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혜를 갚은 꿩
옛날 강원도 땅에 사는 한 젊은 선비가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을 향해 길을
떠났다. 영월과 원주 사이에 드높이 솟은 험준한 치악산을 넘어야 하는 나그네
의 발길은 바쁘기만 했다. 수림이 울창하고 산세가 웅장한 이 산은 대낮에도
호랑이가 나와 사람을 해치고 밤이면 도적떼가 나온다는 무시무시한 곳이기 때
문이다.
괴나리봇짐에 활을 꽂고 치악산을 오르던 젊은 과객은 산 중턱에서 잠시 다
리를 쉬면서 신령스런 산의 운치에 감탄을 금치 못했다.
『과연 영산이로구나!』
이때였다. 바로 몇 발짝 거리에서 꿩의 울음소리가 절박함을 호소하는 듯
요란하게 들렸다. 청년 과객은 고개를 들어 밭이랑을 보았다. 그곳에는 큰 구
렁이 한 마리가 꿩을 향해 혀를 날름대고 있었다.
꿩은 구원을 청하는 듯 더욱 절박하게 「꺽꺽」울어댔다. 깊은 산중에 울려
퍼지는 꿩의 울음소리에 청년은 구해 주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 구렁이가
붉은 피를 쏟으며 힘없이 쓰러지자 꿩은 잠시 머뭇거리며 꺽꺽 울어댔다.
생명의 은인에 대한 감사의 뜻인 듯 좀 전의 울음과는 달랐다. 꿩은 몇 번인
가 청년을 향해 울더니 훌쩍 날아가 버렸다.
과객은 땅거미가 지자 걸음을 재촉했으나 산을 넘기엔 아직도 길이 멀었다. 인가가 있을 리도 없고 과객은 나무 밑에 낙엽을 펴고 하룻밤 쉬어 가기로 했다. 막 누우려는데 청년의 눈에 희미한 불빛이 보였다.
『이 산중에 웬 불빛일까?』
청년은 불빛이 보이는 곳으로 달려갔다. 그의 눈앞에 고래등 같은 기와집 한 채가 나타났다. 청년은 깊은 산중에 이렇게 큰 기와집이 있다는 것이 내심 의아스러웠으나 혹시 절인지도 모른다 싶어 우선 주인을 찾았다.
『뉘신지요?』
대문 안에서는 뜻밖에 여인의 음성이 들렸다.
『지나가는 나그네올시다. 하룻밤 신세 좀 질까 합니다.』
잠시 침묵이 흐르더니 대문이 열렸다.
『들어오시지요.』 『감사하오.』
청년은 대문을 들어서며 여인을 힐끗 쳐다보았다. 절세미인이었다.
「저토록 아름다운 여인이 이 산중에 홀로 지내다니 아무래도 무슨 곡절이
있을 거야.」
여인의 미모에 넋을 잃은 청년은 안방으로 안내되었다.
『어떻게 이런 심산유곡에 홀로 오셨나요?』 『서울로 과거보러 가는 길입니다.』 『피곤하시겠군요. 저녁상을 차려 오겠어요.』
잠시 후 밥상이 들어왔다. 밥상에는 먹어 본 일이 없는 산해진미가 차려져
있었다.
청년은 식사를 하면서 궁금증을 풀려는 듯 이일 저일 묻기 시작했다.
여인은 수심이 가득한 얼굴로 입을 열었다.
『소녀는 본래 강원도 윤부자로 알려진 윤씨댁 셋째딸입니다.
갑자기 집안에 괴물이 나타나 폐가가 되고 식구는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그 후 저는 이곳에 혼자 숨어 살고 있습니다.』 『거참 딱한 사정이구려.』 『오늘밤도 괴물이 나올까봐 무서워 떨고 있다가 손님이 오셔서 잠을 잘 수 있게 됐습니다.』 『그렇다면 다행이군요.』
청년은 안방에 자리하고 잠을 청했다. 밤이 깊어지자 창 밖에선 바람이 불고
멀리서 승냥이 울음이 을씨년스럽게 들려왔다.
그때였다.
『손님.』
문 밖에서 여인의 목소리가 들렸다.
『왜 그러시오?』 『무서워서 도저히 잘 수가 없어요.
웃목에 앉아 날을 샐 테니 들어가게 해 주세요.』
새파랗게 젊은 여자와 한방에서 자다니, 청년은 난감했다.
잠시 망설이던 청년은 여인에게 잠자리를 내주고 웃목으로 옮겼다. 여인은
수줍은 듯 등을 돌리고 옷을 벗더니 이불 속으로 들어갔다.
창밖엔 달빛이 휘영청 밝은데 여인은 잠이 들었는지 숨소리조차 없다. 청년
은 잠을 뒤척이다 겨우 잠이 들었는데 꿈인지 생시인지 가슴이 답답하고 무거운
중압감에 눌려 눈을 떴다.
그 순간
『악-.』
청년은 그만 비명을 질렀다. 그의 몸을 징그러운 구렁이가 칭칭 감고 있는
것이 아닌가.
청년은 온 힘을 다해 몸을 빼려 노력했으나 그럴수록 구렁이는 더욱 힘껏 감
아대는 듯했다.
『내가 누군지 아느냐?』
구렁이의 음성은 바로 절세미녀의 목소리였다.
『누… 누구냐?』 『네가 낮에 활로 쏘아 죽인 구렁이의 아내다.』 『뭐… 뭐라구!』 『너로 인해 남편을 잃었으니 오늘밤 나는 원수를 갚기 위해 사람으로 둔갑했다. 이제 너를 물어 죽일 것이다.』 『살생을 목격하고 그냥 지나칠 수 없어 그리 됐으니, 제발 목숨만 좀….』 『만약 범종소리가 네 번 울린다면 목숨을 살려주마.』
바로 그때, 대청마루 쪽에서 「딩」하고 종소리가 울려 왔다.
『아니 저 종소리가?』
종소리가 여운을 남기며 울려 퍼지자 구렁이는 그만 힘이 빠지면서 당황해
했다.
『딩- 딩- 딩-』
종소리는 세 번 더 울렸다.
구렁이는 몇 번 몸을 흔들더니 스르르 몸을 풀어 방 밖으로 나갔다.
청년은 정신을 가다듬어 벌떡 일어나 대청으로 달려갔다.
『아니 이게 웬 꿩들인가?』
대청마루 바닥엔 머리가 깨져 피투성이가 된 꿩 네 마리가 죽어 있었다.
꿩들은 자기들의 은인인 청년에게 보은키 위해 목숨을 던져 청년을 구한 것
이다. 그 후 과거에 급제한 청년은 꿩의 죽음을 애도하는 뜻에서 꿩 '치(雉)'
자를 따서 본래 적악산이던 이 산 이름을 치악산(雉嶽山)이라 불렀다. 그리곤
꿩이 죽은 그 자리에 절을 세워 불도를 닦으니 그 절 이름이 오늘의 강원도 원
성군에 위치한 상원사이다.
-<한국불교전설 99> 치악산 상원사편-
※ 백우의 생각
이 전설은 첫줄부터 오류를 범하고 있습니다. 이 전설의 대의는 알겠으나
자체 모순을 가지고 있습니다. 청년이 과거를 보러 한양에 간다는 것은 역사적
오류입니다. 지금 시대적 배경은 조선이 아니라 신라입니다. 그러니까 한양
이란 말 자체가 문제입니다.
상원사는 문무왕(661~681 재위) 때 의상대사가 창건하였고 신라 말 무착대
사에 의해 중창되었다고 하는데 창건 당시는 과거제도가 없었을 때입니다. ^^
신라시대에 독서삼품과를 설치하여 당나라의 과거제도를 도입했는데 이때는
신라 원성왕 때인 788년이었는데 골품제가 워낙 확고해서 관리 등용에 한계가
있었다고 합니다.
처음에 오류를 범하니 시종이 그러합니다. 그런데 전설의 원문은 이 밖에도
두 가지 오기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많은 카페에 그대로 전재되고 있네요. 두
가지는 수정하여 올렸습니다. 한 사람이 잘못 전하면 만인이 오류를 범하게 됩
니다.
상원사 종에 얽힌 전설은 이 밖에도 두 가지 더 있어 올려 보고자 합니다.
내용은 대동소이하나 조금 다릅니다. 이 전설과는 인물이 다릅니다. ^^

향기로운 불교
|
첫댓글 이 이야기는 어려서부터 만화로도 봐 왔습니다. 만화 속 이야기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기억은 없으나 시대적으로 오류가 많군요.
만화로 보신 분들이 많더군요. 거기에 꿩이 까치로 되어 있다고 하더군요. 글쓰는 이가 조금 주위를 기울였으면 되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큽니다. 절도 아닌 뱀이 환(幻)으로 만든 집인데 범
이 있었다는 것도 그렇고... 


_()_
시대적 배경이 맞지 않는 이야기임에도 은혜갚음의 상징적 내용을 받아들이죠. 조금 다른 각도에서 생각해 보면 구렁이가 먹잇감인
꿩을 잡아 먹는것으로 끝났다면 살생도 그 꿩 한 마리로 족 했을것을 구렁이도 죽고 은혜를 갚기 위해 꿩도 네마리나 희생되었네요. _()_
주제는 보은이니...

희생이 커서 애틋하기만 합니다. 한갓 미물로 취급하는 꿩도 보은하기 위하여 한 몸을 기꺼이 바쳤다는 것은 숭고하여 인간을 숙연하게 만듭니다. 
_()_
전설의 고향에도 이 이야기가 나왔던 적이 있었죠
유명한 이야기지요. 곧 2탄도 올려서 대조해 보겠습니다. 내용은 대동소이하지만... 약간 다른 바가 있습니다.
_()_
어떻게 다른지 2탄이 기대되네요..^^
예, 기대해 보세요.
_()_
그러네요~~
그런데 이를 바탕으로 동화책이 나오고 만화도 나오고 교과서에도...
_()_
()()()
감사합니다.
_()_
자비를 베풀어 목숨을 구해주신 선비께 , 생명을 받쳐 보은한 뀅 ! 전설 이지만 교육용이 아닐까요. (결초보은) ()()()
예, 전설은 모두 교훈을 담고 있지요.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