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 한국어 | 어원설명 |
rupa | 외모 외양 모양 | ◾rupa : 룩⟷룹동사)보다. (명사)외모, 모양> ◾rupa : 생김새, 외형 (=apa yang tampak dari luar)/ 형태, 모습 (=bentuk, wujud)/ 얼굴(모습), 외모, 외관 (=roman muka, paras) ◾rupa [루빠] : (명사) 태생적인 외형/ (명사) 얼굴 모습, 안면 (muka, durja, paras, tampang, wajah), 얼굴윤곽 (roman muka)/ (명사) 형태 ◾rupa-rupa : 여러 가지 종류의, 갖가지의 (=bermacam-macam)/ 다른 (문제), (=(hal) lain-lain) ◾힌디어 रूपा/यन [ru:pa:yan] : (남성명사) 모양, 형태를 만들어 내는 행위, 과정./ yan은 한자 모양 양(樣) / 얀⟷양 비음현상 ◾힌디어 भेस [bhes] :뵀어⟶ 빘어(보였어의 경상도사투리) ▸(남성명사) 외관. 외모/ (남성명사)의상. ◾힌디어 भेष [bhesh] : (남성명사) 외관. 외모. ◾힌디어 चोला [chola:] : (남성명사) 외관. 생김새./ (남성명사) 긴 가운./ (남성명사) 체격. 신체. 몸. |
murah | 부드럽다 | ◾murah : 물러⟶어원(무르다. 부드럽다) ◾murah : 값싼, 가격이 낮은, 싸구려의 (=tidak mahal, rendah harganya)/ 쉬운, 용이한, 평이한 (= mudah, gampang)/ 관대한, 친절한 (= tidak pelit, suka memberi) |
kélah | 산책 | ◾kélah : 걸어⟶어원 ▸소풍, 여행, 산책 (=piknik) ▸잘란잘란(Jalan-Jalan) : 산책, 어슬렁거리다 |
Sumeria | 오묘하고 높다 | ◾Sumeria : 산스크리트어 '수메루'(Sumeru)를 음사한 상상의 산이 수미산이다./ 인도 사람들은 세계의 중심에 수미산(須彌山)이 있다고 믿었다. |
bulan | 월령 | ◾bulan[불란] : 불란⟶월령⟶위에리앙(bulan: ㅂ⟶발음 생략 w⟶y) ▸월령가 1년 12달을 차례대로 맞추어 나가며 읊은 시가 형식의 노래/ 1년 12달을 차례대로 맞추어 나가며 읊은 시가 형식의 노래./ 경기 잡가의 하나로 월령체가(月令體歌), 또는 달거리요(謠)라고도 한다. |
kedekatan | 가까움 접근 인접한 | ◾kedekatan : 게작던⟶ 게작았던⟶어원(게닥다⟶게작다⟶ 가깝다의 경상도사투리)/가텁다⟶ 가탑다⟶가찹다의 “첩, 찹”이 바로 접근(接近)의 “접”과 어원이 같다. ◾kedekatan : 가까움, 접근/ 아주 가까운, 인접한 |
coba | ~해보다 | ◾coba : "coba"라는 말은 "try"라는 뜻인데 한국어에는 따로 어휘 없으며 문법 "V~보다"가 알려요. 예) 먹어봐요 (coba makan), 해봐요 (coba (lakukan)), 사봐요 (coba beli) 등. |
Nanti | ~하고난뒤 | ◾Nanti : 난티⟶난뒤(밥 먹고 난 뒤, 놀고 난 뒤, 집에 도착하고 난 뒤) |
cinta | 뜻 정(情) | ◾cinta : cinta의 cin은 뜻 정(情)/ 칭⟶ 친⟶ 정 모두 같은 어원 ◾cinta : 몹시 좋아하는, 사랑하는 (= sayang benar, suka sekali)/ (남녀간에) 몹시 사랑하는, 홀딱 반한 (= terpikat, kasih sekali)/ 몹시 갈망하는, 그리워하는 (=ingin sekali, rindu) |
désa | 마을 | ◾désa[드사] : 힌디어로 데쉬 ▸désa : 마을/ 촌락, 부락 (=kampung)/ 시골, 오지 마을 (=dusun) |
saling | 서로, 서로의, 상호간의 | ◾saling : sali(사리⟶서로) + -ng(~의) = 서로의 |
tatap | 바라보다 응시하다 대하다 | ◾tatap : 닿았뿌⟶어원 ◾mata(눈) : 바따⟶ 봤다(ㅂ⟶ㅁ 발음변천) ◾muka(얼굴) : 일본어 むく[무꾸] 향하다/북⟶ 박(face) 밖이란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