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 사진의 "글"이 바로 포스트(post)를 지칭합니다
워드프레스(wordpress)를 이용해 홈페이지를 만들거나,
혹은 워드프레스로 만든 홈페이지를 다루려면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이 사항들 중 가장 처음 배워야할 내용은 바로 용어에 대한 이해지요.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으로 워드프레스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초적인 용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블로그를 조금 다룰 줄 아시는 원장님들은 금방 이해하실 내용들이지요 :
1. 테마(theme) : 테마란 간단하게 비유하자면 홈페이지의 "격식, 모양새"입니다.
홈피의 외관인 모양과 양식을 구성하는 외모를 뜻하지요.
워드프레스에서는 테마가 많이 존재하며, 인스톨(install) - 설치하는 방식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드는 것으로 언제든지 바꿀 수 있으나,
바꿀 때 에러가 나고 멋지게 꾸민 홈피가 엉망이 되는 경우가 많으니,
처음에 신중하게 고르는 편이 좋지요.
2. 템플릿(template) : 워드프레스에서는 테마와 같은 개념입니다.
3. 플러그인(plug-in) :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작은 프로그램들입니다.
스마트폰의 앱과 유사한 것이지요.
홈페이지에 어떤 기능을 추가하고 싶다면 플러그인을 잘 찾아보십시오.
단 스마트폰 앱처럼 공존하면 서로 충돌하는 것이 있으며,
너무 많이 설치하면 에러가 날 수 있습니다.
4. 페이지(page)와 포스트(post) : 페이지와 포스트를 함께 다루는 이유는 둘이 비슷한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모두 컨텐츠를 표현하고 나타내는 공간이지요.
차이점이라면 포스팅은 홈페이지의 블로그의 영역입니다,
가변적이며 계속 추가되는 등 업데이트가 가능하지요.
페이지는 고정된 홈페이지의 메인 소개부분입니다.
불변이 원칙이며 포스팅처럼 댓글이나 태그, 심지어 카테고리의 분류조차 불가하지요.
또 포스팅은 RSS가 가능하지만 페이지는 어렵고요.
결정적으로 네이버에서 검색해보면 포스트는 블로그 영역에서,
페이지는 웹문서 파트에서 각각 노출되지요.
그래서 홈페이지 제작시에는 말 그대로 페이지 파트를 주로 활용합니다.
5. 위젯(widget) : 위젯이란 특정 기능을 처리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작은 프로그램, 혹은 해당 영역을 말합니다.
스마트폰의 위젯과 똑같은 개념이지요.
플러그인과 다른 점이라면 위젯은 주로 디스플레이 된 특정 영역을 지칭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가령 특정 플러그인의 기능을 위젯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지요.
비록 요즘 워드프레스에서는 이런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지만 말입니다.
과거에는 "가젯"이라고도 불렀습니다.
이상 한의학해커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