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원주의(還元主義, reductionism)는 철학에서 복잡하고 높은 단계의 사상이나 개념을 하위 단계의 근원적 요소로 세분화하여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견해
환원과 관련하여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계층구조
사회학은 조금 복잡한 심리학일 뿐이다. (혹은 사회학은 심리학의 응용일 뿐이다.)
심리학은 조금 복잡한 생물학일 뿐이다. (혹은 심리학은 생물학의 응용일 뿐이다.)
생물학은 조금 복잡한 화학일 뿐이다. (혹은 생물학은 화학의 응용일 뿐이다.)
화학은 조금 복잡한 물리학일 뿐이다. (혹은 화학은 물리학의 응용일 뿐이다.)
물리학은 우주(물리적 세계)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한, 수학의 언어로 기술된 조금 복잡한 도구일 뿐이다.
수학이 다시 환원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찾아볼 수 없다.
각종 사회과학
▼ (환원)
심리학 (특히 사회심리학)
▼ (환원)
신경과학, 뇌과학
▼ (환원)
생리학
▼ (환원)
생물학 (특히 분자생물학)
▼ (환원)
생화학
▼ (환원)
화학 (특히 유기화학)
▼ (환원)
물리화학
▼ (환원)
물리학 (특히 양자역학)
▼ (환원)
수학(특히 대수기하학과 군론의 대칭군)
경제환원론적 이론 (Economic Reduction Theory)
♢민간경비발전의 배경을 경제적 원인에서 찾는 이론
○ 경제환원이론은 특정한 현상을 설명함에 있어 그 현상이 경제와 직접적으로는 무관한 성격을 갖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을 경제문제에서 찾으려는 입장을 취하는 입장
○ 민간경비 시장의 성장을 범죄의 증가에 따른 직접적 대응이라는 전제하에서 출발하고 특히 거시적 차원에서 범죄의 증가를 실업의 증가에서 그 원인을 찾으려고 하는 것이 특징
○ 실업은 경제의 일반적 침체에서 발생한다고 봄으로써 결국 민간경비시장의 성장을 경제전반의 상태와 운용에 연결시켜 설명하려는 입장이 경제환원론적 시각이다19651972 미국경기침체시 민간경비시장 크게 증가
○ 직접적인 경찰과의 관련성을 논함이 없이 순수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접근하려는 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