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증(證)을 논(論)하다
두통(頭痛)을 진단(診)하려면 먼저 구잠(久暫)을 살펴야 하고, 그 다음으로는 표리(表裏)를 변별(辨)하여야 한다.
잠병(:暫痛)은 반드시 사기(邪氣)로 인하고, 구병(久病)은 반드시 원기(元氣)의 문제를 겸한다.
잠병(暫病)으로 말하자면 표(表)에 사기(邪)가 있으면 이는 풍한(風寒)이 경(經)에 외습(外襲)한 것이다. 그 치료(治)는 마땅히 소산(疏散)하여야 한다. 가장 기(忌)하는 것은 청강(淸降)하는 것이다.
이(裏)에 사기(邪)가 있으면 이는 삼양(三陽)의 화(火)가 내치(內熾)하는 것이다. 그 치료(治)는 마땅히 청강(淸降)하여야 한다. 가장 기(忌)하는 것은 승산(升散)하는 것이다.
이것이 사기(邪)를 치료(治)하는 법(法)이다.
구병(久病)이면 발(發)하였다가 나았다가 한다.
표(表)가 허(虛)하면 약간 감(感)하여도 발(發)하고, 양(陽)이 승(勝)하면 약간 열(熱)하여도 발(發)하며, 수(水)가 하(下)에서 휴(虧)하면 허화(虛火)가 이를 승(乘)하면 발(發)하고, 양(陽)이 상(上)에서 허(虛)하면 음한(陰寒)이 승(勝)하여 발(發)한다.
따라서 잠병(暫病)은 당연히 사기(邪氣)가 중(重)하고, 구병(久病)은 당연히 원기(元氣)가 중(重)한다. 이는 확고(:固)한 대강(大綱)이다.
그러나 또한 잠병(暫病)이면서 허(虛)하거나, 구병(久病)이면서 실(實)한 경우도 있다. 당연히 맥(脈)이나 증(證)으로 상세히 변별(辨)하여야 하니, 하나만 고집(:執)하면 안 된다.
一. 두통(頭痛)에는 각 경락(經)의 변별(辨)이 있다.
외감(外感)의 두통(頭痛)은 당연히 삼양(三陽)과 궐음(厥陰)을 살펴야 한다.
삼양(三陽)의 맥(脈)은 모두 두(頭)로 상(上)하고, 궐음(厥陰)의 맥(脈)도 또한 전(巓)에서 회(會)한다. 따라서 중경(仲景)의 상한론([傷寒論])에는 삼양(三陽)에 두통(頭痛)이 있었고 궐음(厥陰)에도 두통(頭痛)이 있었으나, 태음(太陰) 소음(少陰)에는 없었다. 이를 변별(辨)하는 법(法)은 두뇌(頭腦) 액로(額顱: 이마와 두개골)가 삼양(三陽)이 모두 회(會)하는 곳이므로 통(痛)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태양(太陽)은 후(後)에, 양명(陽明)은 전(前)에, 소양(少陽)은 측(側)에 각각 주(主)하는 바가 있으므로, 외감(外感)에서 또한 당연히 변별(辨)하여야 한다.
내상(內傷)의 두통(頭痛)은 삼양(三陽)에 구애(拘)되어서는 안 된다.
예로 본경(本經)에서 말한 '하허(下虛) 상실(上實)하면 그 과(過)는 족소음(足少陰) 족태양(:足巨陽)에 있다.' 하였고, 궐병편(<厥病篇>)에서는 '족(足)의 육경(六經) 및 수소음(手少陰) 수소양(手少陽)에 모두 있다.'고 논(論)하였으며, 기병론(<奇病論>)에서는 '뇌(腦)는 음(陰)이고 수(髓)는 골(骨)의 충(充)이다.' 하였다. 통(痛)이 뇌(腦)에 있으면 소음(少陰)의 병(病)이 어찌 아니겠는가?
이처럼 내증(內證)과 외증(外證)의 차이가 있으니, 살피지 않을 수 없다.
궐병편(<厥病篇>)에 대한 의미(:義)는 유경([類經])에 상세히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