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리엔티어링 지도의 자북선 이해 |
1. 오리엔티어링 지도의 자북선 이해
1-1. 나침반의 원리 ■ 나침반의 자침의 적침부분은 캐나다의 허드만 만을 가리키고 있다.
1-2. 편각도표란 ■ 편각 도표는 지도 사용자가 지도를 정확하게 정치(定置)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1-2-2 경년 변화 값 ■ 지구는 공전하는 축이 적도 기준 66도 정도 기울어져 있다. 1-3. 자북선을 그어야 하는 이유
만약 각각의 지역에서 각기 다른 지점을 가리킨다면 매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다행이 어디서나 동일지점(허드슨만)만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않다면 지역별 나침반이 필요할 것이다.
대축척 지도의 난외 하단에 표시되어 있다.
■ 이 도표는 자북 방위각, 도북 방위각, 진북 방위각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자북, 도북, 진북을 표시하는 3개의 선을 이용하여
도북과 자북(도자각), 진북과 도북(도편각), 진북과 자북(자편각)간의 각도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1:50,000과 1:25,000(1996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공고한 편각도표 적용)에서
구할 수 있다.
■ 1년에 이 축이 우리나라 기준 서쪽편으로 1분 정도씩 기울어진다. 따라서 이 수치도 감안해야 한다.
1-3-1. 나침반과 도엽 관계
■ 1-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자침이 동일하게 가리키고 있다면,
아마 자북선이란 말은 필요없는 말이 되었을 수 있다.
■ 지역에 따라 3-1 편각도표를 꼭 확인할 필요가 있다.
1-3-2. 자북선 긋기
1-3-2-1 일반적인 긋기(주로 산행 시 적용)
■ 편각도표의 표기대로 도자각(자북과 진북의 각도 위 표 7도 30분)을 적용.
경선에서 360도-7도30분=352도 30분(서쪽으로)을 그린다.
1-3-2-2. 정밀한 긋기(오리엔티어링 지도에서의 적용)
■ 도자각+도편각+경년변화값=자편각 구함.
■ 도자각-도편각+경년변화값=자편각 구함.
■ 자편각을 구해 삼각함수 적용 긋는다.
1-4. 자북선 역할
가. 방위각 측정에서의 기준선이다.
나. 나침반 조작 시 북방지시화살표와 연계하여 방위각을 구한다.
다. 현재 내가 있는 지점을 알고 목적지점이 정해져 있다면 그 지점의 방향을 구할 수 있다.
라. 진정한 지도에서의 北쪽을 알려 준다.
따라서,
■ 산행 등의 경우 해당되는 도엽을 구입하여 편각도표를 확인 후 최소한 자북선을 그어 사용해야만 한다.
그러나, 오리엔티어링 지도에는 기본적으로 자북선을 그어 제작하게 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