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파일을 클릭하면 관련 논문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
초기불교의 중도와 무아, 그리고 공-의미와 관계에 관한 일고찰Majjhimā paṭipadā, Anattā and Suññatā in Early Buddhism
불교학연구
2019, vol.60, 공과 중도 개념의 쟁점 pp. 1-29 (29 pages)
DOI : 10.21482/jbs.60..201909.1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연구분야 : 인문학 >불교학
한상희 경북대학교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중(majjha, 中)과 중도
III. 공과 무아
IV. 나가는 말
초록
본 논문은 니까야를 중심으로 초기불교의 중도 개념을 명확히 하고 관련 교설인 무아와 공의 의미 및 그 관계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니까야에서 고락을 떠난 ‘중도(majjhimā paṭipadā)’는 팔정도를 가리키고, 유무 등의 극단을 떠나 ‘중’에 의해(majjhena) 설해진 법은 십이연기이다. 여기서 십이연기는 오온이 무아임을 보여주며, 팔정도는 해탈로 이끄는 ‘무아에 대한 지혜’를 성취하기 위한 실천적 수행법이 된다. 이처럼 니까야의 중도는 오온 무아의 근거이면서 실천이 되는데 이에 관한 자세한 고찰은 후속논문에서 다루기로 하고, 본 논문에서는 중도와 무아 및 공의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니까야에서 ‘중도’란 감각적 쾌락과 자기를 괴롭히는 일의 양극단을 떠나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불교의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바른 실천’으로, 팔정도로 대표되는 수행법 전반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중’이란 절대적 유와 무라는 양극단의 견해를 떠나 조건에 의한 경험이 있을 뿐 고정된 자아는 없음을 보여주는 십이연기로 대표되는 ‘바른 견해’로서, 사성제와 무아에 대한 지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중의 실천’이라는 뜻으로 풀이되는 중도는 ‘바른 견해의 실천’ 즉 ‘십이연기와 사성제에 대한 앎의 실천’이면서 ‘십이연기와 사성제에 대한 앎을 얻기 위한 실천’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불변하고 영원한 것이 아님’, ‘불변하고 영원한 것이 없음’을 뜻하는 무아는 무상・고와 함께 오온과 육내입처 등 인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가진 보편적인 특징이다. 그리고 이 특징들에 대한 통찰수행을 통해 나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변하고 영원하지 않아 괴로움을 일으킬 뿐이라는 것을 알고 그것에 대한 탐욕을 제거하여 해탈에 이르게 하는 것이 니까야의 무아설이 갖는 참된 의미이다. ‘공’에 관한 교설들도 이와 마찬가지로, 그 용례는 많지 않지만 대부분이 실천적인 측면과 관련되어 있으며, 니까야에서 공은 선정과 해탈 등의 성취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기능한다.
키워드 ; 중 중도 팔정도 십이연기 무아 공 초기불교
majjha, majjhimā paṭipadā, ariya atthaṅgika magga, paṭiccasamuppāda, anattā, suññatā, Early Buddhism
피인용 횟수 ; KCI4회
참고문헌(27)
* 2024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1. [기타자료] - / / AN = Aṅguttaranikāya, 5vols., PTS
2. [기타자료] - / / Dhp = Dhammapada, PTS
3. [기타자료] - / / DN = Dīghanikāya, 3vols., PTS
4. [기타자료] - / / MN = Majjhimanikāya, 3vols., PTS
5. [기타자료] - / / Paṭis = Paṭisambhidāmagga, 2vols., PTS
6. [기타자료] - / / PED = The Pāli Text Society’s Pāli-English Dictionary, PTS
7. [기타자료] - / / Ps = Papañcasūdanī (Majjhimanikāya-aṭṭhakathā) , 5vols., PTS
8. [기타자료] - / / SN = Saṃyuttanikāya, 5vols., PTS
9. [기타자료] - / / Spk = Sāratthappakāsinī (Saṃyuttanikāya-aṭṭhakathā) , 3vols., PTS
10. [기타자료] - / / Th = Theragāthā, PTS
11. [기타자료] - / / Vin = Vinayapiṭaka, 5vols., PTS
12. [단행본] - 각묵 / 2010 / 초기불교 이해 / 초기불전연구원
13. [단행본] - 고빈드 찬드라 판데 / 2019 / 불교의 기원 / 민족사
14. [단행본] - Collins, S / 1982 / Selfless persons: Imagery and thought in Theravā Buddhism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단행본] - Karunadasa, Y / 2018 / Early Buddhist Teachings: The Middle Position in Theory and Practice / Wisdom Publications
16. [학술지(정기간행물)] - 권오민 / 2007 / 4聖諦와 12緣起 / 한국불교학 (47) : 7~50
17. [학술대회논문] - 김재성 / 2017 / 중도와 초기불교 수행, 중도中道 이 시대의 길 / 사단법인 고요한 소리 창립30주년 기념 중도포럼 : 205~240
18. [학술지(정기간행물)] - 남수영 / 2015 / 초기 불교의 중도 개념 재검토 / 남아시아연구 21 (1) : 57~86
19. [학술지(정기간행물)] - 남수영 / 2017 / 인도불교에서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 -불타, 부파불교, 용수의 중도설을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50 : 27~57
20. [학술지(정기간행물)] - 박재은 / 2018 / 초기불교 공(空) 개념의 수행적 성격__빠알리 니까야를 중심으로__ / 인도철학 (52) : 209~243
21. [학술지(정기간행물)] - 우동필 / 2018 / 중과 전회-연기에 대한 철학적 탐구 / 불교학연구 57 : 149~188
22. [학술지(정기간행물)] - 이필원 / 2015 / 초기불교의 연기이해- 수행론적 관점에서의 새로운 접근 - / 불교학보 (72) : 9~34
23. [학술지(정기간행물)] - 임승택 / 2015 / 무아·윤회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초기불교를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45 : 1~31
24. [단행본] - 정준영 / 2008 / 나, 버릴 것인가 찾을 것인가 / 운주사 : 41~96
25. [학술지(정기간행물)] - 한상희 / 2018 / 번뇌의 소멸과 해탈의 성취-아라한의 심해탈과 혜해탈에 대하여 / 불교학연구 57 : 111~147
26. [단행본] - 藤田宏達 / 1982 / 仏教思想7 空 下 / 平楽寺書店 : 415~467
27. [단행본] - 藤田宏達b / 1982 / 仏教教理の研究 / 春秋社 : 8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