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MZ 생명𐩐생태𐩐문화체험(5차) 동행記
1. 목적: DMZ 생명𐩐생태𐩐문화체험(5차) 동행記 |
2. 날짜: 2022.11.26.토 07시30분 |
3. 집합: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보건소 / → 초지대교 → 강화도로 진입 |
4. 장소: 1) 옥토끼 우주센터(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견학 후 →보트 놀이 체험 2) 애기봉: 조강 전망대(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조강리)와 交流展 교류전 관람 3) 평화생태 공원(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내 전시관을 관람 |
5. 인솔자: 양태룡 학장님 |
날씨가 제법 쌀쌀하다. 11월26일 토요일 07시30분, 약속 장소인 강남보건소에 도착하니 행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행사에 참여하는 인원들이 가족단위로 하나 둘씩 모여 들기 시작한다. 08시05분, 계획된 인원들이 버스 2대로 나누어서 첫 방문지인 강화도의 옥토끼 우주센터로 출발한다. 창 너머 한강 둔치에는 나름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달리는 사람, 자전거 타는 사람, 걷기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보인다.
1. 강남보건소 |
문화체험의 행사 대강은 이렇다. 옥토끼우주센터를 방문하여 견학과 체험을 하고 애기봉으로 이동하여 조강전망대와 평화생태공원을 관람하는 순으로 진행한다. 09시13분 어느새 버스가 초지대교를 건너서 강화도로 들어섰다. 강화도는 서해에서 가장 큰 섬이고 흔히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고 한다. 전쟁과 피난의 땅 강화도는 고려시대 때는 몽골의 침략을 받았고 조선시대 때는 왕들의 유배지이기도 하다. 안내하시는 선생님이 주말에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전展을 다녀온 이야기로 시작한다.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군이 강화도에 침략-1866년 병인양요-하여 우리의 문화재를 약탈해 갔다. 재불 역사학자 박병선 박사가 1979년에 수년간의 연구 끝에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약탈한 외규장각 의궤도서를 찾아내 우리나라로 반환하는데 노력한 일화를 소개한다.
2. 초지대교 |
09시35분 옥토끼 우주센터에 도착했다. 이 곳은 국내 최초의 항공우주과학 테마파크라고 한다. 항공우주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관람자들에게 우주과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시 및 체험훈련을 하는 곳이다. 인솔하시는 선생님은 우주센터를 소개한다.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순으로 설명하는데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신이 들린 듯 몸을 날리며 지식을 풀어 놓기에 바쁘다. 설명이 끝나자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전시물을 체험하고 사진도 찍는다. 필자도 체험단과 느낌을 함께하기 위해 중력가속도 체험기구인 G-Force 체험을 했다. G-Force는 우주인들이 지구에서 우주로 향해 출발했을 때 우주 안에서 느끼는 중력가속도를 경험할 수 있는 체험기구다. 2~3분 남짓한 체험인데도 멀기와 어지럼증에 잠시 휴식을 취하고서야 움직일 수 있었다. 이어서 우주생활체험관, 블랙홀 등 몇 군데를 관람하고 2층과 3층으로 올라가 체험장과 주변을 둘러보았다. 내려오는 길에 마주한 학생에게 “오늘의 체험은 재미있었어요?”라고 물었더니 돌아오는 답은 아니란다. “키가 151cm라 탑승을 못했다”는 것이다. 150cm기준에서 1cm 초과한 것이다. 엄격히 적용한 규정, 원칙이 어린 학생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었다고 생각하니 내 마음도 불편하다. 세상을 살아가는 도리는 정도正道의 삶과 권도權道의 삶이 있다. 正道정도란 恒常항상 지켜야 하는 道理도리로 法법, 原則원칙, 規則규칙 등을 의미한다. 한편 權道권도란 現在현재의 주어진 與件여건에 따라 融通性융통성을 發揮발휘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길가는 여성의 손을 잡으면 성추행 범이다. 반면에 수영을 하다 물속에서 허우적거리면 여성에게 손을 내미는 것이 당연한 도리다. 이른바 상황을 판단하여 조치하는 것이다. 이 기구를 관리하는 담당자가 융통성을 발휘했더라면 이 학생은 즐거운 체험의 기회를 맛볼 수 있을 텐데.
3. 강화도 옥토끼 우주센터 |
다음은 보트장으로 이동했다. 가족단위로 보트놀이를 한다. 아버지와 아들이 온 팀은 아버지가 노 젓는 요령을 설명하고 씩씩하게 노를 저으며 놀이를 즐긴다. 어머니와 아이가 탑승한 팀은 노를 몇 번 젓다가 배의 진입방향을 잡지 못하고 곧장 내린다. 학습이란 것이 이런 차이가 있구나. 노를 저을 줄 아는 아버지와 노를 젓지 못하는 어머니. 보트를 관리하는 쪽에서 무조건 순서대로 보트를 태울 것이 아니라 노 젓는 법을 설명하고 태우는 것이 고객에 대한 배려 아닐까?
4. 보트장 |
눈앞에 보이는 공룡관은 때를 잊은 목련이 꽃 몽우리를 피우며 촉을 드러낼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발길을 들어놓는 이가 별로 없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 공룡만큼 황량하다.
건너편 썰매장에서 환호소리가 들린다. 어린 학생들은 신이 났다.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려오는 속도감과 스릴에 탄성을 짓는다. 역시 아이들은 관람하는 쪽 보다는 몸으로 하는 체험에 관심을 보이고 흥미를 느끼는 것 같다. 어느 듯 점심시간이다. 차후 일정을 고려하여 점심을 11시 30분으로 조정했다. 3층 식당에서 돈까스로 식사를 한다. 활동량이 많은 탓에 음식 맛은 그저 꿀맛이다. 몇몇 아이는 한 그릇 더 먹을 수 없느냐고 묻기도 한다. 이제 애기봉을 향해서 이동할 시간이다.
5. 공룡관과 썰매장 |
12시35분 버스는 강화대교를 지나 김포로 들어섰다. 버스에는 일상에 지친 어느 아버지가 코를 골며 자고 있다. 그 곁에는 게임하는 아이, 만화 삼매경에 빠진 아이, 조곤조곤 아이에게 뭔가 설명하는 어머니… 등 다양한 모습이 보인다. 인솔하시는 선생님은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기지개를 켜라 하고 가위바위보 게임을 하면서 승자에게 <그해 소풍>이란 책도 선물한다. 버스가 애기봉愛妓峰 주차장에 도착하자 관람지역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도 곁들인다. 출입절차 수속을 밟고 애기봉을 향해 가는 길은 ‘우리는 조국의 창끝, 칼끝. 해병대가 있는 한 서부전선 이상 없다’등 해병대원들의 결기를 다지는 문구들이 보인다. 이어서 애기봉의 조강전망대로 들어섰다. 버스에서 내리니 바람이 제법 세게 몰아친다. 평화생태전시관으로 입장했다. 이곳은 평화, 생태, 미래 3개의 공간으로 배치되어 있다. 1공간(평화)에서는 조강지역의 역사를 알아보고 애기봉의 평화적 역할과 가치를 향한 조강 평화의 길을 이야기 한다. 2공간(생태)에서는 치유의 공간이 된 조강지역의 생태이야기를 한다. 3공간(미래)은 미디어 아트로 미래의 세계를 그리고 있다.
6. 강화대교 |
공간 밖으로 나오자 저만치 한적한 곳에 해병대 김포지구 전투전적비가 보인다. 혼자 계단을 뜀박질하여 신나게 올랐다. 전적비에 도착하니 어느 단체에서 갖다 놓은 빛바랜 조화 하나가 쓸쓸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잠시 고개 숙여 묵념하고 표지석을 바라본다. 표지석에는 ‘대몽고 항쟁, 신미𐩐병인양요 등 민족 수난사와 더불어 고난을 함께 한 땅’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견학하는 사람들의 동선을 살려 안보현장견학코스로 같이 연결했더라면 아쉬움이 남는다.
7. 애기봉 평화생태 공원 |
애기봉 정상과 평화생태공원으로 가는 길. 해마다 연말이 되면 애기봉에 크리스마스 트리를 설치해 왔었다. 언제부터인가 북한을 자극한다는 이유로 중단했고, 이후 데크길을 조성하면서 당시 설치했던 트리 모양으로 재현했다고 한다.
애기봉(154고지)은 남과 북이 대치하고 있는 접경지역에 우뚝 솟아있다. 애기봉의 전설은 병자호란 때 평안감사와 애첩의 이야기다. 안보의 최첨단에 한가한 사랑 놀음 같지만 이산가족의 한을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애기봉에서 주변을 조망한다. 전방지역이 휑하니 조망하기에는 제격이다. 저 멀리 좌측으로 문수산성이 보이고 서해로 유입되는 물줄기와 예성강. 그 앞에 조그마한 섬, 유도留島.-이 섬은 1996년 홍수 때 북한지역에서 떠내려 온 수소를 미끼로 제주도의 우도牛島에서 데려온 암소와 교미하여 평화의 소, 통일염원의 소 등 남북 연결고리를 삼으려했던 이야기가 전해온다.-
그 아래 조강이 흐르고 우측으로 임진강과 한강이 합류되는 지점을 넘어서 서울까지 조망이 가능하다. 한반도의 허리인 조강은 강과 강이 만나서 바다가 되는 곳이다. 육지에 비해 사람과 물자 쉽게 옮길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삼국시대 때부터 탐욕의 대상이었다고 한다. 하여 백제 고구려 신라가 돌아가면서 패자覇者가 되어 지배했고, 6.25전쟁 때는 남과 북이 치열하게 전투했던 곳이다. 6.25전쟁 이후 ‘한강하구중립수역’으로 선포되어 남과 북이 상호 왕래가 있었다고 한다.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사실상 DMZ가 되어 조강을 생활기반으로 하던 주민들은 뿔뿔이 흩어지고 오늘에 이르렀다. 조강전망대 앞에는 북한의 선전마을인 문화주택과 군 초소, 농경지가 선명하게 보인다. 쌍안경으로 보는 전방지역은 무리지어 자유로이 날고 있는 물새 떼들이 식별된다. 인간에게 미물처럼 보이는 새들은 남과 북으로 금을 긋지 않고 자유로이 왕래하며 날 수 있는데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금을 그어 서로 소통하지 못하고 총부리를 겨누고 있을까?
- 단절된 남과 북을 끌어안은 조강의 선물ㅣ#생명의강ㅣ#조강
쌍안경을 제켜두고 머리를 돌리니 한 어머니가 어린 시절 이곳을 다녀갔다면서 아이에게 나름 설명을 하려하지만 아이는 엄마의 손을 끌어 잡고 다른 곳으로 이동할 것을 권한다. 어머니는 어린 시절 이곳 방문의 추억과 안보의 현실을 이야기 해 주고 싶은 것이고 아이의 관심은 딴 곳에 있었다. 필자가 어린 시절 전방 접경지역에 오면 북한의 잔악무도함을 듣고 타도의 대상 공산당, 멸공만이 우리의 살길이라는 교육을 받았는데 요즘 아이들은 굶주린 북한의 주민에 대한 동정심이 앞서는 것 같다.
8. 조강 전망대 |
전망대 한 쪽에는 접경지역 작가들의 교류전이 열리고 있다. 눈이 머문 곳은 <등가교환等價交換>이라는 작품이다. 손과 손목을 조각한 작품으로 엄지와 중지사이에 탄두를 끼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평화는 실탄 한 발만 없으면 교환이 가능하다는 의미일까?
* 等價交換등가교환(exchange of equivalents): 같은 가치를 가진 두 가지 상품이 교환된다는 뜻으로 마르크스경제학에서 나온 말. 일반적으로는 상품과 돈의 관계. 1000원짜리 가치의 상품을 1000원을 주고 구매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
9. 等價交換등가교환(exchange of equivalents) |
잠시 이동하니 애기봉비碑와 망배단 그 옆에 평화의 종이 있다. 평화의 종은 탄피와 철조망과 트리 잔재물을 녹여서 만들었다고 한다. 고통과 아픔을 쇳물로 녹여서 화합하고 소통하여 평화를 이루자는 셈일 것이다.
10. 평화의 종 |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포연이 스쳐간 자리에도 꽃이 피고 생명과 평화는 깃들기 마련이다. 생명𐩐생태𐩐평화의 주제에 맞춰 강의를 진행한다. 강의의 대강은 지금 지구는 끓고 있다. 영구동토층이 녹아 매탄가스가 배출되는 현실에서 지금보다 온도가 1.5도 상승하면 위기가 닥친다고 경고한다. 서기 2300년이 되면 생물종의 1/2가 멸종한다는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소시민으로서 할 일은 생활 속의 실천만이 답이다. 자동차 덜 타기, 1회용 쓰레기 줄이기, 전기사용 줄이기, 전자제품 사용 덜하기 등.
이어서 정선모 선생님이 DMZ 생명생태관광협회의 모토인 ‘사람과 사람간의 갈등, 사람과 자연의 갈등, 자연과 자연의 갈등’을 이야기한다. 사람과의 갈등은 <장자莊子 산목편山木篇>의 ‘빈 배 이야기’로 대체하고 싶다. 배로 강을 건너다가 배가 부딪히면 상대방을 살펴본다. 그런데 부딪힌 쪽에 사람이 없으면 자신이 노를 잘못 저은 것을 탓한다. 사람이 ‘빈 배 이야기’처럼 자기를 비우고 세상을 살아간다면 누가 그를 해칠 수 있겠는가?
* 螳螂搏蟬당랑박선: 지금 당장의 이익만을 탐하여 그 뒤의 위험을 알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마귀가 매미를 잡으려고 그것에만 마음이 팔려 자신이 참새에게 잡아먹힐 위험에 처해 있음을 알지 못하였다함. 螳사마귀 당, 螂사마귀랑, 搏잡을 박, 蟬매미 선임. 螳螂당랑을 흔히 ‘사마귀’ ‘버마재비’라고 한다. 사마귀는 주로 작은 곤충을 잡아먹고 살지만, 개구리 도마뱀도 잡아먹는다. 동족은 물론 암컷은 교미 중에 수컷을 잡아먹기도 하는 포악하고 포획성 강한 곤충이다. 《莊子장자》 <山木篇산목편>의 故事고사에서 由來유래한다. 유의어로는 각 故事고사에서 由來유래. * 螳螂捕蟬당랑포선: 《韓詩外傳한시외전》≪正諫篇정간편≫ * 黃雀在後황작재후: 《韓詩外傳한시외전》≪正諫篇정간편≫ * 螳螂窺蟬당랑규선: 《劉向유향》≪說苑설원≫<正諫篇정간편> * 螳螂在後당랑재후: 《韓嬰한영》≪韓詩外傳한시외전》≪권9 正諫篇정간편≫ * 螳螂伺蟬당랑사선: 《莊子장자》≪外篇외편≫ * 螳螂拒轍당랑거철: 《莊子장자》<人間世篇인간세편>.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를 멈추려 했다는 故事고사에서 由來유래한 말로, 자기 분수도 모르고 무모하게 덤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11. 螳螂捕蟬당랑포선 |
자기가 겨누고 있는 까치는 풀잎의 사마귀를 노리고 있었습니다. 또 사마귀는 나무 그늘에서 세상모르고 맴맴 울어대는 매미를 노리고 있는 게 아닌가(螳螂搏蟬당랑박선)요? 모두 자기가 노리는 사냥감에 정신을 빼앗겨 자기 몸의 위험에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있었던 것입니다. “아! 利이를 추구하는 자는 害해를 불러들이는구나!” |
- 莊子(장자 외편(外編) - 산목편(山木篇) https://blog.naver.com/kloi295/222613889056 |
12. 黃雀在後황작재후 |
두 번째는 사람과 자연의 갈등이다. 인간이 사물을 지배할 권한이 있는 것이 아다. 동물이나 식물과 같은 생명체도 귀하게 존엄하기는 마찬가지다. 만물은 같다는 ‘만물제동萬物齊同의 원리’를 적용하면 너와 나, 옳고 그름, 삶과 죽음조차도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 이론은 그럴 듯하지만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수양과 통찰의 시간이 필요하다.
* 萬物齊同만물제동의 원리: 만물은 모두 평등하다는 원리이다. 신의 생각과 다를 바가 없다. |
13. 萬物齊同만물제동 |
세 번째는 자연과 자연의 갈등이다. 참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다. 인간이 자연의 문제에 개입한다는 것이 만물제동의 원리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서 주장하는 바는 번식능력이 강하고 인간에게 피해를 준다고 판단하는 악성(?)식물에 대한 제재, 흔히 말하는 생태교란 종에 대한 인간의 개입이다. 이것 또한 인간중심의 사고이니 이쯤에서 판단을 멈추자.
* 正面衝突정면충돌(180도 角度각도) * 冲빌 충, 화할 충, 찌를 충: 沖의 俗字로 1. 冲突충돌(하다) 2. 모순되다 3. 겹치다 |
- 정글의 갈등 - 자연의 갈등
행사를 마치고 버스로 돌아오는 길. 한 어린이와 손잡고 동행했다. 북한이 못사는 이유를 물으니 독재 권력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 독재 권력은 국민의 이익보다는 개인 권력유지에 안달이다. 아울러 공산주의 대비 자본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이야기로 마무리 짓는다.
15시30분 일정을 마무리 하고 서울로 돌아오는 길. 도로가 꽉 막혔다. 아이들은 지루함을 참지 못하는 듯하다. 차 안에서 2시간 30분을 보냈으니 답답하기는 어른들도 마찬가지다. 인내라는 말 대신에 인대忍待라는 사전에도 없는 단어를 생각한다. ‘참고 견뎌내는’ 인내가 아니라 ‘참고 기다림’의 인대의 시간으로.
* 待對 → 對待: 두 사람의 말이 서로 어긋날 때, 제삼자를 앞에 두고 전에 한 말을 되풀이하게 하여 옳고 그름을 따지는 일. |
14. 서른여섯 가지의 待對대대를 제시한 월제스님 |
- 서른여섯 가지의 대대(待對)를 제시/육조 혜능스님 https://story.kakao.com/_E1y6f4/kJJomEkTe5a |
짧지만 긴 문화체험은 참가자들에게 좋은 추억여행이었다. 오늘의 새로운 경험은 내 삶의 자양분이 될 것이다. 길은 가면 만들어지니까.
- DMZ 생명𐩐생태𐩐문화체험(5차) 동행記 https://m.cafe.daum.net/kyengyeon/qTY8/93? |
- 경인학당 https://cafe.daum.net/kyengyeon/qTY8/93?q=等價交換등가교환+조각작품&re=1 |
- 청솔34 https://cafe.daum.net/bluepine34/PoOP/30?q=장자莊子+산목편山木篇&re=1 |
- psm8339님의 블로그 https://blog.naver.com/psm8339/222887694607 |
정국 (Jung Kook) 'Dreamers' @ FIFA World Cup Qatar 2022 Opening Ceremony
*****(2022.11.29.)
23:39뉴시스 핵군축협정 논의 연기 러시아 "미국 사찰 재개만 원해" 23:38뉴스1 러 "우크라 관련 美와 대화 없어…美 개입, 위험만 가중" 23:34연합뉴스 영국, 중국 대사 초치해 BBC 기자 체포 및 폭행 항의 23:25뉴시스 [올댓차이나] 올해 대만 성장률 예상 3.06%로 0.7%P 하향 23:15연합뉴스 독일, 물가 고점찍었나…11월 물가상승률 10%로 소폭 완화 23:11연합뉴스 中 "사회질서 교란 결연히 타격"…'백지시위' 강경대응 예고 23:06한국일보 '퇴장' 벤투 감독 "선수들에게 미안... 주심은 존중이 부족했다" 23:01세계일보 트위터 광고 끊은 애플에… 머스크 “전쟁 개시” 23:00아시아경제 “中, 케냐에 아프리카 두 번째 군사기지 건설 계획” 美 의회 주장 22:54조선일보 中, 방역시위에 사실상 대학 휴교령... 거리에선 휴대폰 검문 22:54뉴시스 일본 코로나 신규감염 12만7422명...누적 2465만5482명 22:52중앙일보 이란 혁명수비대 "두 달간 반정부 시위 관련 사망자 300명 넘어" 22:45문화일보 이승기도 당했다던 ‘가스라이팅’, 美 ‘올해의 단어’ 선정 22:38아시아경제 카타르 월드컵 조직위 사무총장 "사망한 이주 노동자 400∼500명" 22:38아시아경제 일본, 내년 여행경비 보조 재개…“국내여행 활성화” 22:38뉴시스 미군, 中 국경 인근 산악지역에서 인도와 합동훈련 진행 22:38중앙일보 가나전 권창훈 여친이란 이유로…'어깨빵' 리포터에 악플폭탄 22:35연합뉴스 핵군축회의 연기한 러 "미, 사찰재개만 원해…연내 회의 난망" 22:34MBC 이란 혁명수비대 "반정부 시위 관련 사망자 300명 넘어" 22:29뉴시스 IMF 총재 "中, 대규모 봉쇄 벗어나 표적 접근해야" |
20:05뉴스1 [영상] 포탄이 비처럼 쏟아져도…최전선 민간인 대피시킨 우크라이나군 20:04채널A 세계 최대 활화산 ‘쿨럭’…고압선에 경비행기 ‘대롱’ 20:04채널A 백악관 가보니, 77개 성탄 트리 장식…영부인이 테마 선정 20:01한국일보 "좋은 시절 끝"vs "내정 간섭"...파국 치닫는 중·영 관계 20:00한국일보 [월드컵 블랙박스] 졌지만 잘 싸운 대표팀... '반대 전환 크로스' 기회 더 잘 살렸더라면.. 20:00뉴시스 일, 277조7139억원 추가경정예산 중의원 통과 20:00아시아경제 월드컵 보고 민심 요동? … 中 중계화면 검열 나서나 19:50머니투데이 시위에 놀란 中정부, 줄줄이 "과도한 방역 지양…불편 줄여야" 19:49세계일보 중국 트위터서 ‘시위’ 검색하면 포르노가? 19:49세계일보 ‘한국인 강제노동’ 배상 거부 日, 중국인 피해자들엔 240억 지급 19:49연합뉴스 참가자 압박하며 우루무치엔 '당근'…中 '백지시위'에 강온 대응 19:48세계일보 “월드컵서 국가제창 거부 이란 선수들 협박받아” 19:47연합뉴스 멜로니 총리, 프랑스와 갈등설 부인 "문제 없었고 지금도 없어" 19:46아시아경제 "카드는 사적인 돈"…伊, 현금 결제 확대 정책 예고 19:44MBN GO냐 STOP이냐…시진핑의 선택은? 19:42MBN 서방, 중국에 '백지 시위' 탄압 경고…새 반중 전선 모멘텀? 19:40MBN 해외로 번지는 '백지 시위'…중국 차단 총력 19:38KBS 日 “방위비 GDP 2%까지 인상”…“동맹국 공격 받아도 반격” 19:35연합뉴스 중국, '제로코로나 반대' 시위 속 고령층 백신 접종 강조(종합) 19:33서울신문 [포착] 생후 2일 아기의 장례, 엄마의 통곡…인류애 잊은 러軍 로켓 |
17:00이데일리 "中서 봉쇄 항의시위 검색하면 포르노 나와"…정부 개입 의혹 17:00한국일보 '정신적 폭력' 얼마나 심하면...'가스라이팅', 올해의 단어 됐다 17:00한국일보 차범근 경질 때 이후 처음…사령탑 없는 최종전, 16강 최대 변수로 17:00조선일보 “카타르 전통 복장은 ‘목욕 가운’”…독일 해설자 발언 논란 16:59파이낸셜뉴스 한국 축구 최초 ‘본선 멀티골’ 조규성, 유럽 무대 입성하나 16:56중앙일보 가로등 꺼버리고, 행인 얼굴 하나하나 땄다…中 검문 강화 16:56전자신문 '백지시위' 中 전역 확산…"학생 연행 반대" 경찰과 대치한 교수 16:54헤럴드경제 아기 때 납치됐다가, 51년 만에 가족 상봉한 美 여성 ....DNA 16:51뉴스1 AZ, 새 염증·호흡기질환 신약 후보 도입…英 업체와 5300억 계약 16:51SBS [월드리포트] "시진핑 퇴진" 동시다발 시위…심상치 않은 이유 16:50연합뉴스 日외무상 "중일 방위당국 핫라인 내년 봄 운용 개시" 16:50아시아경제 [뉴스속 인물] 韓 코너킥 패싱한 테일러 심판은 누구? 16:50한국일보 말레이시아, '화교 혐오' 폭발... 1969년 인종 폭동 재현되나 16:50조선일보 새벽부터 출근, 40번 연속 관광…카타르 낙타들 ‘월드컵 혹사’ 16:49뉴스1 中 국무원 국가위생위 "코로나 노인 백신 접종 독려"(상보) 16:49디지털타임스 `제2톈안먼` 될라… 폭력진압 조짐에 美 촉각 16:47머니투데이 "교수형 너무 잔혹"…국가에 사형금지 소송 낸 日사형수들 16:47동아일보 국내 대학가에도 ‘시틀러’ 대자보…中 반정부시위 연대 확산 16:42연합뉴스 러, 동남아 라오스와 연합군사훈련…"양국 전차·기갑부대 참가" 16:41경향신문 푸틴 피해 미국으로 왔는데 몇달씩 구금…러 반전 활동가들 “미국, 러시아와 다를 바 없다” |
첫댓글 中,
'백지시위' 막으려 무장 경찰 투입·인터넷 차단…
연대시위 전세계 확산
https://www.youtube.com/watch?v=6ay-aSIiHp8
PLAY
[VOA 모닝뉴스]
2022년 11월 29일
https://www.youtube.com/watch?v=553izSNZcmY
PLAY
이란 대표팀 국가 안 부르면
"가족들까지 고문할 수도..."
[뉴스.zip/MBC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8zv83ITT7fE
PLAY
승리에 취해 집단 난동 벌인 모로코 축구 팬들
[국경없는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3_nLJNLVywY
PLAY
장거리미사일 우크라에 배치되나?
러 주요도시 방공호 정비
/ 연합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3iXt4T7vy5w
PLAY
"시진핑 독재 반대" 위기에도…
월드컵 영상 땜빵하는 중국 클래스
(자막뉴스) / SBS
https://www.youtube.com/watch?v=EAO69iqZDA8
PLAY
[신선한 경제]
'이변 속출'‥승부 예측 이벤트 40만 명 전원 탈락
(2022.11.29/뉴스투데이/MBC)
https://www.youtube.com/watch?v=5_M6ua7h7n0
PLAY
'사람 나이 120살'…
세계 최고령 영국 고양이
#shorts
https://www.youtube.com/watch?v=pBaIwaCokzY
PLAY
[VOA 뉴스]
장거리 전략폭격기 B-2 스피릿…
‘무력 시위’ 공개
https://www.youtube.com/watch?v=ZIoSRyvemSo
PLAY
[글로벌K]
와인 한 통에 11억 3천만 원…
어떤 술이길래
/ KBS 2022.11.28.
https://www.youtube.com/watch?v=DRNFkslauJs
PLAY
美 워싱턴DC 인근서
경비행기 추락해 대규모 정전
https://www.ytn.co.kr/_ln/0104_202211290032419945
유로폴
"유럽 마약 3분의 1 유통 조직 일망타진“
https://www.ytn.co.kr/_ln/0104_202211282247165329
빈 살만의 사우디,
'리야드 시즌' 관광객도 늘어날까?
https://www.ytn.co.kr/_ln/0104_202211280604075562
[사진]
'제로 코로나'
항의하는 홍콩 시민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1129000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