垓子(해자) |
해자 |
성벽 밖에 적이 접근하기 어렵게 파 놓은 참호 시설로 물을 채워 놓음. |
moat(around an imperial palace, city wall, and so on |
行廊舍(행랑사) |
행랑채, 행랑 |
대문간에 붙어 있는 집. 대문의 양쪽이나 문간 옆에 있는 방. |
the servants quarters on both sides of the gate |
鄕校(향교) |
향교 |
고려 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 시대에 계승된 지방 교육 기관. |
country public school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 |
護石(호석) |
둘렛돌, 호석 |
큰 무덤의 봉토가 무너지지 않도록 아랫부분을 둘러막은 돌. |
stone slabs(around the base of a large tumulus) |
魂殿(혼전) |
혼전 |
궁궐에서 돌아가신 왕이나 왕비의 신주를 모셔 놓고 상례 기간 동안 제사를 드리던 건물. |
a hall with the spirit tablets of the deceased kings and queens for 3 years |
홍살문 |
홍살문 |
능, 원, 묘, 궁전 등의 정면에 세우던 붉은 칠을 한 문. 둥근 기둥 두 개를 세우고 지붕이 없이 붉은 살을 박았음. |
"red arrow gate"; a red gate with arrow-shaped decoration on top, errected at the entrance of a palace, an office building, a tomb and so on |
紅霓門(홍예문) |
무지개문, 홍예문 |
문의 윗부분을 무지개 모양으로 반쯤 둥글게 만든 문. |
arch gate |
火口(화구) |
아궁이 |
가마나 방, 솥, 구덩이 같은 데에 불을 때기 위하여 만든 구멍. |
the opening of a firebox |
回廊(회랑) |
회랑 |
한쪽에는 벽면, 지붕이 있고 맞은 편은 개방된 길고 좁은 복도형 건물. 정당(正堂)의 좌우에 있는 기다란 집채. |
quadrangular colonade |
加壓剝離(가압박리) |
눌러떼기 |
뼈나 뿔의 뾰족한 끝으로 석기의 가장자리나 표면에 힘을 주어 얇게 떼어 내는 잔손질 수법. 후기 구석기의 잔손질 수법. |
pressure flaking |
加壓調整(가압조정) |
눌러다듬기 |
몸돌이나 격지의 날을 모루 끝에 가볍게 눌러가며 다듬는 수법. 후기 구석기 시대의 잔손질 수법. |
pressure trimming |
角杯(각배) |
뿔잔 |
쇠뿔처럼 생긴 토기. 뿔잔을 걸쳐 놓는 그릇 받침과 함께 출토되는 예가 많음. |
horn shaped cup |
角形土器(각형토기) |
팽이모양토기 |
청동기 시대 토기. 외형이 팽이 모양이며, 겹아가리와 좁은 굽이 특징임. 청천강 이남과 한강 이북에 주로 분포함. |
top-shaped pottery |
竿頭鈴(간두령) |
장대투겁방울 |
청동기 시대 포탄형의 몸통이 방울로 사용된 동령류. 깃대나 의장용의 장대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의례용 도구. |
pole-top bell |
間接打擊(간접타격) |
간접떼기 |
뿔, 뼈 등의 쐐기를 이용해서 간접적으로 격지를 떼 내는 후기 구석기 시대 석기 제작 수법. |
indirect flaking |
褐色磨硏土器(갈색마연토기) |
갈색간토기 |
청동기 시대 민무늬 그릇. 표면을 갈아서 반들반들하게 만든 갈색의 토기. |
brown burnished pottery |
甲胄(갑주) |
갑옷과 투구 |
삼국 시대 고분에서 주로 출토됨. 싸울 때 화살이나 창검을 막기 위해 쇠로 만든 옷. 판갑과 비늘 갑옷이 있음. |
armour |
蓋弓帽(개궁모) |
일산살대투겁 |
청동제. 수레의 좌석에 세우는 양산의 살대 끝에 끼우는 투겁 장식. 꼭지 부분에 여러 개의 양산살이 뻗어 있음. |
end fitting of personal frame |
蓋杯(개배) |
뚜껑접시 |
깊이가 얕은 잔으로 고배의 잔과 같이 뚜껑받이 턱이 있음. 주로 뚜껑이 덮여져 함께 출토됨. |
flat cup with cover |
蓋石(개석) |
뚜껑돌 |
청동기 시대 지석묘의 하부 구조나, 삼국 시대 석곽이나 석실묘 등의 상부를 덮는 편평한 돌. |
covering stone |
車輿具(거여구) |
수레부속 |
수레에 딸린 부속구. |
chariot fittings |
車軸頭(거축두) |
(수레)굴대마개 |
수레바퀴의 축 끝에 끼워 바퀴를 고정시키는 청동제 부속품. |
axle fittings |
鉅齒文(거치문) |
톱니무늬 |
톱니처럼 생긴 무늬. |
saw-tooth pattern |
車衡(거형) |
멍에 |
수레나 쟁기를 끌기 위하여 마소의 목에 얹는 구부러진 막대. |
yoke |
車衡銅器(거형동기) |
멍에마개 |
수레 굴대 끝을 감싸 주는 장식물. 한 쪽이 막힌 원통형인데 마구리에 방울이 달린 것도 있음. |
chariot wheel fitting |
車形土器(거형토기) |
수레모양토기 |
수레 모양으로 빚어서 만든 토기. |
chariot shaped pottery |
劍身(검신) |
칼몸 |
칼날이 세워진 부분. |
body of dagger |
검심 |
칼코 |
칼몸과 칼자루 사이에 돌출된 부분. |
sword guard |
검초금구 |
칼집 |
칼몸을 꽂아 넣기 위한 집. |
scabbard |
검초부속구 |
칼집장식 |
나무로 만든 칼집을 고정시키기 위한 청동, 쇠, 금, 은제 등의 테 장식. |
accessory of scabbard |
劍把(검파) |
칼자루 |
칼몸에 부착된 자루. |
dagger haft |
劍把頭飾(검파두식) |
칼자루끝장식 |
칼자루 끝에 부착하는 장식. |
pommel fittings of bronze dagger |
劍把形銅器(검파형동기) |
대나무모양 청동기 |
대나무를 세로로 쪼개 놓은 형태로 표면에 기하학적 무늬를 새기고 실로 만든 고리를 위 아래로 붙여 칼자루처럼 만든 것. |
split bamboo-shaped bronze implement |
格字文(격자문) |
격자무늬 |
직교되게 선들을 교차시켜서 생기는 사각형 무늬로, 전통 가옥의 문살에서 주로 보이는 무늬. |
lattice design |
肩部(견부) |
어깨 |
그릇 몸통의 어깨 부분. |
shoulder |
脛甲(경갑) |
목가리개 |
갑옷에서 목을 가리는 부분. |
neck gourd |
莖部(경부) |
슴베 |
화살촉이나 칼, 호미, 낫 등의 자루 속에 들어 박히는 뾰족하고 긴 부분. |
tang |
頸飾(경식) |
목걸이, 목거리 |
목에 걸어 늘어뜨리는 장식품. |
necklace |
鏡板(경판) |
재갈멈추개 |
재갈의 양 끝에 고삐를 매어 잡아당길 때, 재갈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판 모양의 도구. |
gag fitting |
階段狀剝離(계단상박리) |
계단식떼기 |
몸돌에서 격지를 계단식 모양으로 떼어 내려가는 수법. 구석기 시대에 쓰던 잔손질 수법. |
step flaking |
高杯(고배) |
굽다리접시, 고배 |
접시에 높은 굽을 붙인 잔으로, 잔에 뚜껑받이가 있는 형식과 없는 형식이 있음. 신라, 가야의 고분에서 주로 출토됨. |
mounted cup |
古墳(고분) |
고분 |
삼국 시대에 흙이나 돌로 된 봉분이 있는 무덤이라는 의미를 갖지만, 단지 하부 구조만 만들어진 예도 많음. |
tumulus |
古墳群(고분군) |
고분군 |
일정한 구역이나 지역 내에 무덤이 무리 지어 있는 것. |
group of tomb |
敲石(고석) |
돌공이 |
절구나 움푹한 그릇에 든 곡식이나 열매 따위를 찧는 돌 방망이. |
pestle |
高塚(고총) |
큰무덤,고총 |
봉분을 높고 크게 쌓아서 웅장하게 보이는 상류 계층의 무덤. |
great tumulus |
曲玉(곡옥) |
곱은옥, 곡옥 |
옥을 반달 모양으로 다듬어 끈에 꿰어서 장식으로 쓰던 구슬. |
comma-shaped jade |
骨角器(골각기) |
뼈뿔연모 |
동물의 뼈나 뿔, 이빨 등으로 만든 연모. 구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음. |
bone and shell made tool |
骨鏃(골촉) |
뼈화살촉 |
동물의 뼈나 뿔로 만든 화살촉. |
bone arrowhead |
骨針(골침) |
뼈바늘 |
동물이나 생선의 뼈로 만든 바늘. |
bone needle |
骨壺(골호) |
뼈단지 |
신라 병합기 이후 화장을 한 후 뼈를 추려서 담았던 그릇. |
burial urn |
孔斧(공부) |
주머니도끼 |
자루를 끼우는 부분이 주머니처럼 생긴 도끼. |
socketed axe |
孔列土器(공열토기) |
구멍무늬토기,공렬토기 |
무문토기 일종으로, 토기의 입술 부분 바로 밑에 돌아가면서 작은 구멍이 뚫려 있거나 누른 흔적이 있는 토기. |
rim-perforated pottery |
戈(과) |
꺾창 |
긴 자루에 날을 직각으로 매달아서 찍거나 베는 데 쓰는 무기의 일종. 청동기 시대에 주로 사용함. |
dagger-axe |
과대 |
허리띠 |
신라 지역의 고분에서 주로 출토되는 금,은제의 허리띠. |
girdle or belt |
槨(곽) |
덧널 |
무덤 속에 관 및 주검이나 부장품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 |
outer coffin |
棺(관) |
널, 관 |
시체나 부장품을 넣기 위한 구조물. |
coffin |
棺金具(관금구) |
널장식 |
널의 겉 부분에 붙이거나 꾸미는 금속 장식품. |
metal ornament for coffins |
棺臺(관대) |
널받침 |
널을 놓기 위해 높게 쌓아서 만든 받침대. |
platform for coffin |
冠飾(관식) |
관장식 |
관을 꾸미는 데 쓰던 금속이나 옥 장식품. |
crown ornament |
官衙址(관아지) |
관아터 |
관청이 세워져 있었던 유적. |
site of government office |
管玉(관옥) |
대롱옥 |
구멍을 뚫은 짧은 대롱 모양의 구슬. 맨 먼저 생긴 구슬임. |
tubular jade |
棺材(관재) |
널감 |
널을 만들 재료. |
coffin wood |
棺釘(관정) |
널못 |
석실묘에서 주로 출토됨. 널의 판재를 고정시키는 데 쓰인 못. |
coffin nail |
廣口小壺(광구소호) |
입큰작은단지 |
삼국 시대 초기의 고분에서 주로 출토됨. 아가리가 몸통보다 넓고 크게 벌어진 작은 단지. |
jar with wide mouth |
怪雲紋(괴운문) |
구름무늬 |
구름을 표현한 무늬. |
cloud design |
교구 |
띠고리 |
가죽이나 천으로 된 띠를 매기 위해 양끝에 달린 고리. 허리띠를 고정하는 데 쓰는 금속의 고리. |
belt hook |
交互剝離(교호박리) |
엇갈림떼기 |
날의 안팎을 서로 엇갈리게 격지를 떼 내는 전기 구석기 제작 수법.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돌의 격지 따위를 떼어 내는 방법. |
alternative flaking |
口脣刻目土器(구순각목토기) |
톱니입술토기 |
무문토기 일종으로, 토기의 입술 부분이 톱니처럼 되어 있거나 골이 있는 토기. |
pottery with notched strip on rim |
口脣部(구순부) |
입술면 |
토기 아가리의 가장자리. |
rim of pottery |
口緣部(구연부) |
입술, 아가리 |
토기의 입술을 포함한 최상위 부분. |
mouth |
掘耕(굴경) |
뒤지개농사 |
식량 채집 단계에서 나뭇가지나 뼈로 된 막대기로 파서 경작하는 농사 방식. |
cultivation with stick |
掘棒(굴봉) |
뒤지개 |
땅속을 뒤져 식물의 뿌리나 열매를 캐는 데 쓰던 나무나 뼈로 만든 연장. |
digging stick |
屈身葬(굴신장) |
구부려묻기 |
시체의 팔다리를 굽혀 쭈그린 자세로 매장함. |
flexed burial |
宮闕址(궁궐지) |
궁궐터,궁터 |
옛날 궁궐이나 관청이 세워져 있던 유적. |
site of palace |
穹隆狀天井(궁륭상천정) |
반원통천장 |
무지개 모양처럼 둥글게 쌓아 올린 천장. |
arch-shaped ceiling |
捲上法(권상법) |
서리기 |
토기를 빚는 수법. 나사처럼 점토 가락을 돌려가며 쌓아서 그릇 벽을 만드는 수법. |
coiling method |
蕨手文(궐수문) |
서린무늬 |
고사리 모양으로 여러 겹의 선이 돌려진 무늬. |
fernbrake-shaped pattern |
龜甲文(귀갑문) |
거북무늬 |
거북의 등 모양처럼 겹친 육각형으로 연결된 무늬. |
tortoise-shell design |
戟(극) |
옆가지창 |
중국의 진, 한 시대에 주로 사용한 무기. 창에 옆가지 날을 단 창. |
halberd, chi |
基段式積石塚(기단식적석총) |
돌기단무덤, 기단식적석총 |
계단식의 기단 모양으로 축조된 돌 무덤. |
stone mound tomb |
器臺(기대) |
그릇받침 |
바닥이 둥근 항아리 등을 올려 놓는 데 쓰던 토기. |
pottery stand |
喇叭形銅器(나팔형동기) |
나팔모양 청동기 |
나팔 악기와 닮은 청동기. |
trumphet-shaped bronze tool |
內灣刃(내만인) |
오목날 |
가운데가 오목하게 된 석기의 날. 자루를 다듬는 데 사용함. |
concave edge |
弩器(노기) |
쇠뇌 |
쇠로 만든 발사 장치가 달린 활. 낙랑의 고분에서 주로 출토되었음. |
cross-bow |
爐址(노지) |
불자리, 노지 |
선사 시대의 집터에서 난방과 음식 마련을 위하여 불을 피우던 자리. 흙이나 돌을 돌려서 만듬. |
hearth |
露天窯(노천요) |
한뎃가마 |
지상에 얕은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불을 지펴서 토기를 굽던 선사 시대 토기 가마. |
open kiln |
鹿角形立飾(녹각형입식) |
사슴뿔장식 |
사슴뿔 모양으로 세워진 장식. 주로 관의 장식으로 사용됨. |
antler-shaped ornament of crown |
多槨式(다곽식) |
여러덧널식, 다곽식 |
하나의 봉토 안에 여러 개의 무덤이 함께 만들어져 있는 형식. |
multiple coffin type |
다뉴경 |
(두)꼭지거울 |
뒷면에 여러 개의 꼭지가 붙어 있는 청동 거울. |
mirror with two knobs |
多室墳(다실분) |
여러방무덤 |
하나의 봉토 안에 여러 칸의 방이 갖추어진 무덤. |
tomb with several rooms |
短頸壺(단경호) |
짧은목항아리, 짧은목단지 |
목이 짧은 항아리. |
jar with short neck |
單槨式(단곽식) |
홑덧널식 |
한 무덤 안에 한 개의 널을 갖춘 양식. |
single coffin type |
丹塗磨硏土器(단도마연토기) |
붉은간토기 |
청동기 시대 민무늬 토기. 표면을 붉은색으로 문질러서 반들반들하게 윤기를 낸 토기. |
red burnished pottery |
短斜線文(단사선문) |
빗금무늬 |
짧게 새긴 빗금 무늬.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나 청동기 시대 무문 토기 구연부에 베풀어지는 무늬. |
horizontal bands of oblique |
單室墳(단실분) |
홑방무덤 |
하나의 널방으로 이루어진 돌방 무덤의 형식. |
tomb with single room |
單甕式甕棺(단옹식옹관) |
홑독무덤 |
하나의 독을 판돌 등으로 막아서 널로 사용한 독널 무덤의 형식. |
single jar coffin |
單葬墓(단장묘) |
홀로묻기무덤 |
하나의 무덤 시설에 1구(軀)의 주검을 매장한 무덤. |
single burial |
帶鉤(대구) |
허리띠고리 |
허리띠의 끝에 달려 띠를 연결하는 고리. |
buckle |
帶金具(대금구) |
허리띠장식 |
허리띠의 겉에 다는 금속 장신구. |
buckle accessory |
臺輪(대륜) |
관테 |
관의 밑받침으로 머리에 얹혀지는 둥근 테. |
round base of crown |
臺附鉢(대부발) |
굽다리바리 |
신라, 가야의 토기. 굽다리가 달린 바리 모양의 토기. |
mounted bowl |
臺附小壺(대부소호) |
굽다리단지 |
신라, 가야의 토기. 굽이 달린 작은 단지. |
mounted small jar |
臺附碗(대부완) |
굽접시 |
신라, 가야의 토기. 높은 굽다리가 있는 접시. |
mounted dish |
臺附長頸壺(대부장경호) |
굽다리 긴목항아리 |
신라, 가야의 토기. 받침이 달린 긴목 항아리. |
mounted jar with long neck |
臺附直口壺(대부직구호) |
굽다리곧은 목항아리 |
받침이 달린 입술 부분이 곧바로 세워진 항아리. |
mounted jar with vertical neck |
臺附壺(대부호) |
굽다리 항아리 |
받침이 있는 항아리. |
mounted jar |
臺石(대석) |
모룻돌 |
대장간의 모루와 같이 석기를 만들 때에 받치던 돌. |
anvil stone |
臺石技法(대석기법) |
모루떼기 |
돌을 모룻돌에 부딪쳐서 격지를 떼 내는 석기 제작 수법. |
anvil-hurling technique |
大壺(대호) |
큰항아리 |
독처럼 큰 항아리. |
big jar |
刀子(도자) |
손칼 |
몸에 지니거나 달고 다니는 작은 쇠칼. |
hand knife |
陶質土器(도질토기) |
도기 |
밀폐된 가마에서 환원염에 의해 단단하게 굽혀진 토기. |
stoneware |
陶車(도차) |
돌림판 |
1분에 100회 이상 회전이 가능하도록 만든 둥근판. 그 위에 바탕흙을 올려 놓고 돌려 가면서 토기를 빚어 올림. |
potter's wheel |
突帶文(돌대문) |
돋을띠무늬 |
그릇의 표면을 물레를 사용해서 나무칼 등으로 돋게 하여 띠처럼 돌아가게 한 무늬. 도기에 주로 나타남. |
raised bands |
銅劍(동검) |
청동검 |
구리, 주석, 아연, 납 등을 녹여서 만든 칼, 청동기 시대의 유물. |
bronze dagger |
銅鏡(동경) |
청동거울 |
청동제 거울. 거울 뒷면에 청동기 시대는 기하학적 무늬, 초기 철기 시대는 중국 한나라 거울을 모방한 무늬를 표현함. 고려 시대까지 청동 거울이 만들어짐. |
bronze mirror |
銅戈(동과) |
청동꺾창 |
청동제의 창. 찍거나 베는 데 사용한 무기의 일종. 긴 자루가 옆으로 직각되게 끼워서 사용함. |
bronze go halberd |
銅鈴具(동령구) |
청동방울 |
청동제 방울. 모양은 여러 가지이며, 수레나 말에 달거나 악기 또는 의기(儀器)로 사용되었음. |
bronze bell |
銅矛(동모) |
청동창끝 |
자루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청동제 투겁창. |
bronze spearhead |
銅斧(동부) |
청동도끼 |
청동제 도끼. 자루 모양, 부채 모양, 투겁 부분에 단이 져 있는 모양 등이 있음. |
bronze axe |
銅柶(동사) |
청동조각칼 |
청동기 시대 공구류의 일종으로 조각도의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
bronze dirk |
銅釣(동조) |
청동낚시바늘 |
청동제 낚시 바늘. |
bronze fish hook |
銅鏃(동촉) |
청동화살촉 |
청동제 화살촉. |
bronze arrowhead |
銅鑿(동착) |
청동끌 |
청동기 시대 나무에 구멍을 파는 데 쓰이는 끌. 한반도의 서남부 지방에서 주로 출토됨. |
bronze chisel |
胴體部(동체부) |
몸통 |
토기의 어깨와 바닥을 포함하여 가운데에 해당하는 부분. |
body |
銅鐸(동탁) |
청동말방울 |
청동기 시대부터 쓰기 시작한 방울 소리를 내는 의기(儀器). 말갖춤새와 함께 출토되어 말방울로 보기도 함. |
bronze horse bell |
동포 |
청동단추 |
청동으로 만든 단추 모양의 장식물. 고들개와 같이 가죽 말띠에 장식하였을 가능성이 있음. |
bronze button |
豆形土器(두형토기) |
굽다리 접시토기 |
접시에 높은 굽을 붙인 토기. 주로 제사용 그릇으로 사용함. |
mounted dish pottery |
登窯(등요) |
비탈가마 |
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경사진 구릉에 설치한 가마. 산등성이 비탈길에 굴 모양으로 길게 만든 가마. |
climbing kiln |
등자 |
발걸이 |
말을 탈 때에 발을 딛고, 달릴 때 몸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말갖춤새. |
stirrups |
爐形土器(노형토기) |
화로모양토기 |
토기 받침의 일종으로 화로처럼 생긴 토기. 나무덧널무덤에서 주로 출토됨. |
brazier pottery |
雷文土器(뇌문토기) |
번개무늬그릇 |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 무늬. 번개 무늬의 테두리를 선으로 새기고, 그 안에 점이나 사선을 채워 각이 나게 무늬를 새김. |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
鏤金手法(누금수법) |
금알갱이붙이기, 누금수법 |
금실을 불에 녹여 금물 방울을 떨어뜨려 무늬를 만드는 수법. 금 알갱이를 붙여 장식함. 또는 그런 세공 기법. |
filigree |
馬甲(마갑) |
말갑옷 |
말을 보호하기 위해 입히는 갑옷. |
horse armour |
馬具(마구) |
마구 |
말을 타거나 부리는 데 쓰는 각종 구비물. |
horse equipment |
馬鈴(마령) |
말방울 |
말의 목에 다는 방울. 주로 청동제임. 공 모양의 둥근 몸통 안에 돌이나 청동 구슬을 넣어 소리를 나게 함. |
horse bell |
馬面(마면) |
말얼굴꾸미개 |
말의 이마나 얼굴에 씌우던 꾸미개. |
forehead mask of horse |
磨硏土器(마연토기) |
간토기 |
표면에 안료를 바르고 갈아서 반들거리게 한 청동기 시대 민무늬 토기. 갈색, 붉은색, 검정색 토기가 있음. |
polished pottery |
磨製石劍(마제석검) |
간돌칼, 마제석검 |
청동기 시대에 쓰던 갈아서 만든 돌칼. |
polished stone dagger |
磨製石器(마제석기) |
간석기, 마제석기 |
신석기와 청동기 시대에 쓰던 갈아서 만든 석기. |
polished stone tool |
磨製石斧(마제석부) |
간돌도끼 |
신석기와 청동기 시대에 쓰던 갈아서 만든 돌도끼. |
polished stone axe |
磨製石鏃(마제석촉) |
간돌화살촉, 마제석촉 |
신석기와 청동기 시대에 쓰던 갈아서 만든 돌화살촉. |
polished stone arrowhead |
馬胄(마주) |
말머리가리개 |
말 머리를 화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말의 이마나 얼굴에 씌우던 물건. |
horse frontal |
馬鐸(마탁) |
말종방울 |
말의 가슴걸이에 다는 작은 방울. 통 모양의 몸통과 내부의 가늘고 긴 막대 모양의 혀가 있는 것이 특징임. |
horse bell with clapper |
馬形土器(마형토기) |
말모양토기 |
말 모양으로 빚은 토기. |
horse shaped pottery |
抹角操井(말각조정) |
모고임천장, 모죽임천장 |
무덤 내부 벽 위에 1-2단 안쪽으로 들여 쌓고 네 귀에 세모 굄돌을 걸쳐서 천장을 줄여 가며 올리는 천장. |
intersecting triangular ceiling |
矛(모) |
투겁창 |
자루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켓 같은 구멍이 나 있는 창. |
socketed spearhead |
母子高杯(모자고배) |
여러잔토기 |
하나의 그릇 받침이나 굽다리 안에 여러 개의 잔을 이어 붙인 토기. |
pottery stand with multi-mounted cups |
母子曲玉(모자곡옥) |
딸린곱은옥 |
구부러진 안쪽이나 바깥쪽 또는 옆 부분에 지느러미 모양의 작은 혹이 달린 구슬. |
knobbed comma-shaped jade |
木槨墓(목곽묘) |
나무덧널무덤,목곽묘 |
관을 넣어 두는 널방을 나무로 만든 무덤. |
wooden chamber tomb |
木棺墓(목관묘) |
나무널무덤, 목관묘 |
시체를 보호하는 널을 나무로 만든 무덤. |
wooden coffin tomb |
木刀(목도) |
나무칼, 예새 |
토기를 제작할 때 면을 고르게 하기 위해 깎거나 무늬를 베푸는 등의 용도에 사용하는 예리한 나무칼. |
wooden knife |
木柵(목책) |
나무울 |
방어용이나 경계용으로 말뚝 따위를 죽 잇따라 박아 만든 울타리. |
wooden barricade(fence) |
墓壙(묘광) |
무덤구덩이, 묘광 |
무덤 칸이나 무덤 덧널 또는 관을 넣기 위해 판 구덩이. |
grave pit |
墓道(묘도) |
무덤길 |
무덤 입구에서 돌방 무덤에 이르기 위해 만들어진 통로. |
grave entrance |
墓域(묘역) |
무덤구역, 묘역 |
묘소로서의 경계를 정한 구역. |
boundary of grave |
無蓋高杯(무개고배) |
뚜껑없는 굽다리접시 |
뚜껑받이 턱이 없는 굽다리접시. |
mounted cup without cover |
無莖鏃(무경촉) |
뿌리없는 화살촉 |
슴베가 없는 화살촉. |
arrowhead without tang |
無文土器(무문토기) |
민무늬토기 |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무늬 없는 토기. |
plain coarse pottery |
文樣(문양) |
무늬 |
토기나 금속에 베풀진 장식. |
design |
楣石(미석) |
이맛돌 |
널방 무덤의 문 위에 문설주 사이에 걸쳐진 긴 돌. |
headstone |
未完成石器(미완성석기) |
덜된석기 |
완성되지 않은 석기. |
unfinished stone tool |
剝離(박리) |
떼기 |
몸돌에서 격지를 얻거나 자연 면을 벗겨 내기 위해서 압력을 가하는 것. |
percussion flaking |
拍子(박자) |
두들개 |
토기를 만들 때 바탕흙을 두드려 단단하게 하는 데 쓰던 연장. 나무판에 갖가지 무늬가 새겨져 있음. |
paddle |
剝片(박편) |
박편 |
몸돌에서 떼어 낸 돌 조각. |
flake |
半圓卷文(반원권문) |
활점무늬 |
반원형의 중심에 점이 있는 무늬. 눌러 찍기에 사용되는 무늬. |
dotted semicircle pattern |
半月形石刀(반월형석도) |
반달모양돌칼 |
청동기 시대에 주로 벼 이삭을 따는 데 쓰던 반달처럼 생긴 돌칼. |
semi-lunar shaped stone knife |
鉢形器臺(발형기대) |
바리모양 그릇받침 |
바닥이 둥근 단지를 놓기 위한 높은 받침이 달린 큰 바리. |
bowl stand |
方格法(방격법) |
바둑판식발굴 |
발굴 조사 방법의 하나로,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을 한 다음 한 칸씩 파 내려 가는 방법. |
grid-method excavation |
倣製鏡(방제경) |
본뜬거울 |
주로 중국의 한나라 거울을 본떠 우리나라에서 유사하게 만든 거울. |
imitative bronze mirror |
紡錐車(방추차) |
가락바퀴 |
물레로 실을 자을 때 쓰며, 가락에 끼워 회전을 돕는 바퀴. 돌이나 흙으로 만든 제품이 있음. |
spindle whorl |
方形墳(방형분) |
네모무덤, 방형분 |
고분의 한 형태로, 봉토의 평면이 네모꼴로 된 무덤. |
square tomb |
陪塚(배총) |
딸린무덤 |
한 무덤의 옆에 딸린 조그맣게 만든 무덤. 두 무덤의 주인공 사이에는 친연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됨. |
subordinate tomb |
卜骨(복골) |
점뼈, 복골 |
점을 치는 데 쓰던 뼈나 뼈로 만든 도구. |
divination bone |
鋒部(봉부) |
칼끝, 창끝 |
창이나 칼 등의 뾰족한 끝 부분. |
point |
封土墳(봉토분) |
흙무덤 |
흙으로 무덤 위를 둥글게 쌓아 올린 고분. |
grave mound |
副槨(부곽) |
딸린덧널, 부곽 |
주검을 안치한 덧널과는 별도로 부장품을 넣기 위해 공간을 마련한 덧널. 대개 껴묻을 거리를 넣어 두는 곳. |
subordinate outer coffin |
敷石(부석) |
깐돌 |
천석이나 깬돌들을 무덤 바닥이나 무덤 어깨의 주위에 일정한 범위로 얇게 깐 돌. |
flooring stone |
副藏(부장) |
껴묻기, 부장 |
시체과 함께 무덤 내에 여러 가지 물건들을 넣는 장법. |
buring with the corpse |
副葬品(부장품) |
껴묻거리, 부장품 |
장사 지낼 때, 무덤 내에 시체와 함께 묻는 물건들. |
funerary object |
釜形土器(부형토기) |
솥모양토기 |
솥처럼 생긴 토기. |
kettle pottery |
墳墓(분묘) |
무덤 |
시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 |
tomb |
琵琶形銅矛 (비파형동모) |
비파모양창끝 |
날이 비파처럼 생긴 창끝. |
bronze violin-shaped spear |
四菱石斧(사릉석부) |
사릉석부 |
가로로 자른 단면이 네모꼴로 된 도끼. |
quadrangle axe |
使用痕(사용흔) |
사용흔 |
석기, 골기 등의 사용 부분이 마찰에 의해 닳거나 긁혀져 나타난 자국. 도구 따위를 사용한 결과 그것에 나타나는 흔적. |
use wear |
四耳附壺(사이부호) |
네귀단지 |
몸통에 귀가 네 개 달린 단지. |
jar with four lugs |
斜刃(사인) |
빗날 |
비스듬하게 이루어진 날. |
slant edge |
寺址(사지) |
절터,사지 |
옛날에 절이 있었던 자리. |
site of temple |
斜天障(사천장) |
경사천장 |
양쪽 옆벽 위에서 안쪽으로 비스듬히 올려 꼭대기가 맞붙은 삿갓 모양의 천장 구조. 백제 시대의 무덤에서 발견됨. |
slant ceiling |
削器(삭기) |
밀개 |
돌날 또는 격지의 한쪽 끝을 잔손질하여 만든 석기. 일반적으로 날의 너비보다 길이가 더 길게 만든 구석기 시대의 연장. |
end-scraper |
三角鏃(삼각촉) |
세날개화살촉 |
몸에 세 개의 날개가 나 있는 화살촉. 슴베가 없는 화살촉. |
arrowhead with three dangs |
三角形石刀(삼각형석도) |
세모돌칼, 삼각형돌칼 |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삼각형 모양의 돌칼. |
triangle stone knife |
三菱鏃(삼릉촉) |
세모촉 |
촉몸에 세 개의 모가 난 화살촉. 평면이 세모꼴인 화살촉. 청동기 시대와 삼국 시대에 주로 사용되었음. |
triangular arrowhead |
三葉環頭(삼엽환두) |
세잎고리자루 |
칼자루 끝 고리 속에 세 갈래 잎 모양의 장식이 있는 것. 삼국 시대의 유물에서 볼 수 있음. |
ring pommel with tri-leaf ornament |
三足器(삼족기) |
세발토기 |
발이 세 개 달린 토기. |
pottery with three legs |
三枝槍(삼지창) |
가지창, 삼지창, |
가지창. 끝이 둘 또는 세 가닥으로 갈라진 창. |
pronged spear |
三環頭(삼환두) |
세고리자루 |
칼자루 끝에 안쪽이 터진 작은 고리 세 개가 위와 좌우에 붙어 꾸며진 자루. |
tri-ring pommel |
上石(상석) |
덮개돌 |
청동기 시대 고인돌의 고임돌이나 하부 시설 위에 놓여진 덮개돌. |
cap stone |
床石(상석) |
상석 |
무덤 앞에 제물을 차려 놓기 위하여 만들어 놓은 네모 난 받침돌. |
table stone of tomb |
上底(상저) |
들린굽 |
그릇 바닥 가운데가 오목하게 패어 들어가 들려 있는 모양을 한 형태의 바닥임. |
foot of pottery |
石鋸(석거) |
돌톱 |
일정한 간격으로 잔손질하여 돌, 콘크리트 등의 석재를 켜는 톱. |
stone saw |
石鎌(석겸) |
돌낫 |
선사 시대의 낫과 비슷한 돌 도구. 나뭇가지나 풀을 베는 데 사용함. 돌로 만든 낫 모양의 도구임. |
stone sickle |
石槨墓(석곽묘) |
돌덧널무덤, 석관묘 |
주검과 부장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돌로 네 벽을 쌓아서 만든 덧널무덤. 지면을 깊게 파고 자갈 따위의 석재로 덧널을 만든 무덤. |
stone lined tomb |
石棺墓(석관묘) |
돌널무덤, 석관묘 |
깬 돌이나 판 돌을 잇대어 널을 만들어서 쓴 무덤. |
stone coffin |
石刀(석도) |
돌칼 |
청동기 시대 돌을 갈아서 만든 칼. |
stone knife |
石棒(석봉) |
갈돌 |
갈판돌에 대고 열매나 곡식을 놓고 왕복 운동을 해서 가는 데 쓰던 돌 막대기. |
stone grinding pestle |
石斧(석부) |
돌도끼 |
나무를 찍거나 패는 데 사용하는 돌로 된 도끼. 날이 자루와 같은 방향으로 선 것. |
stone axe |
石扉(석비) |
돌문 |
돌방 무덤 안에서 널방으로 들어가는 어귀에 세운 문. |
stone door of chamber tomb |
石屑(석설) |
부스러기 |
석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떨어져 나온 작은 돌 조각으로 석기로 사용할 수 없는 것임. |
spall |
石獸(석수) |
돌짐승,석수 |
무덤을 지키도록 무덤 속이나 둘레에 세운 돌로 만든 짐승의 형상. |
stone animal |
石室墓(석실묘) |
돌방무덤, 석실묘 |
돌로 널을 안치하는 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려 봉토를 만든 무덤. |
stone chamber tomb |
石室封土墳(석실봉토분) |
돌방흙무덤, 석실봉토분 |
돌로 무덤 칸을 마련하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려 만든 무덤. |
stone chamber tomb with mound |
石刃(석인) |
돌날 |
간접떼기인 돌날떼기로 돌에서 떼어 낸 길이가 너비의 2배를 넘는 긴 격지. 후기 구석기 시대에 발달한 것임. |
blade |
石刃技法(석인기법) |
돌날떼기수법 |
중기 구석기 말에서 후기 구석기 문화에 발달했던 쐐기를 이용하여 몸돌에서 돌날 격지를 떼 내는 간접떼기 수법. |
blade-technique |
石刃石器(석인석기) |
돌날석기 |
돌날 격지로 만든 석기. |
blade tool |
石刃核(석인핵) |
돌날몸돌 |
돌날을 떼어 낼 수 있도록 다듬은 몸돌이나 간접떼기로 돌날을 떼고 남은 몸돌로 떼어 내진 돌날 자국이 남아 있음. |
blade core |
石柱(석주) |
돌기둥 |
돌을 깎고 다듬어서 만든 기둥. |
stone pillar |
石鑿(석착) |
돌끌 |
선사 시대에 쓰던 돌로 만든 끌. |
stone chisel |
石釧(석천) |
돌팔찌 |
팔목에 끼는 돌로 된 고리 모양의 꾸미개. |
stone bracelet |
石鎚(석추) |
돌망치 |
딱딱한 열매를 깨는 것에서부터 석기 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는 망치의 기능을 가진 석기. 망치로 쓰던 돌 연장. |
stone hammer |
石枕(석침) |
돌베개 |
주검의 머리를 받치는 돌로 만든 베개. |
stone pillow |
石核(석핵) |
몸돌, 석핵 |
격지에 반대되는 말로 격지를 떼어 내는 몸체가 되는 돌. |
core |
石貨(석화) |
돌돈 |
직경 4cm, 두께 2-3cm 정도의 둥글납작한 돌로 만든 돈. 청동기 시대 팽이형 토기와 함께 출토되는 예가 많음. |
stone money |
線刻(선각) |
선새김, 선각 |
선으로 묘사 대상을 나타내는 기법. |
incising technique |
扇形銅斧(선형동부) |
부채모양도끼 |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날이 부채처럼 생긴 청동제 도끼. |
fan-shaped ace |
楔形石核(설형석핵) |
쐐기모양몸돌 |
돌날을 떼고 남은 몸돌이 쐐기처럼 아래는 좁고 위는 넓게 생긴 것. |
wedge-shaped core |
星形石斧(성형석부) |
별모양 돌도끼 |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별 모양으로 뿔이 난 도끼. 톱니날도끼라고도 함. |
star-shaped stone axe |
細文鏡(세문경) |
잔줄무늬거울, 세문경 |
청동기 시대 무덤에서 출토됨. 뒷면에 가는 선으로 장식이 세모꼴, 네모꼴, 둥근 모양 무늬 등을 새겨 넣어 장식한 청동 거울. |
mirror with slim linear design |
細石器(세석기) |
좀돌석기, 세석기 |
구석기 말과 중석기 문화에 발달했던 세모꼴 따위의 기하학적 형태의 아주 작은 석기. |
microlith |
細石刃(세석인) |
좀돌날, 세석인 |
잔석기를 만들기 위해 떼어 낸 아주 작은 격지. |
micro-blade |
細石刃石核(세석인석핵) |
좀돌날몸돌, 세석인몸돌 |
잔석기를 만들기 위해 돌날을 떼어 내도록 다듬은 몸돌이나 돌날을 떼고 남은 몸돌. |
microblade core |
細形銅劍(세형동검) |
좁은놋단검 |
칼몸과 칼자루가 조립식임. 칼몸에 세로로 등대가 있고, 좌우에 피홈이 있음. 자루 가까이에 마디가 있는 것이 특징임. |
slim bronze dagger |
細環耳飾(세환이식) |
가는귀고리, 가는귀걸이 |
금, 은, 금동으로 만든 가는 귀고리. 귀걸이. |
earings with thin solid ring |
搔器(소기) |
긁개 |
격지나 돌날에 잔손질을 가해 날이 직선이나 볼록날, 오목날이 되게 만든 석기. 가죽, 나무껍질을 벗기는 데 사용함. |
scraper |
手捺法(수날법) |
손빚기 |
선사 시대 주로 작은 그릇을 빚는 방법. 점토 덩어리를 손으로 만져서 그릇 형태를 만드는 수법. |
hand-kneading method |
手斧(수부) |
자귀 |
한 손으로 쓸 수 있게 만든 작은 도끼. |
hand axe |
垂下飾(수하식) |
드리개 |
길게 매달아 늘어 뜨리는 꾸미개의 끝 부분. |
pendant |
竪穴式(수혈식) |
구덩이식 |
무덤을 만드는 방법 가운데 위에서 밑으로 시체를 넣도록 만들어진 형식. |
vertical digging style |
竪穴式石槨墓(수혈식석곽묘) |
구덩이식 돌덧널무덤 |
시체를 수직으로 넣도록 옆으로 트인 창이나 입구가 없이 돌로 네벽을 짠 무덤. |
stone chamber tomb |
竪穴住居址(수혈주거지) |
움집터 |
일정한 깊이로 넓은 구덩이를 파서 바닥 시설을 한 집터. 신석기 시대 이후 선사 시대 전반에 걸쳐 유행함. |
pit house |
殉葬(순장) |
순장 |
시체를 장사 지낼 때 죽은 사람과 가까웠던 사람이나 동물을 함께 묻는 장례법. |
sacrificial burial |
繩蓆文土器(승석문토기) |
멍석무늬토기 |
멍석 모양의 무늬가 표면에 나타나는, 원삼국 시대 이후의 토기. |
pottery with cord design |
施文具(시문구) |
무늬새기개 |
토기의 표면에 무늬를 새기는 데 쓰던 도구. |
decorating tool |
飾履(식리) |
장식신 |
주로 삼국 시대 큰 무덤에서 출토됨. 금속판에 투조 무늬나 달개에 의해 장식이 되어 있는 신발. |
ornamental shoes |
飾玉(식옥) |
꾸밈구슬 |
금관 등에 장식을 위해 다는 구슬. |
ornamental bead |
新人(신인) |
호모사피엔스 |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마지막 단계인 약 4만 년 전 사람. 우리나라 신인 화석은 만달사람, 승리산사람이 있음. |
Homo Sapiens |
伸展葬(신전장) |
펴묻기 |
시체를 바로 펴서 매장하는 방법. |
extended burial |
室窯(실요) |
실내가마 |
공간이 밀폐되어 있고, 1000도 이상의 고온을 올려 단단한 토기를 구울 수 있는 가마. |
closed kiln |
深鉢形土器(심발형토기) |
깊은바리토기 |
그릇 몸통의 지름보다 속이 깊은 바리. |
deep bowl pottery |
握斧(악부) |
주먹도끼 |
주먹에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도끼. 몸돌의 양쪽 겉면을 깨뜨려 격지를 떼어 작은 도끼. |
handaxe |
鞍橋(안교) |
안장틀 |
안장 위에 말을 탄 사람의 앞,뒤로 세워져 몸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전륜과 후륜으로 구성됨. |
saddle bridge |
鞍金具(안금구) |
안장꾸미개 |
말이나 안장에 딸린 장치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으로 된 부속. 안장에 딸리는 여러 가지 금속의 장식물. |
saddle ornaments |
鞍輪(안륜) |
안장뒤턱 |
안장의 앞뒤 가장자리에 솟아 있는 둥그런 틀. |
saddle bow |
鞍褥(안욕) |
안장깔개 |
안장의 받침대 위에 깔고 앉도록 만든 물건. 가죽, 천과 같은 섬유질과 뿔, 나무로 된 딱딱한 재질이 있음. |
saddle cloth |
岩刻畵(암각화) |
바위그림, 암각화 |
바위 면에 칠하기, 새기기, 쪼기 등의 수법으로 그린 그림. 구석기시대부터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음. |
rock art, petrogyph |
岩陰遺蹟(암음유적) |
바위그늘집터 |
바위가 내밀어져 자연적으로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곳을 살림터로 이용한 유적. 주로 구석기 시대인의 살림터임. |
rockshelter |
押捺法(압날법) |
눌러찍기 |
토기에 무늬를 눌러서 넣는 방법. |
impressing technique |
鴨形土器(압형토기) |
오리모양토기 |
오리 모양으로 빚어서 만든 토기. 주로 원삼국 시대의 고분에서 출토됨. |
duck-shaped vessel |
仰臥葬(앙와장) |
눕혀묻기 |
시체를 등이 바닥에 닿도록 눕힌 자세로 묻는 일. |
burial lay on one's back |
野營遺蹟(야영유적) |
야영터 |
선사 시대에 사람들이 생활 본거지 이외에 계절에 따라 잠시 살았던 자리.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곳에 막집 등을 지어 살던 자리. |
campe site |
冶鐵址(야철지) |
야철터 |
쇠를 다루던 작업장이 있었던 유적. |
iron fabrication site |
兩極打擊法(양극타격법) |
모루망치떼기 |
모룻돌에 원돌을 올려 놓고 망치로 쳐서 떼어 내는 수법. 단단한 석재로부터 격지를 떼낼 때 쓰던 수법. |
bipolar technique |
兩面石器(양면석기) |
양면석기 |
몸돌의 안팎 면을 떼어서 만든 도끼 모양의 석기. |
biface |
兩耳附壺(양이부호) |
두귀항아리 |
어깨 양쪽에 둥근 고리 모양의 귀가 달린 항아리. |
jar with two lugs |
兩翼鏃(양익촉) |
날개화살촉 |
화살촉의 양쪽 밑 부분이 안으로 저며 들어 제비의 날개 꼬리처럼 생긴 화살촉. |
barbed arrowhead |
兩刃石斧(양인석부) |
양면돌도끼 |
날의 안팎 양면을 갈아서 조개가 입을 다문 형태로 날을 세운 돌도끼. |
biface handaxe |
魚骨文(어골문) |
생선뼈무늬 |
생선 뼈 모양으로 연속된 빗금 무늬가 엇갈리게 새겨진 무늬. 빗살무늬토기와 삼국 시대 토기에 주로 나타남. |
herringbone pattern |
漁網錘(어망추) |
그물추 |
그물이 물 속에 쉽게 가라 앉도록 그물 끝에 매다는 돌이나 쇠붙이. 흙이나 돌로 만든 것이 있음. |
fishing net-sinker |
역석기 |
자갈돌석기 |
냇가의 자갈돌을 조각 내서 만든 석기. 인류가 일찍부터 가장 손쉽게 만든 연모. 찍개 문화로 그 전통이 이어짐. |
pebble tool |
연도 |
무덤안길, 연도 |
돌방 무덤의 입구에서 널방에 이르는 복도와 같은 긴 통로. |
tomb entrance passage |
연문 |
널방문 |
돌방 무덤 밖에서 널길로 들어가는 입구에 세워진 돌문. |
tomb entrance |
연석 |
갈판 |
곡식이나 열매를 갈기 위해 쓰던 맷돌. 가는 데 사용하는 갈돌과 함께 출토되는 예가 많음. |
saddle quern |
瓔珞(영락) |
달개, 영락 |
금관 등에 빤짝거리도록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식구. |
spangle |
鈴附杯(영부배) |
방울잔 |
잔 밑에 흙으로 만든 방울 알을 넣어 흔들면 소리가 나도록 한 토기. 의례에 사용됨. |
kernel of bell |
甕棺墓(옹관묘) |
독무덤 |
시체를 큰 독이나 항아리 따위의 토기에 넣어 묻는 무덤. |
jar coffin |
瓦當(와당) |
막새(기와) |
지붕 가장자리를 막음하여 장식하고 꾸미는 막새기와. 시대별로 무늬의 종류가 다양함. |
end tile |
瓦墓(와묘) |
기와널무덤 |
기와를 널 삼아 바닥에 깔고 주검을 올려 놓은 다음 그 위에 기와를 덮은 무덤. 가난한 사람들의 무덤으로 알려짐. |
roof tile tomb |
瓦窯(와요) |
기왓가마 |
기와를 구워 내는 가마. |
roof tile kiln |
瓦質土器(와질토기) |
와질토기 |
실내 가마에서 민무늬토기보다 약간 높은 900도 정도의 고온에서 구워 기와와 같이 회색을 띤 약간 무른 토기. |
soft stoneware |
腕釧(완천) |
팔찌 |
팔목에 끼는 둥근 고리 모양의 꾸미개. |
bracelet |
外灣刃(외만인) |
볼록날 |
석기의 날이 볼록하게 두드러진 것. |
convex edge |
窯址(요지) |
가마터 |
토기나 자기, 기와를 구운 가마가 있었던 유적. |
kiln site |
腰牌(요패) |
띠드리개 |
허리띠에 매달아 늘어뜨리는 꾸미개. |
waist pendant |
鎔范(용원) |
거푸집 |
만들려는 물건의 모양대로 속이 비어 있어 거기에 금속을 녹여 붓도록 되어 있는 원래의 틀. |
mould |
牛角形把手(우각형파수) |
쇠뿔손잡이 |
토기에 달린 쇠뿔처럼 빚어서 만든 손잡이. |
horn shaped handle |
牛角形把手附壺(우각형파수부호) |
쇠뿔손잡이 단지 |
쇠뿔 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단지. 원삼국 시대 이후에 출토됨. |
jar with horn-shaped handle |
雲珠(운주) |
말띠꾸미개 |
말등의 가죽띠가 교차되는 부분을 묶는 부속이면서 그 자체로서 말을 장식하기도 하는 장식품. |
harness fittings |
圓蓋形銅器(원개형동기) |
뚜껑모양 청동기 |
불룩하게 튀어 나온 원형의 뚜껑 모양을 한 동기. 꼭지에 노끈모양의 고리가 달려 있음. 징과 같은 의기(儀器)로 추정함. |
round cap shaped bronze tool |
圓底(원저) |
둥근바닥 |
단지와 같이 둥글게 튀어 나온 토기의 바닥. |
rounded bottom |
圓筒추타법(원통추타법) |
원통망치떼기 |
원통형으로 생긴 뼈나 뿔로 된 망치로 격지를 떼어 내는 수법. |
cylindrical hammer technique |
圓筒形器臺(원통형기대) |
원통모양 그릇받침 |
원통 모양의 긴 관처럼 생긴 그릇 받침. 바리 그릇 받침과 비교되는 형태. 원삼국 시대 이후의 고분에서 주로 출토됨. |
cylindrical pottery stand |
圍石墓(위석묘) |
돌돌림무덤, 위석묘 |
무덤 구덩이의 어깨에 돌을 돌려 놓은 무덤. 이러한 형식은 청동기시대 고인돌 이후의 무덤에 나타남. |
stone-circle tomb |
有蓋高杯(유개고배) |
뚜껑굽다리 접시 |
입술 부분에 뚜껑받이가 있어서 뚜껑이 덮여져 함께 출토되는 굽다리접시. |
mounted cup with cover |
有蓋壺(유개호) |
뚜껑항아리 |
뚜껑이 덮여져 함께 출토되는 항아리. 아가리에 뚜껑받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음. |
jar with lid |
有肩銅斧(유견동부) |
어깨도끼 |
청동기 시대에 주로 사용. 두겁 부분에 단이 져서 어깨가 생긴 청동도끼. |
bronze axe with shoulder |
有莖兩翼鏃(유경양익촉) |
뿌리날개 화살촉 |
화살촉 아래에 양 날개 모양을 한 사이에 슴베와 날개가 있는 화살촉. |
tanged arrowhead with two wings |
有莖尖器(유경첨기) |
슴베찌르개 |
슴베를 만들어서 활, 창에 꽂아서 사용하는 찌르개. |
tanged point |
有溝石斧(유구석부) |
홈자귀 |
머리 부분에 홈이 팬 자귀 모양의 석기. 주로 청동기 시대에 출토됨. |
groove stone adze |
有段石斧(유단석부) |
턱자귀 |
몸의 중간에 턱지게 만든 있는 돌도끼. 청동기 시대 팽이토기 유적에서 주로 출토됨. |
stepped adze |
遺物組合(유물조합) |
유물조합 |
일정한 지역과 시기와 관련된 특징을 갖고 있는 유물들의 집합. |
assemblage |
柳葉形鏃(유엽형촉) |
버들잎모양 화살촉 |
버들잎처럼 가늘고 긴 모양의 화살촉. |
willow-shaped arrowhead |
有刺利器(유자리기) |
미늘쇠 |
긴 쇠판의 날 부분을 가늘게 오려 굽혀서 가시를 돋게 하고, 아래는 오려 접어 자루를 끼울 수 있게 한 연장. |
saw knife |
隆起文土器(융기문토기) |
덧무늬토기, 융기문토기 |
신석기 시대의 토기. 그릇의 표면이 약간 돋아 나오게 띠 모양으로 흙을 덧붙여 무늬를 만든 토기. |
pottery with appique decoration |
陰刻文(음각문) |
새김무늬 |
토기나 도자기에 선으로 새겨서 여러 가지를 표현한 무늬. |
incised design |
耳杯(이배) |
귀잔 |
긴 타원형으로 생긴 몸통의 양쪽에 초생달 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잔. 낙랑 고분에서 주로 출토됨. |
jar with lugs |
耳附鉢(이부발) |
귀바리 |
바리의 어깨나 몸통에 귀가 달려 있는 바리. |
bowl with lug |
耳附壺(이부호) |
귀항아리 |
항아리의 어깨에 2-4개의 유두상 혹은 말 머리 모양의 꼭지나 둥근고리가 달려 있는 토기. |
jar with lug |
耳飾(이식) |
귀고리, 귀걸이 |
금이나 은 따위로 만든 귀에 다는 꾸미개. 주로 가는 고리 모양에 장식이 달려 있음. |
earring |
二室墳(이실분) |
두방무덤 |
복도로 연결 된 두 칸의 방으로 구성된 널방 무덤. 돌방 무덤의 한 봉토 안에 두 개의 방이 있는 무덤. |
dual-chamber tomb |
二重口緣土器(이중구연토기) |
겹입술토기 |
입술 부분에 점토 띠를 덧붙인 토기. |
pottery with double mouth rim |
二次加工(이차가공) |
잔솔질 |
돌 연장을 만들 때 일차 떼기로 얻어진 격지나 몸돌 석기에 가벼운 떼기를 되풀이하여 날을 다듬는 이차적인 손질. |
secondary retouch |
二次葬(이차장) |
두벌묻기, 이차장 |
장사를 지내고 일정한 기간이 지나서 뼈를 추려서 다시 옮겨 묻는 장례법. |
secondary burial |
刃部(인부) |
칼날, 창날 |
칼이나 창의 가장 얇고 날카로운 부분. |
edge |
印花文(인화문) |
도장무늬 |
토기 표면에 무늬가 새겨진 도장을 찍어서 나타내는 무늬. |
stamped design |
立石(입석) |
선돌, 입석 |
선사 시대 거석 기념물의 하나로서 자연석 또는 가공한 기둥 모양의 돌을 세워 놓은 것. |
menhir |
立飾(입식) |
솟을장식 |
금관의 테 위에 세워진 장식. 머리에 얹는 관의 둥근 밑동 부분 위에 세운 장식. |
standing ornament |
笠形銅器(입형동기) |
고깔수레장식 |
수레의 난간을 장식하는 수레갖춤의 일종. 고깔이나 버섯모양의 머리 밑에 나팔처럼 벌어진 몸체가 있음. 멍에 끝에 끼우는 물건. |
mushroom shaped instrument |
長頸壺(장경호) |
긴목항아리, 긴목단지 |
목이 그릇 높이의 5분의 1 이상이 되는 둥근 항아리. |
long-necked jar |
裝身具(장신구) |
꾸미개,장신구 |
사람의 몸을 치장하는 데 쓰는 장식품. |
personal ornament |
底部(저부) |
바닥 |
토기의 밑 부분. 무덤, 집자리 등의 구조물에서 편평한 면을 이루는 밑 부분. |
bottom |
貯藏孔(저장공) |
저장공, 저장움 |
움집의 내부나 어깨 부분에 직경 1m 안팎의 구덩이를 파서 곡물이나 열매 등의 식량을 저장하는 곳. |
storage pit |
積石(적석) |
적석, 돌무지 |
선사 시대 고인돌이나 돌널 무덤의 둘레나 삼국 시대의 무덤 위에 높게 돌을 쌓아서 무덤을 보호하는 돌더미. |
stone mound |
積石木槨墳(적석목곽묘) |
돌무지나무 덧널무덤, 적석목곽분 |
지상에 설치한 목곽 위에 사람 머리 크기의 강자갈을 덮고 다시 그 위에 점토 따위의 흙을 입혀 다진 무덤. 신라 특유의 것임. |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
積石木棺墓(적석목관묘) |
돌무지나무 널무덤, 적석목곽묘 |
나무관을 고정시키고 보강하기 위해서 주위를 돌로 쌓거나 채워 두는 무덤. |
wooden coffin with stone mound |
積石塚(적석총) |
돌무지무덤, 적석총 |
시신 위나 시신을 넣은 석곽 위에 흙을 덮지 않고 돌을 쌓아 올린 무덤. |
stone mound tomb |
積輪法(적륜법) |
테쌓기 |
토기를 빚을 때 둥근 고리 모양의 점토 가락을 만들어 똬리 모양으로 쌓아 올려 가면서 그릇 형태를 만드는 수법. |
ring building method |
前輪(전륜) |
앞턱 |
안장 틀의 앞 부분에 세워진 U형 판. |
frontal saddle bow |
前室(전실) |
앞방 |
두 방 무덤에서 널방으로 들어가기 전 입구에 위치하는 방. |
antechamber |
塼築墳(전축분) |
벽돌무덤 |
벽돌로 무덤칸을 쌓고 그 위를 흙으로 덮은 무덤. |
brick chamber tomb |
粘土帶土器(점토대토기) |
점토띠토기 |
아가리에 점토 띠를 덧붙인 민무늬 토기. 종말기 무문토기에서 보이는 특징임. 청동기 시대 후기에 만들어졌음. |
pottery with ring-rim |
鼎(정) |
세발솥 |
발이 세 개 달린 작은 솥으로 흔이 두 개의 손잡이가 달려 있음. |
tri-legged cauldron |
製鍊窯(제련요) |
제련가마 |
철광석이나 원료철에서 좋은 질의 선철을 얻기 위한 가마. |
smelting furnace |
爪文(조문) |
손톱무늬 |
신석기 시대 토기의 아가리 가장자리를 돌아가면서 손톱이나 손톱모양의 새기개로 눌러서 나타내는 무늬. |
nail hole pattern |
粗文鏡(조문경) |
거친무늬 거울, 조문경 |
청동기 시대 거울로, 뒷면이 굵은 선의 톱니무늬 따위로 장식된 청동 거울. |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s |
調節剝離(조절박리) |
겨냥떼기 |
한 번 뗀 면을 다시 다듬어서 떼 내는 석기 제작 수법. |
controlled flaking |
釣針(조침) |
낚싯바늘 |
신석기 시대 이후 돌, 뼈, 청동, 철 등으로 고기를 잡는 데 쓰는 갈고리 모양의 바늘. |
fish hook |
組合道具(조합도구) |
조합연장 |
뼈나 나무로 만든 자루에 잔석기를 끼워 낫이나 작살 따위로 쓰던 연장. |
composite tool |
組合式釣針(조합식조침) |
조합식 낚시바늘 |
낚시 허리 부분과 바늘이 따로 만들어져 서로 묶어서 사용하는 낚시 바늘. |
composit fish hook |
足座(족좌) |
발받침 |
널방 무덤에서 주로 출토되는 것으로 시체의 발을 괴는 데 쓰던 돌받침. |
foot rest |
座金具(좌금구) |
밑동쇠 |
장식의 밑 동아리에 붙이는 금속 받침. |
washer |
胄㈜ |
투구 |
전투 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쓰는 쇠 등의 금속판으로 만든 모자. |
helmet |
住居址(주거지) |
집터 |
고대에 인류가 집단으로 생활하던 유적. 움집, 동굴 유적, 바위그늘집터 등이 있음. |
site of house |
柱孔(주공) |
기둥구멍 |
움직터의 바닥 같은 데에 기둥을 세우기 위해 파 놓은 구멍. |
post-hole |
主槨(주곽) |
주곽 |
한 무덤 안의 여러 덧널 가운데 중심이 되는 인물의 주검을 넣은 덧널. |
main chamber |
注口土器(주구토기) |
귀때토기 |
귀때가 달려 있는 토기. |
pottery with spout |
鑄造鐵斧(주조철부) |
주철도끼 |
거푸집에서 쇳물을 부어 떠낸 도끼. |
casted iron axe |
竹管文(죽관문) |
붓두껍무늬 |
새의 뼈나 대나무 관으로 찍어서 나타낸 무늬. |
impressed pattern with a brush cap |
櫛文土器(즐문토기) |
빗살무늬토기 |
표면에 빗살 같은 줄이 새겨지거나 그어져 있는 토기. 점열, 선, 동그라미 등의 기하학 무늬를 나타낸 신석기 시대의 토기. |
comb-pattern pottery |
支石(지석) |
고임돌, 굄돌 |
북방식 고인돌에서 덮개돌을 받치고 있는 넓적한 돌로써, 수직으로 세워서 돌방의 네 벽을 이룸. |
supporting stone |
砥石(지석) |
숫돌 |
칼이나 낫 따위의 연장을 갈아서 날을 세우는 데 사용한 돌. |
grindingstone |
支石墓(지석묘) |
고인돌, 지석묘 |
선사 시대 거석 기념물의 하나로서 굄돌이나 돌무지로 덮개돌을 지탱하는 무덤. |
dolmen |
指環(지환) |
가락지 |
손가락에 끼는 꾸미개의 하나. 주로 여자가 장식으로 손가락에 끼는 두 짝의 고리. |
finger ring |
直口壺(직구호) |
곧은목단지 |
입술 부분이 곧게 세워진 항아리. |
jar with vertical mouth rim |
直立原人(직립원인) |
호모에렉투스,직립원인 |
구석기 시대 전기의 화석 인류, 북경 원인, 자바 원인 등이 있음. |
Homo erectus |
直刃(직인) |
곧은날 |
날이 곧게 선 석기. |
straigt edge |
直接打法(직접타법) |
직접떼기 |
구석기 문화에서, 재료를 직접 때려서 격지 따위를 떼어 내는 석기 제작법. |
direct flaking |
錯何剝離(착하박리) |
애벌떼기 |
먼저 몸돌의 둘레에서 격지를 떼어 낸 뒤에 윗부분을 쳐 내는 수법으로 남아 있는 몸돌이 거북등과 비슷함. |
Levallois technique |
札甲(찰갑) |
비늘갑옷 |
작은 쇳조각을 비늘처럼 이어 붙여서 만든 갑옷으로 판갑옷과 비교됨. |
mail armour |
擦切具(찰절구) |
썰개 |
돌이나 뼈를 자르는 데 쓰던 도구. 납작한 직사각형의 한쪽 긴 면에 날이 서 있음. |
stone cutting tool |
彩文土器(채문토기) |
채문토기 |
청동기 시대에 나타난 토기로 어깨 부분에 검은 색으로 가지 무늬가 돌려 있는 잿빛 토기. |
pottery with eggplant design |
鐵鉗(철겸) |
쇠집게 |
쇠도구를 단련할 때 잡는 집게. |
iron tongs |
鐵戟(철극) |
쇠옆가지창 |
중국의 진, 한 시대에 주로 사용된 무기. 창에 옆가지 날을 단 쇠창. |
iron halberd |
鐵鋤(철서) |
쇠괭이 |
흙을 돋우는 데 사용한 농기구. 호미 가운데 큰 것으로 사각형의 납짝한 날에 짧은 굽통이 달려 있음. |
iron hoe |
鐵釘(철정) |
쇠못 |
나무 등에 박는 데 사용하는 쇠로 만든 뾰족한 못. |
iron nail |
鐵鋌(철정) |
덩이쇠 |
가운데가 잘록하고 양쪽 끝이 넓은 간단한 모양의 쇠판. 도구를 만드는 재료감으로 단련된 쇠. |
iron ingot |
鐵釣(철조) |
쇠낚시 |
쇠로 만든 낚시 바늘. |
iron fish hook |
철준 |
쇠창고달이 |
창을 세우기 위해 자루 끝에 끼우는 뾰족한 고달이. |
iron spearhead hanger |
尖頭器(첨두기) |
찌르개 |
짐승을 찔러서 죽이거나 가죽에 구멍을 뚫는 끝이 뾰족한 연장. 주먹찌르개, 창, 화살촉 등이 있음. |
point |
尖底(첨저) |
뾰족바닥 |
토기 바닥이 뾰족하거나 뾰족한 꼭지가 붙은 것. |
pointed bottom |
靑銅刀子(청동도자) |
청동손칼 |
청동으로 만든 작은 손칼. |
bronze handknife |
초두 |
자루솥, 초두 |
긴 자루가 달리고 다리가 셋 있는 작은 솥. 무쇠나 양은으로 만듦. |
tri-legged cauldron with handle |
錐(추) |
송곳 |
구멍을 뚫는 데 쓰는 연모. 돌날 격지의 끝을 뾰족하게 만든 석기나 뼈, 뿔 송곳이 있음. |
borer |
出字形立飾(출자형입식) |
출자모양장식 |
금관의 솟은장식 가운데 나뭇가지 모양의 장식. |
oppositely branched ornament of crown |
衝擊打擊法(충격타격법) |
던져떼기 |
원돌이나 몸돌을 직접 던져 깨뜨려 격지 등 석기를 떼 내는 방법. |
counter blow technique |
側室(측실) |
옆방 |
여러 칸으로 이루어진 널방 무덤에서 복도의 좌우에 붙어 있는 방. |
wing of main chamber |
打擊面(타격면) |
때림면 |
원하는 격지를 떼어 내기 위하여 먼저 떼기를 때린 면에 베풀어서 만들어진 판판한 면. |
prepared platform |
打捺文土器(타날문토기) |
눌러찍은 무늬토기 |
토기의 몸통을 다지거나 부풀리기 위해 두들개로 두드려서 삿무늬나 문살무늬가 생긴 토기. |
pottery with stamped design |
打製石器(타제석기) |
타제석기 |
전혀 간 흔적 없이 떼기만으로 다듬은 석기. 구석기,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출토됨. 구석기 시대에, 돌을 깨서 만든 돌 연장. |
chipped stone implement |
胎土(태토) |
바탕흙, 태토 |
토기를 빚을 때 원료가 되는 흙. 질그릇이나 도자기의 밑감이 되는 흙. |
paste |
太環耳飾(태환이식) |
굵은귀고리, 굵은귀걸이 |
둥근 고리 부분이 굵고 크며 속이 비어 있는 장식품. 귀고리와 닮았으나 주로 금관에 매달아 장식함. |
earing with thick hollow ring |
撑石(탱석) |
옆받침돌 |
무덤을 보호하는 호석을 지탱해 주기 위해 비스듬히 받쳐 두는 받침돌. |
supporting stone |
土壙墓(토광묘) |
토광묘, 움무덤 |
구덩이를 파고 시체를 직접 넣거나 목관이나 목곽에 시체를 넣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린 무덤. |
pit tomb |
土器(토기) |
토기 |
흙으로 빚어 한뎃가마에서 산화염으로 구운 그릇. 원시 시대에 쓰던, 흙으로 만든 그릇. |
earthenware |
土偶(토우) |
흙인형, 토우 |
짐승이나 사람 등의 형상을 흙으로 만들어 구운 소조품. |
clay figurines |
筒形石斧(통형석부) |
통모양도끼 |
몸통이 타원형인 두툼한 돌도끼. |
cylindrical stone axe |
把杯(파배) |
손잡이잔 |
얇은 점토띠나 점토 가락을 붙여서 만든 손잡이가 달린 술잔. 손잡이는 D 자, 둥근 고리, 고사리 모양 등 다양함. |
cup with handle |
波狀文(파상문) |
물결무늬 |
물결 모양으로 선을 새겨서 나타낸 무늬. 주로 신라, 가야 토기에 많이 베풀어져 있음. |
wavy lines design |
把手(파수) |
손잡이 |
토기의 몸통에 붙여서 잡기에 편하도록 하는 부분. |
handle |
把手附壺(파수부호) |
손잡이항아리 |
몸통에 2-4개의 손잡이가 달린 단지. |
jar with handle |
板甲(판갑) |
비늘갑옷, 판갑옷 |
한 개 내지 몇 개의 판조각으로 만들어진 갑옷. |
plate armour |
板狀鐵斧(판상철부) |
판모양쇠도끼 |
판 모양의 얇은 쇠로 만들어진 도끼. 도구를 만드는 중간 재료나 화폐로도 사용되었음. |
flattened iron axe |
板石(판석) |
판석 |
편평한 판 모양의 돌. |
stone slab |
版築(판축) |
켜쌓기, 판축 |
무덤의 봉분이나 토성을 쌓을 때 흙을 한 켜씩 다져가며 쌓는 방법. |
hardening and heaping of earth |
八珠鈴(팔주령) |
팔주방울 |
얇은 판에 둥글게 돌아가며 여덟 개로 뻗어 있는 가지 끝에 방울이 달린 청동기. 제의(祭儀)에 사용됨. |
shaman tool with eight bells |
佩玉(패옥) |
드리개옥, 패옥 |
매달아 늘어 뜨려서 장식하는 옥. |
pendant jade |
貝塚(패총) |
조개무지, 패총 |
원시인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질이 쌓여 이루어진 무더기. 쓰다가 버린 토기나 여러 가지 연모들이 함께 출토됨. |
shell mound |
扁甁(편병) |
자라병 |
납작한 원형의 그릇으로 몸에 짧은 목이 달려 있는 자라 모양의 병. |
flattened bottle |
扁平石斧(편평석부) |
대팻날돌도끼 |
한 쪽으로만 날이 갈려 있고 다른 한 쪽은 편평하게되어 있는 돌 도끼. |
flattened hand-axe |
平斜天障(평사천장) |
꺾임천장 |
양쪽 긴 벽 위에서 안쪽으로 비스듬히 돌을 올리고 다시 그 위에 수평으로 판돌을 얹은 천장. |
slanting support ceiling |
平瓦(평와) |
암키와, 평기와 |
지붕의 낙수면 전면을 덮는 기와. 기와 지붕의 골에 해당하는 암키와, 기왓골 사이를 덮는 수키와 두 종류가 있음. |
flat tile |
平底 (평저) |
납작바닥 |
그릇의 바닥이 납작하게 평면을 이루는 것. |
flat bottom |
平底鉢(평저발) |
납작바닥바리 |
바닥이 납작한 바리. |
bowl with flattened base |
平天障(평천장) |
평천장 |
수직으로 올린 벽 위에 펀펀한 돌을 얹은 천장. |
flat ceiling |
閉鎖石(패쇄석) |
막음돌 |
무덤의 널길을 채워 막아둔 돌. |
blocking stone |
標石(표석) |
푯돌 |
무덤 앞에 세우는 표식물. |
stone marker |
瓢形墳(표형분) |
조롱박모양 무덤 |
두 개의 봉분이 조롱박처럼 서로 이어 붙어 있는 무덤. |
gourd-formed twin tomb |
割石(할석) |
깬돌 |
천석이나 산석과 같은 자연돌을 적당한 크기로 깬 돌. |
trimmed stone |
銜勒(함늑) |
재갈 |
말 입안에 넣어 좌우로 당김으로써 말의 혀를 자극하여 말을 통제하는 도구. 말을 부리기 위하여 아가리에 가로 물리는 막대. |
horse gag |
合刃石斧(합인석부) |
조갯날돌도끼 |
양날을 갈아 조개의 다문 입 모양을 한 돌도끼. |
stone axe with shell edge |
合葬墓(합장묘) |
합장묘 |
두 사람 이상의 주검을 함께 묻은 무덤. 대개 부부를 묻은 무덤을 말함. |
twain burial |
杏葉(행엽) |
말띠드리개 |
말의 가슴걸이나 후걸이에 매달아 말을 장식하는 꾸미개. 말띠에 달아 늘어뜨리는 넓적한 장식. |
horse strap pendant |
現生人類(현생인류) |
호모사피엔스사피엔스 |
후기 구석기 시대에 속하는 현대 인류의 직접적인 조상, 크로마뇽인이 대표적임. |
Homo Sapiens Sapiens |
玄室(현실) |
무덤안방, 현실 |
널방 무덤에서 시체를 안치하는 방. |
main chamber |
血溝(혈구) |
피홈, 혈구 |
상대 물체를 찔렀을 때 피가 빠져 나오도록 무기로 사용되는 연장의 표면에 만든 홈. |
groove |
壺(호) |
항아리, 단지 |
둥근 몸통에 짧은 목이 달린 30-50cm의 높이인 토기. |
jar |
護石(호석) |
둘렛돌, 호석 |
무덤의 봉분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봉분 하단 가장자리에 돌려 둔 깬돌이나 판돌. |
stone circle |
壺形土器(호형토기) |
불룩단지 |
항아리와 같이 배가 부른 단지 모양의 토기. |
jar |
混入物(혼입물) |
섞임제, 보강제 |
그릇이나 기와를 빚을 때 흙의 수축률을 줄여 말리고 굽는 도중에 부서지지 않도록 섞는 보강 물질. |
temper |
紅陶(홍도) |
붉은간토기, 홍도 |
그릇의 겉에 붉은 칠을 바르고 문질러 닦아서 붉고 반들반들하게 만든 토기. |
burnished red pottery |
花粉分析(화분분석) |
꽃가루분석, 화분분석 |
지층 속에 화석으로 들어 있는 꽃가루의 종류나 비율을 분석하여 그 당시의 식물상 및 자연 환경 등을 연구하는 방법. |
fossil pollen analysis |
花盆形土器(화분형토기) |
화분모양토기 |
화분처럼 넓은 아가리가 밖으로 말리면서 턱을 이루고, 밑이 납작하거나 들리게 만들어진 화분 모양의 토기. |
flower pot pottery |
環頭大刀(환두대도) |
고리손잡이 큰칼 |
칼자루의 끝이 둥근 고리 모양으로 장식된 것. |
sword with ring handle |
環狀甁(환상병) |
똬리병 |
똬리 모양의 몸통에 목이 짧은 병. 입술 부분이 수직으로 달려 있는 병. |
loop-shaped bottle |
環狀石斧(환상석부) |
달모양도끼 |
지름 10-15cm 가량의 둥근 달 모양으로 가운데 구멍이 뚫려 있고, 가장자리에 날이 서 있는 돌도끼. |
discoidal mace |
環狀把手(환상파수) |
고리손잡이 |
그릇에 붙어 있는 고리 모양의 손잡이. |
loop handle |
環玉(환옥) |
환옥 |
둥근테 모양의 옥 장식. |
ring jade |
環濠聚落(환호취락) |
환호마을 |
주위에 호(濠)를 파서 두른 취락. 자위(自衛)를 위하여 구축된 것도 있으나, 분포 면으로 보아 습지에 이루어진 취락. |
village with round dugout |
灰靑色硬質土器(회청색경질토기) |
회청색토기 |
실내 가마에서 1100도 이상의 고온에서 환원염으로 구워져 회청색을 내는 단단한 토기. |
darkblue stoneware |
橫口式(횡구식) |
앞트기식 |
석곽묘의 세 벽만을 쌓고 한 쪽 벽으로 출입한 후 마지막으로 밖에서 벽을 쌓아 마무리하는 무덤 형식. |
horizontal entrance style |
橫穴式(횡혈식) |
굴식, 횡혈식 |
시체를 묻기 위해 지면과 수평으로 판 널길을 통해 널방으로 들어가는 매장법. |
tunnel entrance |
橫穴式石室墳(횡혈식석실분) |
굴식돌방무덤, 횡혈식석실분 |
시체를 든 관을 운반하기 위한 지면과 수평으로 판 널길과 관을 넣는 널방으로 이루어진 무덤. |
stone chamber with tunnel entrance |
後輪(후륜) |
안장뒤턱 |
말 안장의 뒷부분에 세워진 U형의 등받이. |
rear saddle bow |
黑陶(흑도) |
검은간토기, 흑도 |
검정색으로 구워진 토기를 갈아서 윤기가 나게 한 토기. 그릇 면이 검고 겉면을 반들반들하게 간 토기. |
burished black pottery |
첫댓글 좋군요.....^^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