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념 정지 뜻을 올바로 이해하자. 정념(正念) & 정지(正知). 사띠/sati 의미
정념 & 정지의 뜻을 제대로 아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정념(正念)
정지(正知)
모든 수행엔 정념/정지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정념(正念)을 "바른 알아차림"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정지(正知)가 "바른 알아차림"이기 때문이다.
정념(正念)도 바른 알아차림이고, 정지(正知)도 바른 알아차림인가?????
그건 절대 아니다.
정념(正念)에서 념(念), 즉 사띠(sati)는 "알아차림"이 아니다.
념(念:sati)은 대상에 몰입, 대상과의 합일(合一)을 뜻한다.
또한 대상을 명확히 기억하는 의미도 포함된다.
정념(正念)은 "대상에의 올바른 몰입/대상과의 올바른 합일(合一)"이라는 뜻이다.
정지(正知)는 글자 뜻 그대로 "바른 알아차림"이다.
호흡관, 즉 아나파나사띠에 정념(正念)과 정지(正知)를 적용시켜 보자.
호흡에 완전히 몰입되어 하나되는 것이 바로 정념(正念)이다.
그리고 내 마음이 제대로 호흡을 관하는지, 아니면 잡생각을 하는지를 알아차리는게 바로 정지(正知)이다.
점점 더 마음이 호흡에 고정될수록 정지(正知)를 약하게 해야 한다.
즉, 정념(正念)이 강해질수록 정지(正知)는 그 기능을 약하게 해야 한다.
왜냐하면, 계속 알아차리는 것이 정념(正念)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완전 몰입해야하는데, 계속 알아차리면 몰입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삼매 속으로 들어갈 땐 정지(正知)를 버려야 한다.
이런 이유로 팔정도에서 정념(正念)은 있고, 정지(正知)는 없는 것이다.
정지(正知)보다 정념(正念)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정념 정지 뜻을 올바로 이해하자. 정념(正念) & 정지(正知). 사띠/sati 의미
티벳불교의 <구주심>에 이 정념(正念)과 정지(正知)의 활용법이 너무나도 명확하게 잘 나와 있다. 정념과 정지의 시소타기 게임....
정념(正念) : 대상을 올바로 기억하고 그것에 몰입하여 합일됨
정지(正知) : 마음이 제대로 하고 있는지 딴생각하는지를 제대로 알아차림
정념(正念)과 정지(正知)...
둘 다 마음에서의 일이다.
정념(正念) : 내 마음이 대상과 완전히 하나됨
정지(正知) : 내 마음이 대상에 몰입하는지, 딴짓하는지를 알아차림
모든 수행을 할 때는 반드시 정념(正念)과 정지(正知) 이 두가지 기능을 같이 써야 한다.
[출처] 정념 정지 뜻을 올바로 이해하자. 정념(正念) & 정지(正知). 사띠/sati 의미|작성자 마하보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