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감염성 질환(Zika virus Infection)
![](https://t1.daumcdn.net/cfile/cafe/212E753D56BDDC5F29)
[정의]
지카 바이러스는 뎅기열, 치쿤구니야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 계열의 바이러스입니다. 1947년 우간다의 지카(Zika) 숲에 사는 붉은털원숭이에게서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됐다고 해 '지카 바이러스'라고 이름 붙여졌습니다.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은 모기(Aedes 모기)의 흡혈 과정을 통해 옮겨지는 감염병으로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질병이었으나, 최근 태평양 섬으로 유행지역이 확대되었고, 2015년에는 중남미 국가에서 많은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보통 사람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발진, 관절통, 눈의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만, 신생아 소두증과의 연관성 때문에 임신부의 감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4DF04056BDDC8B34)
[원인]
지카 바이러스는 감염된 모기에 물렸을 때 전파되는 질환으로 뎅귀열, 치쿤구니야열, 황열 바이러스를 옮기는 아열대기후에 서식하는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 또는 비교적 온난한 기후에서도 서식할 수 있는 '흰줄 숲모기(Aedes Albopitus)'에 의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흰줄숲모기 서식이 확인되고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서식 모기의 0.2%정도의 낮은 비율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모기 외에 사람과 사람 간 전염 경로로는 수혈과 성접촉에 의한 사례가 있으나 감염자와의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습니다.
2015년 10월 브라질에서 소두증 아기들이 많이 태어난다는 것이 인지되고, 지역적으로 지카바이러스 유행지역과 일치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조사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이러한 연관성이 확정적으로 밝히기 위해서는 추시 연구결과가 발표되어야 하지만, 현재까지 연구에 따르면 2명의 소두증 신생아의 임산부의 양수에서 지카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소두증으로 사망한 신생아에서 지카바이러스가 검출된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현재 이러한 개연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브라질 보건당국은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아직 지카 바이러스가 어떻게 태아의 두뇌 성장에 영향을 주는지 아직 명확하게 밝혀내지 못한 상황입니다. 또한, 성인에서는 길랑바레(Guillain-Barre) 증후군 환자에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지카바이러스 감염에 합당한 증상이 있는 환자 사례가 늘어나면서 여기에 대한 연관성도 현재 조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증상]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의 잠복기는 2~14일이며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발진, 관절통, 결막염, 눈의 충혈 등이 있습니다. 증상은 뎅기열, 치쿤구니야열과 유사하여 구별이 어렵지만, 눈의 충혈이 있는 것이 약간 다른 점입니다. 증상이 비교적 가벼우며 감염자 5명 중의 1명꼴로만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과/합병증]
전세계적으로 지카 바이러스로 인해 사망한 사례는 보고된 바 없으며 중증 합병증은 드문 편입니다. 임신부 감염 시 소두증 아기의 출생과 관련한 조사와 성인에서 길랑바레(Guillain-Barre) 증후군과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치료]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더라도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수분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됩니다. 관절통 등의 증상이 지속되면 증상에 따른 치료를 시행합니다.
[주의사항]
지카 바이러스는 아직 예방 백신은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에어컨이 있는 실내에 머물거나 모기장을 쳐놓은 상태에서 자는 것이 좋으며 외출 시에는 모기기피제를 바르고 긴 소매 옷과 긴 바지 등을 입는 것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모기를 완전히 피할 수 없으므로 임신부는 위험 지역에 가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국가를 방문한 임신부가 고열,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이면 의사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출처: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소두증
(microcephaly , 小頭症)
[정의와 진단]
머리 크기가 매우 작은 증상이다. 뇌가 성장하지 않거나, 낮은 뇌압 등으로 두개골이 자라지 않으면서 나타난다. 나이에 따라 평균 머리둘레보다 5cm 이상 작은 경우 소두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소두증인 성인의 머리둘레는 약 48cm 이하로, 10세 이하 아동의 경우 머리둘레가 평균보다 3cm 이상 작다면 소두증을 의심할 수 있다. 신생아의 평균 머리 둘레는 34~37cm 정도로 32cm 이하의 신생아는 소두증일 가능성이 있어 예후를 살펴야 한다. 임신 중에도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소두증을 확인할 수 있다. 출산 후에는 성장에 따른 머리 크기로 소두증인지를 확인한다. 머리 크기가 너무 작을 경우 MRI 검사 등을 통해 소두증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증상]
소두증으로 인해 다른 뇌 기능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머리뼈가 자라지 못하는 만큼, 두개골 내부 압력이 증가해 뇌의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뇌 손상이 발생하면서 발달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뇌성 마비나 수두증 등의 질환을 수반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청력 손실이나 시력 문제, 보행 운동장애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소두증으로 인한 증상과 질환은 매우 다양하여 가벼운 소두증의 경우 머리 크기 이외의 다른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심각한 소두증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소두증에 대한 특별한 치료 방법은 없으며 환자의 성장에 따라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발달 지연을 돕는 언어, 물리치료나 기능 장애를 위한 약물치료 등을 시행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5B674656BDDCD81E)
소두증과 두개유합증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두개유합증이란 두개안면부조화(기형)의 하나로 뇌를 감싸는 머리뼈의 봉합선이 조기에 붙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유전적 요인 없이 머리뼈만 붙는 단순 두개유합증의 경우 두개골 성형수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단 소두증으로 인해 뇌 자체의 발육이 되지 않아 두개골이 빨리 붙는 경우에는 수술로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수술로 두개골을 고치더라도 소두증 요인으로 인해 뇌 발육이나 두개골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78D4556BDDCFF12)
[원인 ] 소두증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유전자 결함이나 선천성 대사 이상 등이 있다. 환경적으로는 임신 중 풍진이나 톡소플라즈마증, 거세포바이러스 등에 감염되거나, 심한 영양실조나 알코올, 특정 약물, 독성 화학 물질, 방사선 등 유해 물질에 노출되었을 경우 등이 있다.
2015년 브라질 보건부가 소두증의 유발 요인 중 하나로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를 지목했다. 지카 바이러스는 이집트 숲 모기(Aedes Aegypti)를 통해 전염되는 질병으로 감염되면 발열과 발진, 관절통, 결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일정 기간 앓고 나면 대개 완치되며, 증상이 가벼워 감염 사실을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다. 치사율은 낮지만, 예방 백신이나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브라질 보건부는 임산부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태아의 두뇌 성장이 저해되어 소두증과 같은 선천적 기형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고 발표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의 연관 관계를 공식적으로 확인하지 않은 상태다 (출처:다움백과사전)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48A3F56BDDD6D3A)
![](https://t1.daumcdn.net/cfile/cafe/2171343F56BDDD6D1E)
첫댓글 지카바이러스가 소두증원인아니라 몬산토제휴사 일본의 스미모토화학에서 만든 살충제가 원인가능성 높다고 YTN사이언스에서 보도되었음.
결국 그 당시 지카바이러스라고 언론방송들이 떠들던건 가짜라는거?!!!!
언론방송들은 사과문 작성해서 시청자에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