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글쓰기가 뜸했네요. ^.^
네이버에서 '지성아빠의 나눔세상' - 전원 & 귀농 - 카페를 관리하면서....
제 본업에 충실하다 보니....귀농사모에 글쓰기가 게을러졌습니다.
카페 회원 중에 직접 대형차의 드럼을 이용한 난로를 만드신 분이 정보를 올려주셔서.....
이 정보에 살을 붙여 시골살이에서 보일러 온수통에 대한 정보를 만들어 봤습니다.
손재주가 있으신 분들에겐 도움이 되는 정보라 생각합니다.
'지성아빠의 나눔세상' 카페는 시골살이 준비 정보 나눔의 터거든요.
안터넷 사이버상에 시골살이 정보 글도둑질을 전문으로 하는 소굴입니다.
지성아빠가 현재 관리자구요. 정보 장물아비인가? ^.^
시골살이를 하면서 겨울철에 보일러가 고장난다면.........
수리공을 불러 돈으로 해결하는 방법도 있다는 걸 알지만 시골에서 보일러 수리하는 분을 부르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겨울밤에 보일러가 고장나서 추워는 죽겠는데.....
수리하는 분은 생각보다 늦게 온다면....... 몇 일 뒤에 온다면......
윽~~~~ 생각만 해도 끔찍합니다.
그렇다면 방법은 하나입니다. 집주인이 왠만한 것은 수리해서 쓸 줄 아는 재주가 있어야 합니다.
기계에는 영 재주가 없으시다구요? 형광등 하나....못질 하나 해보신 적이 없으시다구요?
(제 주위 모모씨가 그렇습니다.)
대부분 일이 벌어지면 다하시는 것 같던데....미리 미리 공부해 두시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고 봅니다. ^.^
저는 시골에서 집을 짓는다면.....
(까페를 관리하다보니 머리 속에서 공부하고 있는 내용들입니다. 오해 없으시길.... -.-;; )
겨울철 보일러도 보일러지만.....이런 경우를 대비해서....보일러와 별도로 구들방이나 거실에 난로 난방을 생각해 보고 있습니다.
황토구들방을 하나를 만들고 구들방 아궁이에 온수를 만드는 통을 올리고 온수저장통에 저장하는 방식을 쓰거나
chowho님께서 만드신 난로와 비슷한 것으로 에 난방용 온수를 만드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까페 회원님이신 chowho님 작품에 제가 그동안 집짓기에 관심을 가지면서 보일러 구조에 대해 공부했던 것을 덧붙여봤습니다.
chowho님의 실력이시면 이 그림을 보시고 원리는 간단하고 아시는 부분이라 해볼까 말까 고민하실 것 같네요. ^.^

- 대형차 브레이크 드럼입니다. -

- 드럼 세개를 용접으로 연결한 것이 보이시죠 -

- 난로 윗부분입니다. -

- 난로로 온수통이 설치된 실물사진입니다. -

- chowho님이 그려주신 약식 설계도입니다. -

- 지성아빠의 머리 속에 있는 온수통에 대한 생각을 그려 봤습니다. -
화목보일러나 난로에서 온수를 만드는 방법의 원리는 알고 보면 거의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냉수는 밑으로 들어가고 끓인 물은 온수통으로 들어 오는 물의 대류현상 원리를 이용한 보일러 구조는
열을 발생하는 화점에 물을 끓일 수 있는 통이나 배관을 올려 물을 끓이고....
이 끓인 물을 온수통에 보관을 하고 이 온수를 사용하여 방바닥 난방을 하거나 온수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물을 끓이는 원료에 따라 기름보일러 가스보일러 화목보일러 등으로 구분하지만.....
자세히 들어가 보면 구조는 거의 비슷합니다.
이 그림은 끓인 물을 보관하는 온수통의 구조를 생각한 것입니다.
chowho님의 그림이 단순하게 온수만 사용하는 방법이라 추가를 한 것이지요.
chowho님이 온수통을 플라스틱통으로 이용했다는 것을 보고 예전에 연탄아궁이에 연결해서 쓰던 온수통이 생각나더군요.
이 파란색 온수통을 기억하시는 분이 있을실지 모르겠네요.
연탄아궁이에 일반 덮개 대신에 물을 끓이는 구조의 아궁이 덮개를 이용한 방법이였는데.....
이 온수통은 보신 분이 아니면 쉽게 이해하실 수 없을 것 같아 넘어 가겠습니다.
위의 그림을 설명하면....
chowho님의 온수통에 전기가열봉을 추가하여.....
난로를 사용하지 않아도 물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게 한것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보이는 부품들은 청계천 세운상가 쪽에 나가시면 다 구입하실 수 있는 것입니다.
부품값은 생각보다 비싸지 않습니다.
전기가열 온수봉을 생각하게 된 것은 제가 예전에 어느 공장에 갔더니 그 공장에서는 겨울에 빨간 허리 높이 고무 통에 전기 가열 봉을
물에 꽂아 놓고 온수를 만들어 쓰고 있는 것을 보고 생각해 둔 것입니다. 전기값이 만만치 않을 것 같다고 하니까 공장이라 전기값이
저렴해서 부담이 없고 물이 빨리 끓어서 온수 사용하기에 좋다고 했습니다.
대신 안전사고에는 조심한다고 했습니다. 물과 전기는 상극이니까요.
그래서, 정확한 한달 전기값은 계산할 수는 없겠지만 방하나는 구들방으로 하고 작은 방 하나는 이 온수를 이용한 난방을 한다면
그렇게 많은 비용을 들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온수도 사용합니다.
거실은 당연히 난로나 구들방 아궁이 위에 있는 열집진기통에서 나오는 열로 난방을 하고 있을 것이고.....
그래도 거실바닥이 찰까요?
이 이론이 실제로 해 본 것이 아니라 아쉽다면 거실 난방도 연구해보겠습니다.(숙제)
( 현재 생각은 난로로 거실이 훈훈해질 때까지 필림난방을 하고 거실이 훈훈해지면 필림난방을 끄는 방식 )
여기서 중요하게 체크해야할 부분은 온수통의 보온입니다.
열손실이 거의 없게 보온을 잘해야 물이 식는 것을 막아 전기사용을 줄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플라스틱통은 아무래도 나중에 깨질 수도 있으니 스텐이나 철로된 통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물론 용량은 잘 계산해야겠죠.
이 보일러에서 가장 돈을 많이 잡아먹을 것이 온수통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감압밸브를 설치한 것은 난로에서 끓은 물을 눈으로는 온도가 얼마나 됐는지 통제할 수 없으므로 이 열로 인해 팽창된 공기가
탱크안에 압력을 높이면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꼭 설치해야 합니다.
압력밥솥에서 일정압이 되면 공기를 빼는 밸브와 동일한 원리입니다.
이 또한 청계천 밸브가게에 가시면 저렴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봉은 예전에 겨울철에 청계천에 지나가면서 가게에서 파는 것이 많길래 가격문의를 하니 만오천원에서 이만원정도 했습니다.
그냥 전기콘센트에 꽂는 방식인데 온수통에는 전기봉에 온도센서를 연결해서 일정 온도 이하에서만 작동하게 하면 되겠죠.
물론 사용 안할 때는 별도로 꺼놓을 수 있는 스위치도 만들 생각입니다.
순환펌프는 방배관 난방을 하기 위해 설치를 하는 겁니다.
타이머 방식일 수도 있고 방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가 되면 물을 순환시키는 방식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요 부분은 아직 공부 중입니다. 저희 집 방에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작동센서기의 구조를 아직 잘 몰라서요. -.-;;
( 이 부분에 대해 지식이 있는 회원님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 )
이론이 너무 깊숙히 들어간 건가요? 하지만 인터넷을 잘 활용하면 이론은 어느정도 구비가 되더군요.
그림에서는 순환펌프 앞에 수도꼭지를 만들었는데 이 경우는 방난방을 하지 않았을 때를 생각해서 그린 겁니다.
만일, 방배관을 해서 난방도 한다면....그리고, 씽크대 등 수도꼭지에서 온수를 사용하려고 한다면 당연히 순환펌프 뒤에 수도꼭지가
있어야 수도꼭지에서 따뜻한 물이 나오겠죠. 수도꼭지를 열면 순환펌프가 작동하는 구조로 하는 겁니다.
게이트 밸브라고 하는 것을 두개 위아래로 설치한 것은....
나중에 수리를 할 경우가 생겼을 경우를 대비해서 설치하는 그림을 그린 겁니다.
청계천 밸브가게에서 사시면 개당 2-3천원도 안합니다. 설치해두면 나중에 수리할 때 물 다 빼고 수리안해도 됩니다.
요정도가 제가 생각하는 방식입니다.
이정도 설명을 하면 온수통의 원리는 머리 속에서 맴돌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것을 현실로 만드는 도전정신과 당신의 능력입니다.
설계도는 어느 정도 생겼으니....손재주가 있으신 분이라면 한번 도전해 보시는 것도 돈을 절약하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대신 안전.....또 안전.......원리를 충분히 숙지 한 후에 만드세요.
돈을 아끼시는 것도 좋지만.....안전이 최고 우선이니까요. ^.^
시골에 계시면 서울에 있는 청계천에 나오시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서울나들이도 하시면서 시골살이에 필요한 공구(엔진톱, 전동공구, 철물, 배관자재, 전기재료, 조명등, 등등)들을 사신다면
아마 서울나들이 경비는 뽑고 남으실 겁니다. 다녀보실 곳은 청계천 3가에서 5가 사이에 거의 다 있습니다.
저도 부동산을 하지만....일년에 두세번은 들립니다.
특별한 이유로 가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구경 삼아 가는 것인데.....올 때는 비닐봉지에 이것 저것 사가지고 오죠. ^.^
사온 것을 집에 두고 있으면 언제가는 씁니다. 공구는 사람의 힘을 덜어주니까요.
chowho님의 좋은 사진과 설명에 감사드리며....
제가 그린 그림이나 chowho님의 사진과 설명에 에 대해 의견을 나눠 주실 분들이 많으셨으면 합니다.
'모른다'가 창피하지 않고 '안다'는 것이 쑥스럽지 않는 그런.....같이 공부하는 귀농사모가 됐으면 합니다.
출처 : 네이버 카페 '지성아빠의 나눔세상' - 전원 & 귀농 -
http://cafe.naver.com/kimyoooo/2797
첫댓글 전부 배꼽입니다.... 이거 많은 도움이 될 정보인데... 흐미... 다시 올려주소서
아고 아쉽네요 다시한번 올려주시길 청합니다 배꼽보고 공부할수는.......
네이버의 원본사진은 타 사이트로 링크가 안되는걸로 아는데... ^ ^...
수정했습니다. 이번에도 배꼽만 보이고 안보이시면 하단에 홈페이지 주소를 클릭하셔요
지성아빠홈피에 가서 이윤복님 글의 사진도 모두 배꼽이라서,,,,,,,,,,,,,, 보고픈데요,,,ㅎ
너무 난해한 공사같습니다.
카페에 사진을 너무 많이 올려 나타난 현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 너울 이윤복님의 홈페이지 : http://www.starvillage.co.kr/index.htm?mainwhat=9 홈페이지 주소를 클릭하시면 스타 마을이라는 홈페이지가 나옵니다.(글을 읽으시려면 회원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이 윤복님에 관한 글 중 처음에 알린 사항인데...
어제는 안보이더니 오늘은 보이네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나중에 도움이 될까하고 저장해 두었어요...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