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문학사(中國 文學史)와 대표적 인물과 작품 요약
-1) 선진문학(先秦文學)~4) 수당 오대 문학(隋唐五代文學)-,
1).
선진문학(先秦文學-BC221):
중국 문학의 초기는 민요 등 구비문학의 성격이 강한 작품이 주류를 이룬다.
예:
후한 조엽(趙曄) <오월춘추(吳越春秋)>의 <탄가(彈歌)>나,
<예기 제11 교특생(禮記, 郊特牲)>의
<이기씨 밀랍사(伊耆氏蠟辭-이기씨(신농씨라는 설이 있다.)라는 부락의 수령 "랍제" 때의 축사이다)> 등으로,
이들은 대부분 춤에 맞춰 부르는 집단성이 강한 노래였다.
<시경(詩經)>
중국 최초의 시가 총집.
<초사(楚辭)>.
굴원(屈原: BC340-BC277),
송옥(宋玉: 290?- BC222?):
이소(離騷) 1, 구가( 九歌) 11, 천문(天問) 1, 구장(九章) 9, 원유(遠游) 1, 복거(卜居) 1, 초혼(招魂) 1, 어부(漁父) 1.
<역사 산문(歷史散文)>
<주역(易經)>- 주나라의 점복서.
원래는 하역(夏易), 상역(商易)도 있었으나 실전됨.
서경(書經-尙書)-최초의 산문 서적.
우서(虞書), 하서(夏書), 상서(商書), 주서(周書) 편이 있다.
<춘추(春秋)>-공자 편찬.
최초의 편년체(編年體) 사서(史書)
<춘추좌전(春秋左傳)>-좌구명 편찬.
세부적인 사실까지 기록한 첫 편년사.
<국어(國語)> 각 나라별 역사서
<전국책(戰國策)> 각 나라별 역사서
<제자 산문(諸子散文)>
<논어(論語)>- 공자(孔子: BC551-BC479)
공자와 제자들이 주고받은 어록체
<도덕경(道德經)>-노자(老 子)
<묵자(墨子)>- 묵적(墨翟)
<맹자(孟子)>-맹가(孟軻)
<장자(莊子)>-장주(莊周: BC? 369-BC286)
<순자(荀子)>- 순경(荀卿)
<한비자(韓非子)>-한비(韓非)
<여씨춘추(呂氏春秋)>-여불위(呂不韋)
2).
진한 문학(秦漢文學, BC221-220):
진시황의 문자의 통일로 인하여 한나라 시대에는 문화적 통일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중국 문화의 정체성이 확립되었다.
오늘날의 우리가 한문, 한자, 한족 등의 낱말로 불리는 문화는 모두 이 당시의 정체성이 오늘날까지 중국을 대표하는 것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한부(漢賦)>
<가의(賈 誼: BC200-BC168)>
가장사집(賈長沙集), 복조부(鵩鳥賦),조의굴부(吊屈原賦)
<사마상여(司馬相如: BC? 179-BC118)>
사마문원집(司馬文園集), 자허부(子虛賦)
<양웅(揚 雄: BC58-18)>
양자운집(揚子云集), 촉도부(蜀都賦), 감천부(甘泉賦), 주부(酒賦), 태현부(太玄賦)
<반고(班固: 32-92)>
반란태집(班蘭台集), 양도부(兩都賦), 유통부(幽通賦)
<장형(張: 78-139)>
장하문집(張河間集), 귀번부(歸田賦), 이경부(二京賦), 사현부(思玄賦)
<채옹(蔡邕: 132-192)>
술행부(述行賦)
<한악부(漢樂府)>
<악부시집(樂府詩集)-송 곽무천(宋,郭茂倩)이 지은 악부시 총집
상사(上邪), 산상채미무(上山採薇蕪),전성남(戰城南), 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
<문인 오언시(文人五言詩)>
<고시십구수(古詩十九首)>
<산문(散文)>
<가의(賈誼)>
신서(新書), 과진론(過秦論), 논적저소(論積貯疏), 진정사소(陳政事疏)
<조조(晁錯)>
론귀속소(論貴粟疏)
<유향(劉向)>
간영창창릉소(諫營昌陵疏), 열여전(列女傳), 신서(新書), 설원(說苑)
<사마천(司馬遷: ?BC145-?BC87)>
사기(史記): 중국 최초의 인물 중심 기전체 통사.-보임안서(報任安書)-
<반고(班固: 32-92)>
한서(漢書): 최초의 기전체 통사
<왕충(王充)>
론형(論衡)
3)
위진남북조문학(魏晉南北朝文學,220-589):
도가 사상과 불교의 영향이 많았다.
문학을 철학과 역사와 분류하여 독립적인 분야로 보기 시작하여 유미적이고 수사 기교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오언시나 칠언시 등 근체시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문장으로는 사륙변려문이 발달되었다.
<건안시문(建安詩文)>:
건안이란 후한 헌제 시기의 연호.
건안칠자(建安七子) :칠자(七子)는 곧 이 연간에 시문(詩文)의 대표적인 작가로 일컬어진 일곱 사람,
즉 공융(孔融)·진림(陳琳)·왕찬(王粲)·서간(徐幹)·완우(院瑀)·응탕(應瑒)·유정(劉楨)을 말한다.
<조조(曹操: 155-220)>
조조집(曹操集): 한대의 악부 시를 이용한 창작에 공헌.
단가행(短歌行),호리행(蒿里行), 보출하문행(步出夏門行)
<조비(曹丕: 187-226)>
위문제 자 자항(魏文帝 字子桓), 조조의 차남.
위문제잡(魏文帝集), 연가행(燕歌行)-현존 최초의 문인 칠언시(七言詩).
<조식(曹植: 192-232)>
자 자건(字子建) 두보 이전의 일인자로 꼽힘.
조자건집(曹子建集), 낙신부(洛神賦)
<공융(孔 融: 153-208)>
공북해집(孔北海集)
<왕찬(王粲: 177-217)>
왕시중집(王侍中集), 칠언시(七哀詩), 등루부(登樓賦)
<채염(蔡琰-여류시인)>
오월비분시(五言悲憤詩), 진위상무정론(眞僞尙無定論)
<죽림칠현(竹林七賢)>
후한(後漢)이 망하고 삼국시대(三國時代, 220년~280년) 조조(曹操)가 떨쳤던 위(魏) 나라는 사마염(司馬炎) 등 사마씨 일족의 진(晉)의 수중에 들어간다. 이후 외척과 귀족들이 권력을 장악하고 국정을 농단하는 난세가 이어졌다. 새로운 정권의 공포정치로 인해 정시 연간에는 현실도피적이며 노장사상에 탐닉하는 죽림칠현(竹林七賢)이 나타난다.
<완적(阮籍: 210-263)>
완보병집(阮步兵集), 영회시82수(詠懷詩八十二首), 대인선생전(大人先生傳)
<혜강(嵇康: 223-262)>
혜중산집(嵇中散集), 유분시(幽憤詩)
<육기(陸機: 261-303)>
육사형집(陸士衡集)
<좌사(左思: ?250-305)>
좌사형집(左太衝集)
<유곤(劉琨: 271-318)>
유월석집(劉越石集)
<곽박(郭璞: 276-324)>
곽홍농집(郭弘農集), 유선시(游仙詩)
<동진 시문(東晉詩文)>
정치적 혼란으로 북방민족에게 망한 서진의 뒤를 이어 동진(東晉, 317-420)은 양자강 일대의 남방문화를 바탕으로 진의 맥을 이어간다.
<왕희지王羲之: 321-379)>
난정서(蘭亭序)
<고개지(顧愷之: ?345-406)>
신정시 일수 (神情詩 一首)
<도잠(陶潛: 365-427)>
도연명 집(陶淵明集)
<남조 시문(南朝詩文)>
위진에 이어 남북조 시기(420~589)는 북조와 남조로 나뉜다.
북조는 북위, 동위, 서위와 북제, 북주로 나뉘고,
남조는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의 네 나라로 나뉜다.
문학사에서는 주로 남조를 위주로 다룬다.
<사령운謝靈運: 385-433)>
사강악집(謝康樂集)
<포조(鮑照: ?414-466)>
포참군집(鮑參軍集)
<심약(沈約: 441-513)>
사조(謝眺), 왕융( 王融) 등과 함께 영명체(永明體)를 창출한다.
심약의 사성팔병설(四聲八病說) 등은 근체시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줌.
<소통(蕭統: 501-531)>.
중국 남조의 양나라 무제 소연(蕭衍)의 장남으로 502년에 태자에 책봉되었으며 사후에 소명이라는 시호가 붙여졌으며 ‘소명태자’로도 불림. 중국 고대 최초의 문학 작품 선집인 文選(문선)을 편찬하였음.
민가(民歌) : 서주곡(西洲曲) 양자강 하류의 오가(吳歌)와 상류의 서곡(西曲)으로 나뉨.
자야가(子夜歌) 42수, 자야사시가(子夜四時歌) 75수, 독곡가(讀曲歌) 89수, 화산기(華山畿) 25수 등이 전한다. 대부분 짧은 5 언 4구의 연작시이며 쌍관어(雙關語)가 많이 사용됨.
<북조 시문(北朝詩文)>
<유신(庾信: 513-581)>
유자산집(庾子山集), 의영회 27수(擬詠懷二十七首), 애강남부(哀江南賦)
<역도원(郦道元: ? -527)>
수경주(水經注)
민가(民歌) :목란시(木蘭詩), 칙근가(勅勒歌)
<소설(小說)>
<간보(干寶)>
수신기(搜神記)- 지괴소설: 괴이한 이야기를 모은 글
<유의경(劉義慶: 403-444)>
세설신어(世說新語)- 지인소설: 사람들의 기이한 이야기를 모은 글
중국에서는 위진남북조시대를 "문학적 자각시대(文學的自覺時代)"라고 한다.
이는 진한 시기를 거쳐 이 시기에 이르러 문학 자체의 고유 가치와 이를 의식한 능동적이고 심미적인 창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그런 실천은 바로 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전문적인 논의를 다룬 문장이나 서적의 출현으로 나타난다.
또한 양(梁) 나라 소명태자(昭明太子)의 문선(文選)과 서릉(徐陵)의 옥대신영(玉臺新詠)은
위와 같은 이론에 힘입어 시문학 작품 중 뛰어난 것들을 선별하여 모은 시문 선집이다.
<문학이론(文學理論)>
<조비(曹丕)>
전론론문(典論論文): 중국 최초의 문학 이론서
<육기(陸機)>
문부(文賦) : 최초의 창작론 저작
<유협(劉勰)>
문심조룡(文心雕龍): 가장 체계적이고 치밀하며 훌륭한 내용으로 평가받는 문학 이론서
<종영(鍾 嶸, ?-?518)>
시품(詩品): 첫 번째 시학 이론서
<소통(蕭統)>
소명문선(昭明文選)
<서릉(徐陵)>
옥대신영(玉臺新詠)
4)
수당 오대 문학(隋唐五代文學, 581-960):
중국 고대문학의 황금 시기이다.
특히 시가 문학은 최고조에 이게 되는데,
당나라 시기에는 초당, 성당, 중당, 만당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시에는 이백과 두보가 대표적이며,
산문에는 당송팔대가의 한유, 유종원 등이 대표 된다.
<수나라 시(隋詩)>
노사도(盧思道: 535-586, 字子行) <노무양집(盧武陽集)>
설도형(薛道衡: 540-609, 字玄卿)<설사예집(薛司隷集)>
<초당시문(初唐詩文: 618-712)>
왕적(王績: 585-644) <동고자집(東皐子集)>;〈야망(野望)〉
상관의(上官儀) : 상관체라는 독특한 육대, 팔대체의 시풍 형성, 영향이 컸음.
왕발(王勃: ?-676)<왕자안집(王子安集)>; 등왕각서로 유명〈두소부임촉주(杜少府之任蜀州)>,〈등왕각(騰王閣)>.
노조린(盧照隣: ?637-689) <유우자집(幽憂子集)>
낙빈왕(駱賓王: ?640-684) <낙빈왕집(駱賓王集)>;〈재옥영선(在獄詠蟬)〉, 〈어역수송인(於易水送人)〉
왕한(王 翰: 687∼726): <경주사(凉州詞)〉
심전기(沈佺期: ?656-714): <심전기집(沈佺期集)>
송지문(宋之問: ?656-712): <송지문집(宋之問集)>
하지장(賀知章: 659-744): <회향우서(回鄕偶書)〉〈영유(詠柳)〉
장약허(張若虛: ?660-720): <춘강화월야(春江花月夜)〉
진자앙(陳子昻: 661-702): <진백옥집(陳伯玉集)>;〈감우시삼십팔수(感遇詩三十八首)〉,〈등유주대가(登幽州台歌)〉
<성당시문(盛唐詩文: 713-770)>
맹호연(孟浩然: 689-740):<맹호연집(孟浩然集)>;〈과고인장(過古人莊)〉, 〈춘효(春曉)〉,〈임동정(臨洞庭)〉
왕유(王 維: 701-761):<왕우승집(王右丞集)>; 〈산거추명(山居秋冥)〉,〈상사(相思)〉,〈위성곡(渭城曲)〉
고적(高 適: 700?702-765): <고상시집(高常侍集)>; 〈별동대(別董大)〉,〈연가행(燕歌行)〉
잠삼(岑 參: 715-770):<잠가주시집(岑嘉州詩集)>;〈백설가송무판관귀경(白雪歌送武判官歸京)〉
최호(崔 顥: ?-754):〈장간행 2수(長干行二首)〉, 〈황학루(黃鶴樓)〉
유장경(劉長卿: 709?~780?):〈봉설숙부용산주인(逢雪宿芙蓉山主人)〉
왕창렬(王昌齡: ?698-757):<왕창령집(王昌齡集)>;〈종군행 2수(從軍行二首)〉,〈출새(出塞)〉,〈규원(閨怨)〉
이백(李 白: 701-762):
<이태백집(李太白集)>;〈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도형문송별(渡荊門送別)〉,〈망노산폭포(望廬山瀑布)〉,〈황학루송맹호연지광릉(黃鶴樓送孟浩然之廣陵)〉,〈촉도난(蜀道難)〉,〈장진주(將進酒)〉,〈자야오가(子夜吳歌)〉,〈월하독작(月下獨酌)〉,〈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台)〉,〈독좌경정산(獨坐敬亭山)〉
두보(杜 甫: 712-770):
<두공부집(杜工部集)>;〈전출색(前出塞)〉,〈월야(月夜)〉,〈춘망(春望)〉,〈성호리(石壕吏)〉,〈신혼별(新婚別)〉,〈촉상(蜀相)〉,〈춘야희우(春夜喜雨)〉,〈등고(登高)〉,〈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중당 시가(中唐詩歌: 771-836)>
원결(元結: 719-772):<원차산집(元次山集)>;〈춘능행(春陵行)〉병서(幷序)>
유장경(劉長卿: 709-780):<유수주집(劉隨州集)>
위응물(韋應物: 737-790):<위소주집(韋蘇州集)>;〈한식기경사제제(寒食寄京師諸弟)〉
백거이(白居易: 772-846):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 <매탄옹(賣炭翁)〉,〈장한가(長恨歌)〉,〈비파행(琵琶行)〉
원진(元 稹: 779-831):<원씨장경집(元氏長慶集)>; 〈직부사(織婦詞)〉,〈견비회(遣悲懷)〉
장계(張 繼: 약 753년 전후 유장경 동시대인 ? - ? ) :〈풍교야뱍(楓橋夜泊)〉
적(張 藉: 766-830):<장사업(張司業集)>;〈맹호행(猛虎行)〉,〈서주(西州)〉
왕건(王 建: 776-830):<왕사마집(王司馬集)>;〈수부요(水夫謠)〉,〈망부석(望夫石)〉,〈우과산촌(雨過山村)〉
한유(韓 愈: 768-824):<창이선생집9昌黎先生集)>;〈치대전(雉帶箭)〉,〈화산여(華山女)〉
맹교(孟 郊: 751-814):<맹동야시집(孟東野詩集)>;〈유자음(游子吟)〉
가도(賈 島: 779-843):〈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유우석(劉禹錫: 772-842):<유우석집(劉賓客集)>;〈죽기사(竹枝詞)〉,〈석두성(石頭城)〉,〈서새산회고(西塞山懷古)〉
유종원(柳宗元: 773-819):<유하동집(柳河東集)>:〈강설(江雪)〉,〈어옹(漁翁)〉
이하(李 賀: 790-816):<창곡집(昌谷集)>;〈창곡북원신죽(昌谷北園新筍)〉,〈몽천(夢天)〉,〈안문태수행(雁門太守行)〉
<晩唐詩歌:(837-907)>
두목(杜 牧: 803-853):<번천문집(樊川文集)>;〈산행(山行)〉,〈과하청궁(過華淸宮)〉,〈강남춘(江南春)〉
이상은(李商隱: 813-858):<(이상은집(李義山集)>;〈상아(常娥)〉,〈야우기북(夜雨寄北)〉,〈무제(無題)〉
온정균(溫庭筠: 812-870):〈소무조(蘇武廟)〉,〈상산조행(商山早行)〉
위장(韋 莊: 836-910):〈태성(台城)〉,〈진금음(秦婦吟)〉
-전기(傳奇)-
심기제(沈旣濟: 750? ~ 800?): <건중실록(建中實錄)>;〈침중기(枕中記)〉
백간행(白行簡: 776-826): 〈이왜전(李娃傳)〉
원진(元 稹: 779-831): 〈앵앵전(鶯鶯傳)〉
이공좌(李公佐: 생몰 미상) :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
-민간문학(民間文學)-
〈왕소군 변문(王昭君變文)〉,〈오자서변문(伍子胥變文)〉
-문인사(文人詞)-
온정균(溫庭筠: 812-870):<김렴집(金奁集)>;〈보살만(菩薩蠻)〉,〈몽강남(夢江南)〉
위장(韋 莊: 836-910):<와화집(浣花集)>,〈보살만(菩薩蠻)〉,〈사제향(思帝鄕)〉
이 경(李 瓊: 916-961): <백옥(伯玉)>
이욱( 李 煜(后主): 937--978)
#중문필보충자료,
2023년 03월 15일
가욕(可欲) 신희철이 정리하다
[출처] 중문필 보충자료- 중국 문화사적 인물 저서 요약 (중) 1) 선진(先秦) ~ 4) 수당 오대 문학(隋唐五代)|작성자 skypa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