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존에 가입한 보험을 먼저 진단한 후 자신만의 종신보험을 설계해야 합니다 |
자신이 현재까지 준비한 자금(예금, 보험 가입, 연금 등)과 향후 필요로 하는 자금(결혼, 주택, 교육, 생활자금 등)의 재정설계를 통해 본인에게 적합한 종신보험을 설계하여야 합니다. 또한 기존에 가입한 보험이 있는 경우에는 기존에 가입한 보험을 감안하여 종신보험의 가입금액을 설정하시는 게 좋습니다. |
|
|
2. 하루라도 빨리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종신보험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망에 대한 위험률이 높아져서 보험료가 많아지게 됩니다. 보험에서는 보험연령이라는 것을 적용하는데 하루 차이로 보험료가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
|
|
3. 자신에게 맞는 특약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종신보험의 주보험은 사망을 종신토록 보장합니다. 여기에 자신에게 필요로 하는 사고보장과 암, 질병 등의 특약을 일정기간 추가로 선택하면 자신에게 필요로 하는 보장을 하나의 상품으로 통합하여 보장 받을 수 있습니다. |
|
|
4. 소득공제 혜택과 함께 상속자금이나 상속세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종신보험은 보장성 보험으로 연간 1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망시 유족들을 위한 상속 자금이나 상속세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재산을 부동산으로 소유한 부유층의 경우 상속세 때문에 부동산을 처분하게 되나 종신보험을 가입했다면 사고를 당했을 때 나오는 보험금을 상속세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부동산을 처분하지 않아도 됩니다. |
|
|
5. 종신보험 가입 후에는 중도 해약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종신보험은 종신토록 가입한 금액만큼의 사망보험금을 보장 받기 때문에 언제든지 가입한 금액을 받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한번 가입한 계약은 계속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중도에 해약을 하게 되면 대부분 손해를 보게 되며, 어쩔 수 없이 해약을 하게 될 경우에는 약관 대출이나 감액제도 등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