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분 | 사물탕 | 당귀작약산 |
출 전 | 화제국방 | 금궤요략 |
구 성 |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3.75 | 당귀3 천궁3 택사4 작약4 백출4 복령4 |
핵심 내용 | 1. 보혈약(補血藥)의 핵심처방 2. 혈허(血虛)와 관련된 제반 증상을 치료 | 1. 부족한 혈을 보충 2. 비정상적 수분대사로 발생하 는 수독(水毒)치료 |
당귀작약산은 사물탕과 다르게 우리 인체의 수분대사를 담당하는 백출(白朮) 복령(茯笭) 택사(澤瀉)가 들어 있으며, 혈(血)과 정(精)을 보충해주는 숙지황은 들어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략적으로 생각하면 두 처방 모두 혈허(血虛)증상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귀작약산은 수분대사 이상으로 발생하는 증상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혈허로 현기증이 나거나 어지럽거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거기에다 수분대사 이상으로 잘 붓거나 심하면 수독(水毒)이 머리까지 침범하여 두통을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일상생활에서는 아침에 일어나면 얼굴이나 손발이 많이 부어 있다가 오후가 되면 부기가 빠진다고 이야기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아니면 아침에는 심하고 오후에는 좀 호전된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당귀작약산이 사물탕보다 붓기가 있을때 사용합니다.
또한 숙지황이 들어 있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당귀작약산이 사물탕보다 소화력이 더 약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숙지황은 끈적끈적한 성질 때문에 소화력에 영향을 줍니다.
택사(澤瀉)는 논이나 연못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써 약용부위는 덩이줄기, 즉 잔뿌리를 제거한 덩어리입니다
성질은 차며, 신장과 방광으로 들어가 소변을 잘나오게하여 부종을 없애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