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브랑쉬 (Nicolas Malebranche, 1638-1715) 생애
1638 말브랑쉬 (Nicolas Malebranche, 1638-1715) 파리에서 태어났다.
1654[열여섯]-1659
1660(스물둘) 파리 생-또노레(rue Saint-Honoré) 거리에 있는 오라트와르 수도회(Congrégation de l'Oratoire)에 들어가다.
1664(스물여섯) 신부 서품을 받다.
- 데카르트의 인간론(출판 1664)을 읽다.
1671 로오(Jacques Rohault, 1618-1672)의 저술 물리학 개론(Le Traité de physique, 1671), 철학에 관한 대담들(Les Entretiens sur la philosophie (1671)에 영향을 입다.
1673(서른다섯) 그는 반데카르트의 서식[설문지]에, 오라트와르 수도회 전체와 함께 행했던 서명을 철회했다. 이 나이에 데카르트를 인정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저술이 나올 것이다.
1674(서른여섯) 진리의 탐구(Recherche de la vérité) I권을 출판하였다.
1675(서른일곱) 진리의 탐구(Recherche de la vérité) II권을 출판하였다.
셋째 권으로서 진리탐구 해명(Éclaircissements sur la recherche de la vérité, 1678). De la recherche de la vérité. Où l'on traite de la Nature de l'Esprit de l'homme, & de l'usage qu'il en doit faire pour éviter l'erreur dans les Sciences (1674-1675). Texte sur Wikisource.
1676(서른여덟) 크리스트교인의 대화들(Conversations chrétiennes, 1677).
1677(서른아홉) 겸손과 고해성사에 관한 작은 성찰들(Petites Méditations sur l’humilité et la pénitence, 1677) .
1680(마흔둘) 자연론과 은총론(Traité de la nature et de la grâce, 1680).
Pulchra, nova, falsa
1683 마리-떼레즈 도트리쉬(Marie-Thérèse d’Autriche, 1638-1683), 루이 14세의 부인이 사망에서 보쉬에가 조사를 하였는데, 그 속에 말브랑쉬를 공격했다고 한다.
[네델란드에서도 파리에서 교육받은 주교..1683 à l'évêque hollandais Neercassel ...]
1683(마흔다섯) 크리스트교의 성찰들(Méditations chrétiennes, 1683)
도덕론(Traité de morale, 1684)
1685(마흔일곱) 노르망디로 여행했다. “새로운 개종자”들을 위하여
1688(쉰) 형이상학에 관한 또 종교에 관한 대담들(Entretiens sur la métaphysique et sur la religion, 1688)
1688 뻬리고르(Périgord)로 여행했다. 둘째 여행인데 이를 제외하고 파리에 머물렀다고 한다.
1690(쉰둘) 말스랑쉬 저술 교황청 교리성의 금서에 오르다. 얀센주의들과 제수이트들이 고발했다. [아이러니 하게도 그 다음에는 얀센주의자들이 당할 것이다.]
죽음에 관한 대담들(Entretiens sur la mort (1696)
1697(쉰아홉) 신의 사랑론(Traité de l'amour de Dieu, 1697).
1707(예순아홉) 신의 현존과 자연에 관한 크리스트교의 철학자와 중국 철학자의 대담(Entretien d'un philosophe chrétien et d'un philosophe chinois sur l'existence et la nature de Dieu (1708).
1709(일흔하나) 아르노에게 응답들 전체 모음(Recueil de toutes les réponses à M. Arnauld (1709).
1714(일흔여섯) 메랑에게 보낸 편지(Lettres à Dortous de Mairan (1714)
1715(일흔일곱) 물리학적 신의 작용에 관한 반성들(Réflexions sur la prémotion physique, 1715) .
1715(일흔일곱) 말브랑쉬, 10월 세상을 뜨다. - 루이 14와 같은 해 태어나서 같은 해 떠나다.
#
2600? 아담(Adam), 유대 경전과 뮈즐망 경전의 인물이다. 유대교, 크리스트교, 뮈즐망 신앙의 토대이다. 유대경전 창세기 5장 5절에 930살을 살았다고 한다.
[1850년경? 아브라함]
460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d'Abdère, Δημόκριτος, « choisi par le peuple », 전460-370)[아흔살], 그리스 고대 철학자. 우주가 원자들과 빈 것으로 구성되었다는 개념작업 때문에 유물론자로 간주되었다. [그는 소크라테스보다 (아홉)열 살 정도 어렸으나, 소크라테스 사후 30여년을 더 살았다. 플라톤은 데모크리토스를 알았을 것인데, 저술 속에 언급이 없다고 한다.]
428 플라톤(Platon, Πλάτων, 428/427-348/347) 그리스 아테네 철학자.
384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 Ἀριστοτέλης/Aristotélēs, 384-322: 62살) 스타지르(Stagire, Στάγειρος)에서 탄생. (플라톤 나이 33세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367년(17살)에 플라톤의 나이 50살에 아카데미아 입학했다고 한다.
300? 유클리데스(Euclide, Εὐκλείδης, 전300활동), 알렉산드리아 에우클리데스. 수학자. 기하학 원론 저자.
287 아르키메데스(Archimède de Syracuse, Ἀρχιμήδης, 전287-212) 시실리[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기술자.
240 아폴로니오스(Apollonios de Perga, Ἀπολλώνιος ὁ Περγαῖος, 아마도 전240년경-?) 그리스 기하학자, 천문학자. 원뿔을 다루었다.
O
204 플로티노스(Plotin, Πλωτῖνος; lat.. Plotinus 205-270) 이집트 리코폴리스에서 태어나, 알렉산드리아 학파. 엔네아데스(Les Ennéades, Ἐννεάδες, 254-270).
354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 d'Hippone, Aurelius Augustinus, 354-430) 라틴시대 철학자 크리스트교 신학자.
410 프로클로스(Proclus Proklos, Πρόκλος / Próklos, 410-485) 그리스의 철학자. 그리스도교의 감화력이 강한 시대에서 끝까지 그리스철학의 전통을 옹호하여디아도코스(전통계승자)« le Diadoque » (διάδοχος, successeur)라는 칭호를 얻었다.
46? Denys l'Aréopagite, Διονύσιος ο Αρεοπαγίτης), 바울이 만난 아테네인/ 위 니오뉘소스 아레오파기테스(Pseudo-Denys l'Aréopagite) 작가. 플라톤주의자.
529 성 베네딕도회(Ordo Sancti Benedicti, OSB),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의 수도회(Ordines monastici).. 529년에 누르시아의 베네딕토가 몬테카시노에서 창건하였다. 모토는 ‘평화’(pax)와 ‘기도하고 일하라’(ora et labora)이다. 한자로 분도회(芬道會)라 한다.
1217 보나베투라(Saint Bonaventure, 1217/1218-1274) 프란체스코파 총감독, 이탈리아 종교인.
1596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 프랑스 철학자, 수학자, 물리학자. 《방법서설》Règles pour la direction de l'esprit, (Regulae ad directionem ingenii), inachevée, s.d. / Meditationes de prima philosophia (Méditations métaphysiques) 1641, Principia philosophiae 1644,
1612 아르노(Antoine Arnauld, 1612-1694), “대 아르노”(« Grand Arnauld »), 프랑스 철학자, 신학자. 쟝세니스트들의 우두머리.
1618 로오(Jacques Rohault, 1618-1672), 프랑스 물리학자. 데카르트 물리학을 경험을 통해 세속화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몰락에 기여했다. 물리학 개론(Le Traité de physique, 1671), 철학에 관한 대담들(Les Entretiens sur la philosophie (1671)
1619 토마생(Louis Thomassin, 1619-1695), 오라트와르 신부, 프랑스 종교인 신학자.
1621 마르땅(André Martin, 1621-1695), (필명 Ambrosius Victor) 뿌와투 지역에서 태어났다. 오라트와르 수도회 소속(1641), 1679 쁘와띠에 대학 신학교수. 얀센주의자로 고발당함. 1695년 쁘와티에에서 몰하다. 보편철학에 대한 성 아우구스티누스(Sanctus AUGUSTINUS de philosophia universim.
[1625 반 니르카셀(Johannes Baptista van Neercassel, 1625–1686) 홀란드 왕가의 사제직을 맡았다(1663 à 1686). 오라트와르 신부, 그는 얀센주의자와 가깝게 지냈는데, 사후에 제수이트파들은 그의 작품 후회하는 사랑(Amor poenitens, 1683)을 금서목록에 올렸다.]
1627 보쉬에(Jacques-Bénigne Bossuet, 1627-1704), 프랑스 설교가, 주교, 작가. 루이 14세의 아들(황태자)의 스승, 마담 귀용(Madame Guyon)의 제자인 페늘롱(Fénelon)과 정적주의(le quiétisme)에 대해 논쟁했다. 왕권신수설이라 불리는 구절 « le trône royal n’est pas le trône d’un homme, mais le trône de Dieu même »
1632 스피노자(Baruch Spinozaa, 1632-1677) 세파라드 유대인, 네델란드 철학자.
1632 레지스(Pierre Sylvain Régis, 1632–1707) 프랑스 데카르트주의 철학자. 스피노자 비판자. 철학 체계(Système de Philosophie, 1690), 검열에 응답(Réponse au livre qui a pour titre Censura philosophiæ Cartesianæ(Paris, 1691).
1632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 잉글랜드의 철학자, 정치사상가.
1636 라미(François Lamy, 1636-1711) 프랑스 신학자, 베네딕트 수도승. 자기 자신의 인식에 대하여(De la connoissance de soi-meme, 1704) - 이 책에서 예정조화에 대한 반대에 대한 라이프니츠의 응답으로: Leibniz, Addition à l'explication du système nouveau touchant l'union de l'âme et du corps, (1704).
1638 말브랑쉬(Nicolas Malebranche, 1638-1715) 프랑스 신부, 철학자.
1638 마리-떼레즈 도트리쉬(Marie-Thérèse d’Autriche, 1638-1683) 오스트리아 출신 루이 14세의 부인, 그녀의 부모는 필립4세(Philippe IV, 1605-1665)와 엘리자베스(Elisabeth de France, 1602-1644)이며, 여덟째 자식이다. 장례식(1683)에 보쉬에가 조사를 하다.
1640 라미(Bernard Lamy, 1640-1715) 프랑스 수학자, 철학자, 물리학자. 오라트와르 신부, 과학들에 관한 대담들(Entretiens sur les Sciences, 1684)(루소가 백번을 읽었다고 한다)
1642 뉴턴(Isaac Newton, 1642-1727) 잉글랜드의 수학자, 물리학자.
1645 페데(René Fédé, 1645-1716)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학파에 속한다. 영혼의 기원에 관한 형이상학적 성찰들(Meditations metaphysiques de l'origine de l'ame, sa nature, sa beatitude, son dévoir, … 1683).
1646 알베르/ 슈브뢰즈 공작 / 륀 공작(Charles-Honoré d'Albert, duc de Chevreuse (jusqu'en 1699), puis 3e duc de Luynes, 1646-1712) 프랑스 귀족, 군인.
1646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논리학자, 외교관, 사서관. 그는 라틴어(~40%), 프랑스어(~30%), 독일어(~15%)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였다.
1646 그리냥 백작부인(Françoise de Sévigné, comtesse de Grignan, 1646-1705), 그의 어머니는 세비네 부인(Madame de Sévigné, 1626-1696)이며, 모녀의 편지교환으로 유명하다.
1650. 파르델라(Michelangelo Fardella, 1650–1718) 시실리 과학자 합리주의 사상가. 데카르트와 말브랑쉬 영감을 받은 사상가. Animae humanae natura ab Augustino detecta
1651 페늘롱(François de Salignac de La Mothe-Fénelon, 1651-1715) 별칭 « le Cygne de Cambrai », 프랑스 주교, 신학자, 교육자, 작가. 자연과 은총에 관한 신부 말브랑쉬의 체계에 대한 반박(Réfutation du système du père Malebranche sur la nature et la grâce (1688)
1652 델리사가레(Bernard Renau d'Eliçagaray, 1652-1719) 프랑스 기술자, 해군장교.
1655 리온(Artus de Lionne, 1655-1713) 로마태생 파리에서 몰, 터키의 로살리의 신부 및 주교, 파리 외방선교의 전도사(missionnaire français de la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1689[서른넷]년 중국으로 갔다. 그는 중국에서 제의 논쟁에서 제수이트 반대편에 섰다.
1705-1707년에는 중국 강희제(康熙帝; 1654-1722)[재위1661 à 1722] 측근에 있었다.
1657 노리스(John Norris, John Norris of Bemerton, 1657–1712/ 1667-1711), 영국 신학자, 철학자. 플라톤주의에 연합한 시인.
1661 로피딸 후작(Guillaume François Antoine de L'Hôpital, 1661-1704), marquis de L'Hospital, 프랑스 수학자. 과학아카데미 회원.
1661 뽈리냑(Melchior de Polignac, 1661-1741, 프랑스 카톨릭 추기경, 외교관, 시인. Anti-Lucretius, 1747.
1663 까레(Louis Carré (1663-1711), 프랑스 수학자. 말브랑쉬의 비서.
1665 르롱(Jacques Lelong, Jacobus Longus, 1665–1721), 프랑스 오라트와르 신부, 전기작가, 역사가. 사서직.
1665 르르벨(Henri Lelevel, 1665-1705) 프랑스 신학자. 오라트와르 신부. 형이상학적 진리와 거짓(Vraie et la fausse métaphysique, 1694)
1667 마티아 도리아(Paolo Mattia Doria, 1667–1746) 이탈리아 철학자, 수학자. Difesa della metafisica contro il signor G. Locke, 1732
1670 떼라송(Jean Terrasson, 1670-1750) 프랑스 수도사, 문인, 헬레니스트이며 라틴이스트이다. 창조된 무한론(Traité de l’Infini Créé(말브랑쉬 언급)
1671년 로오(Jacques Rohault, 1618-1672), 프랑스 물리학자. 데카르트 물리학을 경험을 통해 세속화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몰락에 기여했다. 물리학 개론(Le Traité de physique, 1671), 철학에 관한 대담들(Les Entretiens sur la philosophie (1671)
1674 앙드레(Yves Marie André, 1675-1764), 프랑스 제수이트 신부, 철학자, 작가. 그의 원고는 출판되지 않고 깡(Caen)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었다. 필명 Ambrosius Victor,
1678 메랑(Jean-Jacques Dortous de Mairan, 1678-1771) 프랑스 수학자, 천문학자, 지구물리학자(géophysicien).
1679 부르시에(Laurent-François Boursier, 1679-1749) 소르본 박사. 1713년경에 피조물에 관한 신의 행위(L'action de Dieu sur ses créatures)[1713],
1685? 로쉬(Antoine-Martin Roche, 1705?-1755) 신부. 다른 정보는 없음. 영혼의 자연과 영혼의 인식 기원론: 로크롸 그 지지자들에 반대하여(Traité de la nature de l'âme et de l'origine de ses connoissances contre système de Locke et de ses partisans, 1715)(Volume 2, 1759).
1689 몽테스키외(Charles-Louis de Secondat, Montesquieu, 1689-1755), 계몽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프랑스 정치사상가.
1696 라모리니에르(Adrien Claude Lefort de La Morinière, 1696-1768), (1698–1768), 신속에 있는 과학에 관하여(De la science qui est en Dieu, 1718.
1697 리냑(Joseph-Adrien Lelarge de Lignac, 1697-1762). 오라트와르 신부,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와 말브랑쉬 연구자. 형이상학 원론들(Éléments de métaphysique tirés de l’expérience ou Lettres à un matérialiste sur la nature de l’âme, 1753(Paris), 내밀한 감관의 증거(Témoignage du sens intime et de l’expérience, 1760)
1712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 스위스 제네바 태생, 프랑스 철학자, 사회계약론자, 직접민주주의자, 공화주의자.
1718 게르딜(Giacinto Sigismondo Gerdil, 1718–1802) 이탈리아 추기경. Immaterialité de l'âme demontrée contre M. Locke, 1747 Défense du sentiment du P. Malebranche sur la nature, et l'origine des idées contre l'examen de M. Locke, 1748
1792 꾸쟁(Victor Cousin, 1792-1867), 프랑스 철학자, 정치가.
1813 부이이에(Francisque Bouillier, 1813-1899) 프랑스 철학자. Histoire de la philosophie cartésienne (2 volumes, 1854)
1830 블람피뇽(Emile-Antoine Blampignon, 1830-1908), 프랑스 철학자. 신부(?) 교회법학자.
1898 구이에(Henri Gouhier, 1898-1994), 프랑스 철학자, 철학사가. 드라마 비평가. 질송의 자리에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 말브랑쉬의 소명(La Vocation de Malebranche, 1926)
(5:29, 57MKF)
첫댓글 동서양을 막론하고, 현자의 길을 가는 자들이 18, 19세(열여덟아홉)에 깨달았다고 할 때, 기존의 두가지(또는 세가지) 체계 속에 있다. 하나는 그 당대의 종교, 다른 하나는 그 당대의 도덕과 제도의 관례에 관해서 공시태의 체계를 깨달았다고 한다(명진도 그 나이에 그랬다). 그런데 종교든 제도든 기존의 틀을 벗어나 사유해야다는 것을 알게 되면, 도(道)와 스승을 구하러 노마드가 된다(책 속에 파뭍히든, 온세상을 주유하든). 그러다가 통시적 관점에 이르면 영혼(자아)이 우주의 범(梵)과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하늘과 땅 사이에서, 땅에서부터 삶을 다시 사유하게 된다(땅에 노력이 여름 뙤약볕의 고통인지, 가을의 들녘을 보는 즐거움인지 – 들뢰즈가 후자를 “눈의 잔혹성”이라 했다). 서양은 긴 철학사가 하늘에 땅에 내리게 하였고 그리고 그 땅위에서 무엇을 찾는 작업을 했다는 과정을 보여 준다. 그런데 불교는 과정의 통시적 설명이 사변적이다. 불교의 이해를 위해서 니체에게서 세 단계 탈바꿈, 즉 원한, 원죄, 부채를 벗어나는 통시적 과정을 보게 되면, 생명의 환희, 불성, 크리스트, 환, 삼황, 알라, 야훼 든 자연스럽게 품게될 것이다.(57MK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