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이부작 述而不作
[字解]
述 : 지을 술
而 : 말 이을 이
不 : 아닐 부
作 : 지을 작
[意義]
저술한 것이지 창작한 것이 아니라는 말로, 저술에 대한 겸양을 나타낸 뜻이다.
[出典]
논어(論語)-술이편(述而篇).
[解義]
述而篇(술이편)은 37章으로 짜여져 있다. 논어 二十篇 중 비교적 분량이 많은 편장 중의 하나이다. 술이편은 공자의 인간적 면모와 학문의 성향등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술이편 바로 앞 편장이 雍也篇(옹야편)인데, 옹야편의 결론에 해당되는 28章이 ‘仁’과 ‘聖’에 대한 子貢(자공)과 孔子의 문답으로 마무리된 것은, 술이편으로 나아가기 위한 문제제기로 생각된다.
孔子의 면모를 기술함에 있어서 옹야편의 결론인 聖과 仁이 주축이되고 있다는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聖과 仁같은 무거운 내용을 술이편에서 논의하면서, 따뜻한 숨결이 느껴지는 孔子의 인간적인 모습을 바탕에다 짙게 깔고 있는데, 이는 여타의 성인들을 기술한 많은 저작들과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孔子는 ‘作(작)’보다 ‘述(술)’이 후세에 더 많은 가치와 빛을 발휘할 것을 알고 있었다.
어설픈 ‘作’은 그것이 지닌 약점으로 인해 시간이라는 역동적인 힘에 의해 마모되고 부정될 확률이 많다는 사실을 예견했던 듯하다.
孔子의 다방면에 걸친 면모를 기술한 술이편을 통하여, 곡식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옛말의 참뜻을 읽을 수 있다. 알갱이가 없거나 차지않은 죽정이들이 고개숙인 이삭들 사이에 머리를 곧추세운 꼴불견의 모습을 가을 들녘에서 보았던 기억이 새롭다. 죽정이 같은 사이비 이삭들로 가득찬 현실을 감안할 때, 술이편이 주는 감동은 새롭기 그지없다.
子曰 述而不作 信而好古 竊比於我老彭
자왈 술이부작 신이호고 절비어아노팽
子曰 默而識之 學而不厭 誨人不倦 何有於我哉
자왈 묵이지지 학이불염 회인불권 하유어아재
孔子가 이르기를 "傳述(전술)했을 따름이지 새로운 것을 창작하지 않았고 전통적인 것을 믿고 좋아했다. 구태여 비유한다면 나는 노팽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라고 했다.
孔子가 이르기를 "묵묵히 학식을 연마하고 배우기를 싫증내지 않으며 사람 가르치기를 게을리하지 않는 이러한 것들 중에서 어느 하나도 나에게는 없다"라고 했다.
朱子(주자)는 ‘述’은 옛 것을 전하는 것이고, ‘作’은 새로운 것을 창시하는 것으로서, 作은 성인만이 할 수 있지만, 述은 賢者(현자)이면 가능하다고 풀이했다.
주자의 해석을 따른다면 孔子 자신도 스스로를 평하여 성인은 못되고 현자 정도로 인식했다고 볼 수도 있다.
인류역사에 있어서 진정한 의미에서 ‘作’이 존재하는 것인가 하는 의문을 품을 수 있다. 왜냐하면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것으로 인식되는 많은 창작물들이, 우리가 모르고 있었을 따름이지 실제로는 이미 옛날부터 존재했던 것이 태반이기 때문이다.
첫댓글 좋은글, 잘 배우고 갑니다!*^^
현진님:아녕 하세요? 이렇게 좋은 글을 주심에 고맙고 감사 합니다. 많은 것을 배우고 갑니다. 언제나 행ㅂ족 하시구요. 건필 하세요. 건강 하시고 늘 행복 하시기를 소망 합니다. *^^*
잘 배우고 갑니다^^*
소정이님 송정님 청난당님 도움이 되셨다면 다행입니다. 좋은 날 되세요.
맞아요...이미 존재했던 것들이죠. 잘 읽었습니다.
잘읽고 갑니다 공부에 도움이 될것 같아요
玄珍님의 늘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행복한날 되시길 바랍니다%^^%
들녘에님 연아님 혜원님 감사합니다. 즐거운 시간 되세요.
새겨보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