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경天符經, 원문과 번역
 
<천부경의 유래>
   <원문>
   天符經은 天帝桓國口傳之書也라 
   桓雄大聖尊이 天降後에 命神誌赫德하사
   鹿圖文으로 記之러니 崔孤雲致遠이
   亦嘗見神誌篆古碑하고 更復作帖하야 而傳於世者也라. 
   然이나 至本朝하야 專意儒書하고
   更不與皁衣相聞而欲存者하니 其亦恨哉로다.
   以故로 特表而出之하야 以示後來하노라. 
 
<천부경>①은 천제 환인의 환국 때부터 구전되어 온 글이다. 환웅대성존께서 하늘의 뜻을 받들어 (태백산
으로) 내려오신 뒤에 신지神誌 혁덕赫德에게 명하여 이를 녹도문鹿圖文②으로 기록하게 하셨는데, 고운
孤雲 최치원③이 일찍이 신지의 전고비篆古碑④를 보고 다시 첩帖으로 만들어 세상에 전하였다.
그러나 본조本朝(한양 조선)에 이르러 세상사람이 오로지 유가 경전에만 뜻을 두고, 다시 조의皁衣의 정신
을 되살려 서로 들어 보고 보존하려는 자가 없으니 이 또한 참으로 한스러운 일이다. 그러므로 특별히 이를 
들춰 내어 후손에게 전하고자 한다.
  
  
한(일)의 무궁한 창조성과 영원성 : <天符經>
   <원문>
   天符經 八十一字
   一은 始이나 無始一이요 析三極하야도 無盡本이니라.
   天의 一은 一이오 地의 一은 二오 人의 一은 三이니
   一積十鉅라도 無匱化三이니라.
   天도 二로 三이오 地도 二로 三이오 人도 二로 三이니
   大三合六하야 生七八九하고 運三四하야 成環五七이니라.
   一이 妙衍하야 萬往萬來라도 用變 不動本이니라.
   本은 心이니 本太陽하야 昻明하고 
   人은 中天地하야 一이니 
   一은 終이나 無終一이니라.
    
<천부경天符經> 팔십일자⑤
하나(한(一))⑥는 천지 만물이 비롯된 근본이지만, 무(무극)에서 비롯한 하나이니라. 이 하나가 하늘과 땅
과 사람의 三極으로 나뉘어 작용해도 그 근본은 다함이 없다.
하늘의 근원 정신(天一)은 창조 운동의 뿌리가 되어 첫째(一)가 되고,
땅의 근원 정신(地一)은 생명의 생성 운동을 실현하여 둘째(二)가 되고,
사람의 근원 정신(人一)은 천지 역사의 꿈과 이상을 실현하여 셋째(三)이 되니,⑦
하나(1태극)가 생장 운동을 하여 열(10무극)까지 열리나(一積十鉅)⑧(생장 성숙하는 원리는) 다함이 없이 
‘삼신의 3수 정신’으로 이루어지느니라.
하늘도 음양 운동(天二)은 3수 원리로 돌아가고,
땅도 음양 운동(地二)은 3수 원리로 변화하고,
사람도 음양 운동(人二)은 3수 원리로 작용하니,
이 천지인 삼계의 큰 3수가 각기 합하여 6(3X2)(大三合六)⑨이 되어 7,8,9(수의 변화수)를 생하느니라.
천지 만물과 인간은 ‘3수와 4수’를 변화의 마디로 하여 운행하고, ‘5수와 7수’를 변화의 조화원리로 하여 순
환 운동을 이루느니라.⑩
하나(一)의 정신은 실로 오묘하게 순환 운동(분열, 통일)을 영원히 반복하지만, 그 변화 작용이 아무리 무
궁하여도 근원은 변하지 않느니라.
우주의 근본은 마음이니 태양에 근본을 두어 마음의 대광명은 한없이 밝고 밝으며, 인간은 천지의 조화정
신을 적중하여 있는(中天地⑪) 존귀한 태일太一이니라!
하나(一)는 천지 만물이 변화를 끝맺는 근본이지만 무(無極)로 돌아가 변화가 마무리되는 하나)1태극)이니
라.
  
 
각주) 
① 천부경 : 
하늘의 뜻과 만물 창조의 법칙을 드러내고 그것을 그대로 전해주는 경전이다. 하늘의 신권神權을 
드러내는 권위의 상징으로 보면, 온 우주를 다스리시는 상제님께서 천지의 주권자로서 내려주신 
통치 섭리를 내포한 경전이다.
② 녹도문 : 녹도문은 6천 년 전 초대 환웅천황의 신하인 신지혁덕이 최초로 만든 문자.
 
③ 최치원과 천부경의 유래 : 
최치원이 한문으로 번역하여 전한 <천부경>을 1916년 9월 9일 묘향산에서 <환단고기>를 편술한 운초 계연
수가 발견하였다. 이를 일명 묘향산 석벽본이라 하는데, 본서 <태백일사>에 실린 천부경 원본과 전문이 일
치한다. 천부경의 다른 본으로는 <최문창후전집>(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영인)에 나와 있는 고운 선생 사
적事蹟본과 노사蘆沙본이 있다. 
전자는 고운 문집 뒤편에 붙어 있는 것으로 고운의 친필이 아니라 1925년에 후손인 최국술崔國述이 편찬한 
것으로 석벽본과 일곱 자가 서로 다르다. 그런데 일곱 자 모두 음은 같고 글자만 달라 어떤 사람이 암송한 것
을 전한 것으로 보인다. 문맥상으로 볼 때 석벽본이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후자인 노사蘆沙(기정진, 1798~1879)본은 지금도 적지 않게 유포되어 있는데 석벽본과 차이는 “앙명인중천
지일昻明人中天地一”의 ‘지地’가 ‘중中’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노사계에서는 천부경을 흔히 전비문篆碑文
으로 부른다고 한다(단군교, <부흥경락>, 26쪽).
그러나 세 본이 모두 최치원이 각비刻碑했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그리고 이 중 묘향산 석벽본, 즉 본서의 <태
백일사>본이 널리 통용되고 있다(<한민족의 뿌리사상>, 46~49쪽)
  
④ 신지의 전고비 : 
최치원이 발견한 고비古碑에 <천부경>을 전문篆文으로 표기한 신지와, 환웅천황의 명을 받아 <천부경>을 녹
서鹿書로 표기한 신지는 같은 인물이 아니다. 원래 신지神誌는 사람 이름이 아니라 지금의 교육부장관 또는 
문화부장관 격에 해당하는 배달, 단군조선 때의 관직명이다. 환웅천황의 명에 따라 <천부경>을 기록한 신지
는 혁덕이라는 이름이 밝혀져 있으나, 고운이 발견한 고비古碑를 쓴 사람은 누구인지 분명하지 않다. 다만 3
세 가륵단군의 명을 받고 <배달유기>를 편찬한 이는 신지 고글高契이고, 또 6세 달문단군 때에 <신지비사神
誌秘史>의 제천서원문祭天誓願文을 쓴 사람은 신지 발리發理이다. <고조선기>에 “신지는 청석靑石에다 삼일
신고를 그려서 전했다(倧經合部 : 三一神誥, 奉藏記)”라고 되어 있으나 여기서도 인명은 들어 있지 않다. 그러
나 <천부경>과 <삼일신고>가 항상 동시에 강설된 전례를 볼 때 <천부경>도 단군조선에서 이때에 처음 <삼일
신고>와 동시에 청석에 전문篆文으로 각자된 것이라 생각된다. 다만 고운이 발견한 그 전문각비篆文刻碑와 
단군 개국 초의 각비와 같은 것인지 알 수 없다(<한민족의 뿌리사상>, 74쪽)
  
⑤ 천부경의 81자 : 
천부경은 총 81자로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경上經, 중경中經, 하경下經으로 짜여져 있다. 상경은 우주
만물의 본체를 근원적으로 밝히므로 천도天道의 근간이 되고, 중경은 그 현상의 변화를 근원적으로 밝히므
로 지도地道의 근간이 되고, 하경은 천지가 합일된 태일太一의 존재를 밝히므로 인도人道의 근간이 된다. 
경학사에서 볼 때 <천부경>은 네 가지 주요 특징이 있다. 첫째, 인류의 시원국가라 불리는 환국에서 선
언되었기 때문에 인류 최초의 경전이다. 둘째, ‘하늘의 신권을 드러내는 권위의 상징체계’로서 상제
님께서 하늘의 이치와 섭리를 인류에게 선포하신 계시록이다. 셋째, 우주변화의 신비를 수로써 선
언하고 수로써 인식해야 하므로 천지만물을 무궁무진한 상징성과 함축성으로 해석해야 한다. 넷째, 
유무有無가 합일된 하나에서 시작하여(一始) 무한히 전개되고 결국에는 하나로 매듭지어짐(一終)
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인 우주론이라 할 수 있다.
  
⑥ 하나 : 
여기서 ‘하나(한, 일一)’는 서수(1,2,3)의 의미를 넘어 우주만물이 태어난 생명의 근원, 창조의 근원 
자리, 절대 유일자를 상징한다. 하늘과 땅과 인간과 신들이 탄생하는 근원으로서 하나, 우주 탄생의 궁극
의 시원 경계를 상징하는 말이다. <환단고기>에서는 이 것을 일태극一太極, 신神, 도道, 환桓, 한韓으로 상징
하여 표현하였다.   
⑦ 천지인天地人의 일一, 이二, 삼三 : 
하늘은 양의 근본(一)이요, 땅은 음은 근본(二)이요, 인간은 천지의 합덕(三)으로 생겨난 존재임을 말하는 것
으로 보기도 한다.
  
⑧ 일적십거一積十鉅 :
천일天一과 지이地二가 합덕하여 인삼人三이라고 하는 인간과 만물이 태어나는 선천先天 개벽과 분열 발달
한 자연과 인간 문명이 혁신 통일되는 후천後天 개벽의 전 과정을 말한다.  
 
⑨ 대삼합육大三合六 : 
대삼大三은 서수적 의미의 3이 아니라 만물이 태어나 변화해가는 3수 원리를 의미한다. 하늘의 원리도 3수 
정신(天三)이고, 땅의 변화도 3수 정신(地三), 인간의 정신도 3수 정신(人三)이다. 천지의 3수 정신을 합해도 
6이고, 천인의 3수 정신을 합해도(天人合一) 6이며, 지인의 3수 정신을 합해도 6이다. 
 
⑩ 운삼사運三四 성환오칠成環五七 : 
운삼사運三四에서 ‘삼三’은 본체로 말하면 삼극(무극, 태극, 황극)이고, 현실적으로 말하면 삼재(하늘, 땅, 인
간)이다. ‘사四’는 시간 변화에 따른 생장염장의 운동 마디가 그 중심 의미이다. 운삼사運三四란 자연계의 창
조, 변화와 현실 역사가 운동하여 돌아가는 내적인 진리 구성 틀을 말한다.
오칠五七에서 ‘오五’는 5황극을 말하며, 만유의 창조, 변화를 주재하여 목적으로 이끌도록 하는 운동의 본체
이고, ‘칠七’은 실제로 작용하여 성숙으로 이끌어 내는 7황극이다. 성환오칠成環五七이란 자연과 역사의 전
체가 실질적으로 오칠五七의 구조로 순환, 변화해서 성숙되는 외적인 변용의 구성 틀을 말한다.
그러므로 운삼사運三四 성환오칠成環五七이란 자연계의 창조, 변화와 현실 역사가 삼사三四로 운동하고 오
칠五七로 순환하여 창조, 변화의 목적을 이룬다는 뜻으로 파악할 수 있다.
  
⑪ 중천지中天地 : 
천지의 이법과 조화기운과 천지합덕의 원리에 적중하여 관통한다는 뜻이다. 그 주체가 바로 천지
의 뜻과 궁극의 이상을 완성하는 진정한 一者, 천지의 뜻을 이루는 가장 지극한 존재 太一의 인간
이다.
   
                                                                         <환단고기 역주본, 안경전 역주, 462~46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