs. However, as they had left their cars blocking the road a harsh discordant din from those in the rear had been audible for some time and added to the already violent confusion of the scene.
shorn of : 깎인, (압력에 못 이겨) 부러지다; 전단(剪斷)하다
당시 문명의 최고 산물인 자동차가 벽을 받고 바퀴(wheel)가 빠지고 전복된 것은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역사의 수레바퀴 혹은 운명의 수레바퀴가 빠져서 더 이상 운행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 곧 몰락을 의미하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