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안마다 조금씩 제사 모시는 방법을 달리 합니다.
이 자료는 어디까지나 참고용입니다.
집안에서 고인이 살아생전 해 드린대로 필요한 의식만 정하여 제사를 모시면 될 것입니다.
한가지 빠졌다고 혼백이 나무라는 것은 아니지요.
● 기제사(忌祭祀)
○ 기제 시간
옛날에는 "돌아가신 날 자시(子時)에 제사를 행한다."라고 되어 있다.
자시(子時)라는 시각은 지금 시각으로 말하면 밤 11시부터 다음 날 새벽 1시를 일컫는다.
그래서 옛날 자시라는 시각 개념과 현재의 시각 개념과는 차이가 난다.
자시(子時)에 고인이 돌아가셨다고 할 때
밤 11시 30분에 돌아 가신 분과 밤 12시 30분에 돌아가신 분은
엄격히 말해서 옛날에는 같은 날에 돌아가신 날로 첬지만
지금은 전날과 다음날로 돌아가신 날이 달라진다.
자시라는 시각 개념으로 따질 것이 아니라
자정(子正)을 기점으로 전날이냐 다음 날이냐를 결정해야될 것이다.
자정(子正- 12시)부터 인시(3시 이후 - 5시)까지
날이 새기 전 새벽에 기제를 올리는 것이 바르다.
제사는 음력날짜로 고인이 돌아가신 날짜에 모신다.
새벽에 제사를 모시는 이유는 깨어나 시끄럽고 더럽혀지기전에
조용하고 깨끗한 첫 새벽에 제사를 모시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은 가정의례 준칙에서처럼
"별세한 날 일몰 후 적당한 시간"에 지내게 되어 있다.
아직도 옛풍습 그대로 첫 새벽에(주로 축시 1시-3시. 안동 권씨)제사를 모시나
요즈음은 대부분 퇴근 후 가족의 편의를 생각해서 오후 8시나 9시에 지내는 집들이 많다.
* 간혹 잘못 알고 별세한 전일 오후 7 - 12시경에 지내는 사람이 있는데
기제는 별세한 날에 지내는 제사이므로 별세한 전일에 지내는 것은 잘못이다.
이유는 아래 기제일과 재계일를 참고하면 명백해진다.
* 기제일(忌祭日)과 재계일(齋戒日)
별세(別世)하신 전일(前日)이 입제일(入齋日)이고
별세(別世)한 날이 기일(忌日)로서 정재일(正齋日)이고
제사 모신후는 바로 파재(罷齋)이다.
이 2일간은 재계(齋戒-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음식과 언행을 삼가하고
부정을 멀리 하는 일)를 해야한다.
입제일(入齋日)에는 제주(祭主)와 주부(主婦)가 목욕재계(沐浴齋戒)하고
음주(飮酒)를 삼가고 가무(歌舞)를 하지 않으며
상가(喪家)의 조문(弔問)도 하지 않고 집안을 깨끗이 청소하고
고인(故人)의 생존시(生存時)를 회상(回想)하면서 추모(追慕)한다.
● 제례 순서
1. 신위봉안(神位奉安)
1) 영신(迎神) - 신을 모시는 절차이다.
① 제주는 먼저 대문(현관)을 열고
② 제상의 뒤쪽에 병풍을 치고
③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 뒤
④ 지방을 써서 붙인다. - 사진을 모셔도 된다.
⑤ 상 양쪽에 촛불을 켜는 순서까지가 영신이다.
2) 강신(降神) -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 여기서부터 제주와 참사자 전원
고인의 직계존비속이 차례에 따라 적당히 줄을 맞추어 선다
① 제주가 무릎을 꿇고 분향(향에 불을 켜서 향로에 꽂음)한다.
② 제주가 잔을 내려 잔에 술을 따른 후
모사 그릇에 술을 세 번에 나누어 부은 뒤 빈 잔을 상위에 올린다. (강신뇌주)
③ 제주가 일어나서 2번 절한다
* 향을 피우는 이유는 하늘의 신을 부르는 것이고
모사그릇에 술을 붇는 이유는 땅의 조상신을 부르는 행위이다
3) 참신(參神) -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이다.
① 제주는 빈 잔을 내려 술을 가득 부은 후
시계 바늘 반대 방향으로 세 번 돌린 후 상에 올린다.
(혹은 잔반의 술을 모사그릇에 3번에 걸쳐 조금 지운다.
이는 혼백에게 술을 권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성균관에서는 향위에 잔을 돌리지 않는다.
잔을 향위에 세번을 돌리는 이유는
술을 향의 열기로 데워 드리는 의미라는 말도 있다.)
② 제주와 참사자 일제히 신위 앞에 2번 절한다.
2. 초헌(初獻)
제주가 고인에게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① 제주는 상위의 잔을 내려 모사 그릇에 3번에 나누어 붓고
다시 가득 채워 두 손으로 받들어 젯상에 올린다.
(잔에 술을 채운후 조금씩 3번에 나누어 제한후
2/3정도 남긴후 상에 올리는 집안도 있다)
② 향불 위에 3번을 시계 반대(제주 가슴 앞쪽) 방향으로 돌린 후 상위에 올린다.
③ 술잔을 밥그릇과 국 그릇 사이 앞에 놓는다.
④ 잔을 올린 뒤 제수 위에 젓가락을 올려놓는다.
⑤ 제주만 2번 절을 한다.
* 옆에 집사가 술을 따루고 상위에 올리고 내려도 되나
집사없이 제주 혼자서 해도 무방하다.
* 합설인 경우에는 잔을 고위(考位- 先親- 돌아가신 아버지)에게 먼저 올리고
다음에 비위(비位- 先母- 돌아가신 어머니)에게 올린다.
* 제사 때 술을 3번 돌리는 이유는
㉠ `거한'(去寒)이라 하여 온기가 있는 향로 위에서 잔을 돌려
술을 따뜻하게 데운다는 의식이다.
보통 시계 반대방향으로 술잔을 3번 돌린 다음 올린다.
㉡ 또 한 이유는 삼사상(三思想) 때문이다.
단 세 번, 단 삼 판 - 용서도 3번, 시합도 3번 - 3사상에서
㉢ 또 하나의 이유는 하늘에 고하고, 땅에 고하고, 세상 모든 만물에 고하는 의식으로
대대로 전해져 오는 관습이다.
* 본래 술을 돌리는 것이 불가에서는 부처님께 술을 올릴 때 쓰는 방법이라고 해서
집안에 따라서 돌리지 않고 그냥 잔을 올리는 경우도 있다.
3. 독축(讀祝)
㉠ 초헌이 끝나면 제주는 축문을 읽는다.
㉡ 참사자들은 모두 경건한 마음으로 무릎 꿇고 앉아 머리를 숙인다.
㉢ 제주가 축문을 읽은 후 일어나 2번 절을 한다.
* 옛날에는 곡을 했으나 지금은 생략한다.
4. 아헌(亞獻)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 고인의 근친자인 아녀자(주부)가 상위의 잔을
내려 모사 그릇에 세 번에 나누어 모두 부어 버린다.
㉡ 다시 술잔에 술을 가득 부어 3번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린 후 그대로 바로 상위에 올린다.
㉢ 아헌자인 여자의 경우에는 옛 법도에 따르면 4번의 절을 하도록 되어 있다.
* 양과 음을 따지면 남자와 여자의 절하는 횟수가 2번과 4번이 맞으나
굳이 따질 것 없이 공히 2번으로 하면 어떨까?
함께 절하는데 남자는 2번, 여자는 4번을 하여 여자가 절 4번을 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니....
음양의 이치에 따라 2번의 절과 4번의 절을 한다면
다른 것도 모두 음양을 따져 행동해야 하나 그렇지 않은 것도 많다.
그럴 것 까지는 없다고 보고 필자의 집안에서는 공히 남녀 절2번으로 끝낸다.
* 아헌은 [가례]의 예에서 모두 주부가 행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이는 "제사는 부부가 함께 한다(夫婦共祭)"는 정신에서 나온 예법이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여자가 헌작하는 풍습이 드물어
주로 제주 이외의 친족 형제들이 행하고 있다.
* 그러나 요즈음은 남녀 구분없이 모두가 제사를 모신다.
* 여자들이 4번의 절을 하는 까닭은
음양오행설에 남자는 양수를, 여자는 음수를 가리키기 때문이다.
양수는 1, 3, 5....의 수이고 음수는 2, 4, 6....의 수이다.
남자는 1를, 여자는 2를 가리킨다고 했을 때
죽은 자에게는 두 번의 절을 올리는 것을 감안하면
1과 2의 배수 즉 남자는 2번, 여자는 4번의 절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5. 종헌(終獻)
고인의 근친자로 제주가 아닌 다음 사람이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 종헌자가 올린 술잔을 내려 모사 그릇에 3번에 걸쳐 모두 모사 그릇에 붓고
㉡ 다시 술을 따르는데 이때 술잔은 7부정도만 술을 부어 바로 상위에 올린다.
㉢ 종헌자만 2번 절한다.
* 부(父)의 제사는 제주의 가족을 중심으로 아헌자와 종헌자를 정하고
조부(祖父)일 경우에는 장손(長孫)을 제주로 하여 아헌자와 종헌자를 정하여야 한다.
6. 첨작(添酌)
유식이라고도 하며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끓어 앉아
상위의 술잔을 내려 술 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3번을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 후 상위에 올린다.
㉡ 참사자 모두 함께 절을 한다.
(술을 마지막으로 올리기 때문에 참사자 전원 절을 하는 집안도 있으나
성균관에서는 절을 하지 않는다)
7. 계반(啓飯) 및 합문(閤門)
1) 계반(啓飯)
* 삽시정저(揷匙正箸- 숟가락을 메에 꽂고 젓가락을 고른다)
제수를 많이 드시라 비는 의미로
㉠ 밥그릇 뚜껑을 열고(啓飯) 숟가락 바닥(안쪽- 오목하게 파인 곳)이 동쪽으로 가도록
메(밥)그릇의 중앙에 꽂고(揷匙)
㉡ 젓가락을 3번 고른 후(正著) 어적(魚炙-찐 고기)이나
육적(肉炙-찐 육고기)위에 가지런히 놓는다.
㉢ 제주만 2번 절을 한다.
* 본디는 주부가 한다고 되어 있지만 집안에 따라 제주가 해도 된다.
2) 합문(閤門)
참사자 전원 약 5분동안 문을 닫고(閤門) 자리를 비운다.
그렇게 하기가 어려우면 제자리에서 3-4분 꿇어앉아 있으면 된다.
8. 계문(啓門)
합문 후 닫았던 문을 여는(啓門) 절차이다.
제주가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참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간다.
* 헛기침을 하는 이유는 방으로 들어간다는 것을 미리 알린다는 뜻이 있다.
헛기침을 생략하고 조용히 제상 앞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9. 헌다(獻茶)
갱(국)을 내리고 숭늉(혹은 냉수)을 올리는 절차이다.
㉠ 숭늉(혹은 냉수)을 갱(국)과 바꾸어 놓고
㉡ 젓가락은 고르고 숟가락은 손잡이가 서쪽으로 가게 물그릇에 가지런히 걸쳐놓고
㉢ 잠시 읍(존경의 뜻으로 몸을 굽힘)하고 서 있다가 일어나도 좋고
엎드려 있다가 일어나도 된다.
10. 철시복반(撤匙覆飯)
㉠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고(撤匙)
㉡ 밥그릇의 뚜껑도 덮는다.(覆飯)
11. 사신(辭神)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작별 인사를 하는 차례이다.
㉠ 참사자 전원 일제히 큰절을 올린다.
* 이로써 제사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 만약에 멀리서 온 가족이 섭섭하다고 자기도 술 한잔을 올리고 싶다면
이 때에 별도로 올리면 될 것이다.
㉡ 제주는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11. 철상(撤床)
상을 물리는 절차이다.
㉠ 제상 위의 모든 제수를 뒤쪽에서부터 차례로 물린다.
* 복주(福酒)
제사에 사용한 잔, 주전자, 퇴주 그릇 등에 있는 술은
모두 병에다 부어 보관하는데 이것을 복주라고 한다.
* 음복(飮福)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란 의미로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제복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되지만
어디까지나 참사자의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 원칙은 우집사 좌집사가 있어야 하고
아헌시 주부가 술을 올릴 때는 여집사가 있어야 하고
제주가 올리는 음식이 따로 있고
주부가 올리는 음식이 따로 있는 등 그대로 할려면 힘이 든다.
남의 제사에 '감놔라 배놔라'라고 하면 안된다.
어느 의식을 집안에서 정하여 가가례로 하고
제사를 정성을 다하여 모시면 될 것이다.
첫댓글 제사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