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선생님을 평양에서 처음 뵌 것은 1946년 7월이다. 그때 선생님께서는 27세이셨다. 선생님께서는 성진씨가 태어난 지 두 달이 되었으므로 식량을 구하러 어느 시골에 가시던 길에, 이북에 가서 말씀을 전하라는 하늘의 지시에 따라 어려움을 무릅쓰고 3ㆍ8선을 넘으셔서 1946년 6월 6일에 평양에 오신 후에 나를 만나셨다. 그 성산(聖山)은 평양의 많은 신령한 사람들이 올라가 기도를 하는 산이었다. 선생님께서는 평양에 있는 성산이라는 곳에 오르시어 기도를 하시고 오신 후에 나를 만나셨다. 그 성산은 평양의 많은 신령한 사람들이 올라가 기도를 하는 산이다. 그때 선생님께서 집회를 가졌던 곳은 두 부부가 사는 집이었다. 그 분들은 오래전부터 영적인 은혜의 생활을 하고 부부가 별거생활을 하면서 신앙 길을 찾아 나오던 사람들이었고, 선생님께서 그 집을 찾아서 집회를 주재하시게 되었다. 그때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을 중심삼고 일본사람들이 기독교인들에게 동방요배(東方遙拜)를 강요했기 때문에 지조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교회를 떠나서 가정에서 기도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전쟁이 끝나자 가정에서 기도만 하던 사람들이 점차 교회로 나오게 되었다. 선생님도 성경책을 얼마나 보셨는지 구약 창세기로부터 신약 묵시록에 이르기까지 줄을 안 친 곳에 없고, 무엇인가 새까맣게 적혀 있었다. 그때 많은 사람들은 산이나 가정에서 오랜 해를 거듭하면서 기도를 하는 가운데 영계에서 많은 계시를 받고 있었다. 그 계시의 내용은 지금까지 그들이 교회의 목사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은 내용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지금까지 예수님이 십자가는 인간을 구원하기 위한 십자가, 예수님은 십자가에 돌아가시기 위하여 오신 것으로 목사들이 가르쳤지만, 계시에는 예수님이 돌아가시러 오시지 않은 것으로 가르쳐 주었다. 인간의 죄악은 근본에 대한 것도 다 달랐다. 그 사람들은 부분적으로 우리 원리가 가르치고 있는 내용들을 계시로 가르침을 받았다. 하늘에서 가르쳐 주는 것을 들으면 마음이 풀리는 것 같은데, 목사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은 내용은 그와 다르기 때문에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가 없었다.
그때 그들이 교회에 오랜만에 찾아와서 목사님들에게 물어 보았지만, 목사님들은 한결같이 “그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그것은 하늘이 가르쳐 준 것이 아니라 잡된 신(神)이 가르쳐 준 것이니 조심 하십시오”하는 것이었다. 목사님이 설명을 해주리라 생각하고 간 사람들이 목사님이 전혀 다른 소리를 하니까 마음에 근심하며 다시 집으로 돌아가 하늘 앞에 기도를 하면 다시 하늘에서는 목사들이 잘못된 것이라고 가르쳐 주는 것이다. 그러면 그들은 계시가 옳다고 생각하지만 혼자는 성경으로 해결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들은 새로운 인물, 자기들에게 새로운 가르침을 줄 지도자를 찾아 헤매었다. 그런 때에 선생님께서 이북에 오시게 되었다.
‘진리와 신령으로써 예배를 보는 이남에서 오신 젊은 선생이 있다’라고 소문이 퍼졌다. 그런 소문을 듣고 마음이 설레는 가운데 진리를 찾아 헤매던 사람들이 선생님 계신 곳으로 자꾸 모여 들게 되었다. 특별히 영적 체험을 하고 계시를 받아오던 분들은 봉건사회의 어려운 환경 가운데서 자라난 부인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생명을 각오하고 그것을 극복한 분들이기 때문에 진리를 찾기 위해 가정에서의 핍박 같은 것은 일찍 졸업한 사람들이었다.
내가 선생님을 처음 뵈었을 때 선생님께서 신약 가운데 있는 로마서를 2주일 동안 가르쳐 주셨다. 그 때가 7월, 더운 여름이었는데 좁은 교회에 사람들이 가득 차서 말씀을 들었다. 선생님의 그 젊었을 때(27세)의 정력은 대단했다. 그 때 선생님께서는 한복을 입고 계셨는데 말씀이 끝나고 그 한복을 벗어서 짜면 물이 나오곤 하였다. 여름이니까 그럴 수 있다고 하지만, 겨울에 솜이 들어 있는 한복을 입으셨는데 그 때도 말씀을 하시고 나면 그 솜옷에서도 물을 짜야했다. 선생님께서 말씀을 시작하시면 식구들이 볼 일이 있어서 일어서지 않는 한 계속해서 말씀을 하셨다. 그런데 선생님이 말씀하실 때에는 입신(入神)하는 사람, 예언하는 사람, 방언하는 사람, 또 그 방언을 통역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리고 때로는 알아보기 위하여 온 사람이 합당치 않은 마음을 가지고 앉아 있으면, 영통하는 사람이 눈을 감은 채 아무도 다치지 않게 사람들 틈을 뚫고 가서 그 사람의 등을 탁 친다. 그러면 그 맞은 사람은 회개를 하면서 또 통곡을 한다. 그런 분위기에서 식구들은 대부분 불을 받았다. 어떤 사람은 어깨로 불이 확 들어오는 것을 느낀다. 또 가슴으로 불이 오면 아주 뜨거우면서도 평화로움을 느낀다. 선생님께서 공석에서는 말씀을 많이 해주셨지만 사석에서는 절대 말씀을 않으셨다. 그런데 선생님께서 말씀을 하시게 되면 그런 신령역사가 일어났다. 그렇게 되면 소리가 커지고 그 다음에는 몸이 가만히 있지를 않는다. 지난날에 하나님의 심정을 몰랐다가 하나님의 심정을 체휼하게 되었기 때문에 뉘우치면서 막 울고, 울고 나면 마음이 기쁘고 좋아서 노래하고 춤추곤 했다. 그래서 예배가 조용하지 않았다. 불의 역사가 일어나면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병들이 깨끗하게 나아진다. 그리고 선생님께서 성경말씀을 원리를 중심삼고 잘 풀어서 해주셨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선생님의 주위에 몰려 왔다. 어떤 사람에게는 영계에서 “저 분이 오시리라고 약속한 그 분이다”라고 가르쳐 주기도 했다. 또 어떤 사람은 “젊은 선생이 이남에서 오셨는데 가서 만나라”는 계시를 받고 선생님을 찾아와 말씀을 듣기도 했다. 집회를 하실 때는 선생님께서 직접 찬송, 기도, 말씀, 찬송, 기도를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를 주관하셨다. 예배를 끝내시고서도 선생님께서는 식구들이 더 오래 있기를 원하셨고, 또 식구들도 더 있고 싶어 했다.
선생님께서는 예배가 다 끝난 다음에 식구들을 데리고 식사를 하는 경우가 있다. 선생님이 식사를 하시다가 남은 것을 어느 식구에게 주었다. 그런데 그 식구는 오랫동안 위가 나빠서 고생을 하였는데 선생님께서 주신 그 음식을 먹고서 단번에 나아 버렸다. 그래서 선생님께서 진지를 잡수시게 되면 ‘조금 남기셔서 나를 주었으면’하고 모두 원했다. 그래서 그때부터 ‘교회의 밥은 약밥’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교회음식은 별로 갖춘 것이 없지만 자기 집의 좋은 음식을 제쳐놓고 다들 교회에 와서 먹기를 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