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목차보기
- 진법
- 번역서 병학통(兵學通)
- 번역서 병학지남 권1
- 번역서 이진총방
- 번역서 [융원필비] 화차 진도 번역
- 번역서 악기도설(握奇圖說)
- 진법자료실 진법자료실
- 진법자료실 훈련
- 진법자료실 > 훈련 > 입장 입교장열성항오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입장 입교장열성항오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입장 입교장열성항오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훈련 > 입장 입교장열성항오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입장 입교장열성항오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별장천총일체발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도대하완립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평렬청발방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평렬청발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각번이하애차발방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각영일체발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청장호적인출마로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총령평열청발방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파총이하애차발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총령도대하완립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총령청장호적인출마로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파총이하애차발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대도하완립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번장파총이하애차발방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대장기고대상파열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대장기고상파열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대장청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기고대상파열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청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별장천총일체발방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대장청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평렬청발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평렬청발방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도대하완립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도대하완립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청장호적인출마로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청장호적인출마로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명령수행 관기청장호적인출마로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훈련 > 상벌 사공죄발방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상벌 사공죄발방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훈련 > 상벌 사공죄발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훈련 > 상벌 사공죄발방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전투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일대전신향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일영삼부평행위삼로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매기삼대형행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발기입표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분사로행영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분이로행영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행영전신향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개열진이로행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개열진이로행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정상행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좌우오환반집기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행영전신향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행영전신향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행영전신향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매영삼로사영행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행영전신향후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편상행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일사오초행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개열진이로행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당보애차존류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분사로행영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개열진이로행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거기하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거기행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분사로행영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분이로행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분이로행영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분이로행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분사로행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원앙대쌍인행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개영행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개영행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개영행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개영행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개영행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분이로행영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행군 분사로행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일로행우경열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일로행우경열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전층우적차절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전층출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전층출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일로행우경열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사로행우경열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이로행우경열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이로행우경열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이로행우경열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이로행우경열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후층출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변위사층전신향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전층출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조총윤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후층출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일로행우경열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조총윤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조총윤방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후층살수출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후층총수윤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후층출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간화첩퇴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간화첩퇴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간화첩퇴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발기입표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방영일면출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파열대대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단병교봉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당보우적퇴회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변위이층전신향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양층구출오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궁파출전방사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변위이층전신향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변위이층전신향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간화첩퇴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열개소대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오방기초선출입표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양층살수구출오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사로행우경열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삼부평행우경열진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기계향전신수향후퇴회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양층구출오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양층구출오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사로행우경열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사로행우경열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전층살수출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전투 > 전투 조총급출퇴회층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복병 출전수변설복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복병 기승추적수복수복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전투 > 복병 복병기출정병회응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기본진
- 진법자료실 > 기본진 장단수기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기본진 좌오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기본진 원앙대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기본진 보병전대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기본진 보병입대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기본진 우오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기본진 원앙대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기본진 양의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기본진 삼진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기본진 삼재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기본진 양의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기본진 경기살수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기본진 마병수기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기본진 오마작대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전차진
- 진법자료실 > 전차진 > 화차진 화차누진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용원필비)
- 진법자료실 > 전차진 > 화차진 화차방진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용원필비)
- 진법자료실 > 전차진 > 화차진 일부십이중산립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악기도설)
- 진법자료실 > 전차진 > 전차진 전차(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용원필비)
- 진법자료실 > 전차진 > 전차진 화차(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용원필비)
- 진법자료실 > 전차진 > 전차진 마병배차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전차진 > 전차진 목화수거(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용원필비)
- 진법자료실 오방진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기방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기방진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대방이위구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대방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로행열진변위방영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로행열진변위방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로행열진변위방영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사방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사방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영이층입표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초방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초방진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삼사방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삼지함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이로행열진변위방영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이로행열진변위방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훈련도감방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각번방진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총융청삼영방진도(기관 : 총융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오영삼층입표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이로행열진변위방영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이지합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대방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령방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초방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좌우방진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마병육초방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방영일면윤방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이부육사방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총융청일사방진도(기관 : 총융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부삼사방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금위영일사방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마병삼초방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사기방영발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금위영오부방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오방기초선출입표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오방기초선출입표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오영합열진도(기관 : 오군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오지합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어영청일사방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수어청오부방진도(기관 : 수어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금군칠번방진도(기관 : 금군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어영청오부방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사정방영발방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지남)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수어청이사방진도(기관 : 수어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수초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방진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사사방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사지합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이사방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이로행열진변위방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기방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로행열진변위방영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영삼부방영도(기관 : 분류없음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방진 일총방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원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훈련도감원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총융청삼영원진도(기관 : 총융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총융청일사원진도(기관 : 총융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금위영일사원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금군칠번원진도(기관 : 금군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금위영오부원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어영청일사원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수어청오부원진도(기관 : 수어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어영청오부원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원진 수어청이사원진도(기관 : 수어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수어청이사곡진도(기관 : 수어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훈련도감곡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곡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총융청삼영곡진도(기관 : 총융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총융청일사곡진도(기관 : 총융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금군칠번곡진도(기관 : 금군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금위영일사곡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금위영오부곡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어영청오부곡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수어청오부곡진도(기관 : 수어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곡진 어영청일사곡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금위영오부직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수어청이사직진도(기관 : 수어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훈련도감직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금군칠번직진도(기관 : 금군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총융청삼영직진도(기관 : 총융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총융청일사직진도(기관 : 총융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직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어영청일사직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금위영일사직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수어청오부직진도(기관 : 수어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직진 어영청오부직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훈련도감예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예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어영청일사예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총융청삼영예진도(기관 : 총융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총융청일사예진도(기관 : 총융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금위영일사예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금군칠번예진도(기관 : 금군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금위영오부예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수어청오부예진도(기관 : 수어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어영청오부예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오방진 > 예진 수어청이사예진도(기관 : 수어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기병진
- 진법자료실 > 기병진 > 봉둔진 기사봉둔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기병진 > 봉둔진 마병봉둔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기병진 > 봉둔진 금군칠번봉둔첩진도(기관 : 금군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기병진 > 봉둔진 봉둔진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기병진 > 학익진 학익진도(기관 : 용호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기병진 > 학익진 마병학익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기병진 > 학익진 기사학익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기병진 > 학익진 금군칠번학익진도(기관 : 금군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수군진 정종회선도(기관 : 수군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수군진 연선하방영도(기관 : 수군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수군진 주사강구열성항오도(기관 : 수군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수군진 주사일채열영도(기관 : 수군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수군진 첨자찰도(기관 : 수군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수군진 각선주집청발방도(기관 : 수군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수군진 각선주집청발방도(기관 : 수군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수군진 열선작전도(기관 : 수군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수군진 열선작전도(기관 : 수군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 수군진 연선하방영도(기관 : 수군 병법서 : 병학지남 연병실기)
- 진법자료실 특수진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현무진 금위영일사현무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현무진 훈련도감현무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현무진 현무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현무진 어영청일사현무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현무진 어영청오부현무진도(기관 : 어영청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현무진 금위영오부현무진도(기관 : 금위영 병법서 : 속병장도설)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육화진 육화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육화진 육화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육화진 육화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구군진 구군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구군진 구군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구군진 구군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팔진 팔진도(기관 : 무예별감 병법서 : 이진총방)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팔진 팔진도(기관 : 훈련도감 병법서 : 병학통)
- 진법자료실 > 특수진 > 팔진 팔진도(기관 : 어영청,금위영 병법서 : 병학통)
- 전투훈련자료실 수성전
- 전투훈련자료실 공성전
- 전투훈련자료실 도하전
- 진법전개도 국왕의 훈련장 입장 장면
- 진법전개도 기병 이용 추격 장면
- 진법전개도 무예별감 군사들의 방진 전투 장면
- 진법전개도 무예별감 군사들의 오방진 장면
- 진법전개도 무예별감 군사들의 육화진 장면
- 진법전개도 무예별감 군사들의 행군 장면
- 진법전개도 무예별감 군사들의 현무진, 구군진 장면
- 진법전개도 무예별감 군사들의 훈련장 입장 장면
- 진법전개도 무예별감 군사들이 적군을 공격하는 장면
- 진법전개도 무예별감 군사들이 적군을 만났을 때 대형 장면
- 진법전개도 무예별감들이 국왕의 명령을 전달 받는 장면
- 진법전개도 무예별감의 방진 설치 장면
- 진법전개도 방진 설치 장면
- 진법전개도 방진 이용 방어 전법 1
- 진법전개도 방진 이용 방어 전법 2
- 진법전개도 방진 이용 방어 전법 3
- 진법전개도 방진 해체 장면
- 진법전개도 복병 운용 장면
- 진법전개도 이동중 살수대와 총수대의 전투 장면
- 진법전개도 살수(殺手)의 근접 전투 장면
- 진법전개도 살수들의 근접 전투 장면 2
- 진법전개도 수군 방영 설치 장면
- 진법전개도 수군 학익진 장면
- 진법전개도 야간 방진 설치 장면
- 진법전개도 야간 전투 장면 1
- 진법전개도 야간 전투 장면 2
- 진법전개도 적군에게 일제히 돌격하는 장면
- 진법전개도 적군의 역습을 방어하는 전투 장면
- 진법전개도 적선과 전투하는 장면
- 진법전개도 조총 연속 사격 동작
- 진법플래시 국왕의 훈련장 입장 장면
- 진법플래시 기병 이용 추격 장면
- 진법플래시 무예별감 군사들의 방진 전투 장면
- 진법플래시 무예별감 군사들의 오방진 장면
- 진법플래시 무예별감 군사들의 육화진 장면
- 진법플래시 무예별감 군사들의 행군 장면
- 진법플래시 무예별감 군사들의 현무진, 구군진 장면
- 진법플래시 무예별감 군사들의 훈련장 입장 장면
- 진법플래시 무예별감 군사들이 적군을 공격하는 장면
- 진법플래시 무예별감 군사들이 적군을 만났을 때 대형 장면
- 진법플래시 무예별감들이 국왕의 명령을 전달 받는 장면
- 진법플래시 무예별감의 방진 설치 장면
- 진법플래시 방진 설치 장면
- 진법플래시 방진 이용 방어 전법1
- 진법플래시 방진 이용 방어 전법2
- 진법플래시 방진 이용 방어 전법3
- 진법플래시 방진 해체 장면
- 진법플래시 복병 운용 장면
- 진법플래시 이동중 살수대와 총수대의 전투 장면
- 진법플래시 살수의 근접 전투 장면
- 진법플래시 살수들의 근접전투 장면 2
- 진법플래시 수군 방영 설치 장면
- 진법플래시 수군 학익진 장면
- 진법플래시 야간 방진 설치 장면
- 진법플래시 야간 전투 장면1
- 진법플래시 야간 전투 장면2
- 진법플래시 적군에게 일제히 돌격하는 장면
- 진법플래시 적군의 역습을 방어하는 전투 장면
- 진법플래시 적선과 전투하는 장면
- 진법플래시 조총 연속 사격 동작
- 기타자료실 무기
- 기타자료실 의복
- 기타자료실 화포
- 기타자료실 악기
- 기타자료실 깃발
- 활용사례 활용사례
- 진법서기관안내 진법에 등장하는 훈련기관안내
- 재구성도해 기호 범례 총융청
- 재구성도해 기호 범례 수어청
- 재구성도해 기호 범례 어영청, 금위영(보병)
- 재구성도해 기호 범례 어영청, 금위영(기병)
- 재구성도해 기호 범례 훈련도감
- 재구성도해 기호 범례 이진총방(무예별감)
- 재구성도해 기호 범례 용호영
- 제작이미지안내 제작이미지안내
var currentPlayer;
var wT = document.title;
function setCurrentPlayer(_id) {
if (currentPlayer != undefined && currentPlayer != _id) {
var player = nhn.FlashObject.find(currentPlayer);
player.stopSound();
}
currentPlayer = _id;
document.title = wT;
}
function flashClick() {
document.title = wT;
}
window.[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load = function() {
document.title = wT;
}
각종 진을 설치하거나 여러 명령을 하달하기 위해 사용되던 조선시대 깃발을 소개한다.
인기, 오방기, 고초기, 신기, 당보기, 영기, 문기, 각기, 금고기, 청도기, 표미기, 좌독기, 수자기, 순시기, 사명기
인기
조선후기 부대 단위를 나타내는 깃발로서 당시의 기본적인 부대 단위인 營-司-哨-旗-隊 별로 각각 인기를 하나씩 소지하도록 하였다. 인기의 제도는 그 가운데에 해당 방위의 색깔을 넣고 그 가장자리는 깃발의 본색(本色)과 상생(相生)하는 색깔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깃발 위에 늘어뜨리는 띠는 그 나라에서 숭상하는 색깔을 취하도록 하였다.
오행(五行)에 따르면 오행의 기본인 목, 화, 토, 금, 수(木火土金水)는 각각 해당 방위가 있는데 동, 남, 중앙, 서, 북이 해당된다. 그리고 이는 각각 해당되는 색깔이 있어 중앙은 황색(黃色), 남은 홍색(紅色), 동은 남색(藍色), 서는 백색(白色), 북은 흑색(黑色)으로 표시되었다. 기본적인 오행은 서로 좋아하는 관계가 있는데 이를 상생이라고 한다. 목(木)은 수(水), 화(火)는 목(木), 토(土)는 화(火)을, 금(金)은 토(土), 그리고 수(水)는 금(金)에서 서로 상생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르게 되면 5영의 하나인 전영(前營)의 경우에는 전영을 표시하는 인기는 남방을 의미하는 홍색 바탕에 그 주위에는 청색을 띠게 된다, 그리고 띠는 조선의 경우에는 목덕(木德)을 숭상하므로 청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크기는 가장 큰 영장의 인기는 기폭이 사방 5척이고 깃대는 1장(丈=10척) 8척으로 규정되어 있고 가장 작은 단위인 대(隊)의 인기는 대장(隊長)의 창에 붙인 것으는 기폭이 사방 1척이며 깃대의 길이는 1장 5척으로 되어 있다. 이 인기를 통해 그 부대가 어디 소속임을 빨리 알 수 있고 군사들도 이 깃발에 의해 동작을 취하게 된다. 즉 각각의 군사들은 자신이 속한 대의 깃발을 보고, 대장은 기총(旗摠)의 깃발을, 기총은 초관(哨官)의 인기를 보고 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일사불란하게 부대 통제가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전투시에 부대간 일어날 수 있는 혼란을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반차도를 통해 당시 군사 편제에서 모든 군사가 말을 타는 기병과 달리 보병 한 초(哨)의 경우 지휘관인 초관과 북을 치는 고수(鼓手)는 말을 타고 있지만 인기를 든 기수(旗手)는 걸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방기
오방기는 사방 5척으로 깃대의 길이는 1장 5척의 깃발로 그 중앙에는 각 해당 방위에 따라 용[龍], 호랑이[虎], 새[鳥], 뱀[蛇], 거북이[龜]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그 깃발의 바탕색은 해당 방위의 색깔을 따르도록 하여 중앙은 황색(黃色), 남은 홍색(紅色), 동은 남색(藍色), 서는 백색(白色), 북은 흑색(黑色)을 띠도록 하였다. 그리고 기폭의 가에는 깃발 바탕 색깔의 상생(相生)하는 색깔을 띠었다. 주로 그 사용은 훈련이나 전투시에 주장(主將)이 고초기(高招旗)와 함께 해당 방위의 오방기를 꽂게 되면 해당 방위의 영(營)에서 응하도록 하는데 사용되었다. 만일 모든 고초기와 오방기를 꽂으면 모든 영들이 깃발의 신호에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었다. 국왕의 행렬 광경을 그린 반차도(班次圖)에서는 오방기라는 명칭이 사용되는 대신 해당 방위의 동물 이름을 나타내는 청룡기(靑龍旗), 주작기(朱雀旗), 백호기(白虎旗), 현무기(玄武旗), 등사기(騰蛇旗)의 명칭으로 나타난다.
고초기
고초기는 오방기와 함께 운용하여 해당 방위의 부대가 일정한 움직임을 하도록 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깃발로서 이외에도 방진을 세운 후 그 내부에 있는 방진의 기병(奇兵)이나 친위병이 모두 이 깃발에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었다. 그 모양은 길이 12척의 긴 형태의 깃발로 깃대의 길이는 16척이다. 그리고 깃대의 끝에 붙은 붉은 실로 만든 제비꼬리 모양[燕尾]의 길이는 2척이다. 색깔은 해당 방위를 따르고 제비꼬리 모양은 해당 방위에 상생하는 색깔로 하며, 깃대 끝에는 붉은 실로 꿩의 꼬리[雉尾] 장식을 단다. 오방기와 고초기의 사용 방법은 예를 들어 해당 방위의 오방기와 고초기를 모두 움직이면 모든 방위의 부대가 그 신호에 따라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신기
모양은 오방기와 비슷하지만 그 사용법이 이와 유사하여 적군의 눈을 속이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신기도 오방기와 마찬가지로 방위별로 황색, 홍색, 남색, 백색, 흑색의 신기가 있어 황신기(黃神旗), 홍신기(紅神旗), 남신기(藍神旗), 백신기(白神旗), 흑신기(黑神旗), 등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신기에는 각 방위별 신(神)의 형상을 그리도록 하였는데 주로 중국의 유명한 장수들이었다. 예를 들어 황신기에는 왕랑(王郞), 홍신기에는 관우(關羽), 남신기에는 여포(呂布), 백신기에는 마초(馬超), 흑신기에는 조자룡으로 널리 알려진 조운(趙雲) 등 삼국시대의 명장을 그려넣었다.
당보기
당보기는 앞쪽으로 나아가는 척후병인 당보군(塘報軍)이 소지하는 깃발로 적군의 형세를 알리는데 주로 사용되었다. 사방 1척의 크기에 길이 9척의 창에 달며 노란색을 사용하였다. 상황에 따른 그 사용법은 예를 들어 적군이 맹렬히 공격해 오면 깃발을 계속하여 흔들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깃발을 약간 아래로 내렸다가 다시 올리도록 하였다. 그리고 적의 군세가 많고 강성하면 온몸을 돌려 깃발을 휘저으며, 무사하면 깃발을 세 번 휘두르고 세 번 거둔 다음 다시 펼치지 않도록 하였다.
영기
영기는 명령을 전달받을 때 반드시 소지하고 다녀야하는 것으로 영내(營內) 출입 등에 필요한 것이다. 그 크기는 사방 1척이며 깃대의 길이는 4척으로 남색 바탕에 붉은 글씨로 영(令) 자가 씌어있다. 참고로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영전(令箭), 영표(令標) 등이 있었다. 영전은 대장이 군중에 명령을 전달할 때 쏘는 화살로서 대부분 지휘관인 중군(中軍)이나 대장(大將) 앞에 있다. 영기 없을 때에는 영전이 있어야 명령 전달시 영문 출입이 가능하다. 영전의 크기는 1척 5촌으로 쇠로 만든 화살로서 각 영에서 40개씩 가지고 있다. 영표는 기름을 먹인 작은 나무로 만든 원형 목패(木牌)로서 각 영에 10개씩 마련하였다.
문기
문기는 방진 각 방위의 중간에 문을 낼 때 그 문 좌우에 세우는 깃발로 조선시대 각 군영의 방진은 병서에 의하면 외곽인 외루(外壘)의 각 방위에 문 1개소씩, 그리고 내곽인 자벽(子壁)에는 남쪽에 1개소의 문을 내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문기는 모두 10개를 준비하도록 되어 있다. 문기의 제도는 사방 5척이며 깃대의 길이는 12척이다. 기폭의 가는 모두 황색이고 위에 큰 구름 무늬 모양의 찬란한 쇠칼날을 꽂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에 날개 달린 호랑이[翼虎]를 그려넣고 방위의 색깔에 따라 바탕색을 칠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앙의 자벽에 세우는 문기는 깃발의 바탕 색깔이 해당 방위에 따라 황색으로 되어 있다. 자료에 따라서는 단순히 문기라는 명칭보다는 해당 색깔 명칭을 붙여 황문기(黃門旗)로 나오기도 한다.
각기
각기는 방진의 외루를 설치할 때 각 모서리[角]에 세우는 깃발로, 그 제도는 사방 4척이며 깃대의 길이는 12척이다. 그리고 색깔은 두 방위에 따라 위 아래 각각 다른 색깔을 띠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동남쪽 모서리일 경우 남쪽의 방향에는 남동각기(南東角旗)를 동쪽의 방향에는 동남각기(東南角旗)를 세우도록 한다. 따라서 남동각기의 경우에는 남쪽을 상징하는 홍색을 위에 칠하고 동쪽을 상징하는 남색을 아래 색깔로 한다. 동남각기는 그 반대로 동쪽을 상징하는 남색을 위에 남쪽을 상징하는 홍색을 위에 칠하도록 되어 있다.
금고기
징과 북 등 군악기를 인도하는 것으로 모든 취타수(吹打手)들의 앉거나 일어나는 것과 전진하거나 멈추는 것을 이 깃발의 신호에 따라 하도록 한다. 따라서 그 위치는 군악대 바로 앞쪽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제도는 사방 6척이고 깃대의 길이는 12척이며 중앙은 황색이고 가장 자리는 홍색이며 중앙에 사방 2척의 검은 글씨로 금고(金鼓)라는 글자를 써 넣었었다. 그리고 깃대의 위에는 붉은 실로 꿩꼬리 모양의 장식을 달도록 하였다. 중앙을 황색으로 한 것은 중군(中軍)의 소속이기 때문이다.
청도기
행군시에 군의 선두에 잡고 나아가는 깃발로 부대를 인도하는 역할을 하며 교장(敎場)에서 훈련시에는 초관 이상의 장관(將官), 기총, 대장 등을 인도하여 총지휘관이 있는 장대(將臺)로 나아가 명령을 들을 때 선도가 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 제도는 사방 4척이고 깃대의 길이는 8척이며 중앙은 남색, 가장 자리는 홍색으로 되어 있다. 깃대 끝에는 꿩의 꼬리[雉尾] 장식을 달고 깃발 중앙에 청도(淸道)라는 글자를 써넣는다. 깃발의 크기가 사방 4척이고 깃대의 길이가 8척인 것은 사면(四面)과 팔방(八方)에 구애되지 않고 어디로든지 간다는 의미라고 한다.
표미기
비단을 잘라 표범의 꼬리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길이는 7척이며 깃대의 길이는 9척으로 깃대 끝에는 꿩의 꼬리[雉尾] 장식을 달고 있으며 끝에는 날카로운 칼날을 사용하였다. 표범꼬리 모양의 표미기를 군중에 세우는 것은 표범의 위엄을 상징하여 사람들이 함부로 움직이지 못하게 한 것으로 이 표미기를 세운 곳에는 영전, 영기 등을 가진 자를 제외하고는 함부로 엿보거나 출입하지 말도록 되어 있고 이를 어기는 경우에는 군법으로 구속하도록 하였다.
좌독기
행군시에 총대장의 뒤에 있으며 정지해있을 경우에는 왼쪽에 위치하는 깃발로 그 제도는 사방 10척이며 깃대의 길이는 16척에 달한다. 검은 비단으로 중앙을 만들고 흰 비단으로 가를 만들며 끈의 위에 붉은 술을 달아 화려하게 꾸민다. 중앙이 황색인 흰 띠를 달아 중군(中軍)임을 표시하고 네 개의 띠로 사방을 상징하였다. 중앙에 태극(太極), 팔괘(八卦), 낙서(洛書)를 그리고 오색의 다섯 끈을 늘이며 28수(宿)에 응하여 짐승의 모양을 그려 넣는다. 왕의 행차시에는 국왕의 뒤에 위치하며 용기(龍旗)도 함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