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장
有物混成, 先天地生. 寂兮寥兮, 獨立而不改, 周行而不殆, 可以爲天下母. 吾不知其名, 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 大曰逝, 逝曰遠, 遠曰反. 故道大. 天大, 地大, 王亦大. 域中有四大, 而王居其一焉.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만물(의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뒤섞여서 이루어진 바, (따라서) 하늘과 땅의 생겨남보다 앞서는 바. (따라서 그 소리를 또렷하게) 들을 수 없는 바! (그 소리를 뚜렷하게) 알아차릴 수 없는 바! (만물과 더불어) 오래 가는 바, (만물과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 천하의 어미로 일삼아질 수 있는 바. (따라서) 나는 그 (본래의) 이름을 알지 못하고, (따라서) 그것을 글자로 써서 일컬어 도道라 한다. (따라서)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러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큰 바라고 하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큰 바, (그것을) 일컬어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에서) 나아가는 바라고 하며,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에서) 나아가는 바, (그것을) 일컬어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에서) 멀어지는 바라고 하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에서) 멀어지는 바, (그것을) 일컬어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으로) 되돌아가는 바라고 한다. 요컨대, 도道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크다. 하늘도 크고, 땅도 크며, 임금도 크다. (그런데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큰 바는 가운데 네 큰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데, 임금은 그 하나에 머문다! (따라서 천하의) 사람들은 땅을 법칙 삼아야 하는데, (임금은 천하의 사람들 가운데 하나로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큰 땅을 법칙 삼고) 땅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큰) 하늘을 법칙 삼으며, 하늘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큰) 도道를 법칙 삼고, 도道는 저절로 그러한 바를 법칙 삼기 때문이다.
寂兮廖兮, 言其, 不可聽聞也. 獨立而不改, 言其, 久也. 周行而不殆, 言其, 通也.
적혜료혜寂兮廖兮는 그것은 (그 소리를 또렷하게) 들을 수 없고, (뚜렷하게) 알아차릴 수 없다는 뜻이다. 독립이불개獨立而不改는 그것은 (만물과 더불어) 오래 간다는 뜻이다. 주행이불태周行而不殆는 그것은 (만물과 더불어) 어우러진다는 뜻이다.
字者, 代名之稱. 不知其名.
자字는 (그 본래의) 이름을 대신해 (일부러 일삼아 글자로 써서) 일컫는다는 뜻이다. (나는) 그 (본래의) 이름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强爲之名, 亦見未易形容, 而不敢硬言之意. 逝, 往也. 曰逝曰遠, 所以形容其, 大也. 曰反者, 復反於大也.
강위지명强爲之名은 또한 (그것은 그 모양과 모습을 또렷하고 뚜렷하게) 나타내는 것이 쉽지 않은데, 따라서 (나는) 일부러 일삼아 일컫는 바를 감히 하지 않을 수 없다는 뜻을 드러낸다. 서逝는 나아간다는 말이다. 왈서曰逝, 왈원曰遠은 그것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왈반曰反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큰 바(大; 道)를 되돌이키고, (그것으로) 되돌아간다는 뜻이다.
此, 旣極. 言道, 體. 之, 大. 繼之曰, 道, 旣大矣.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큰 바大·道를 되돌이키고, 그것으로 되돌아간다는 것) 이것은 그 끝점에 다다른다는 것이다. 요컨대, 도(道; 自然)는 체體이다. 그것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크다. 따라서 (노자는) 이어서 일컬었다. “도(道; 自然)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크다.”
天地, 又大矣. 王者, 以眇然一身處於其間. 亦與之. 同其大.
하늘과 땅은 또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크다. 임금王은 (도道가 어우러진) 하나의 몸(身; 性·命)을 자세하게 살핌으로써, 그 (하늘과 땅) 사이에 머무른다. (임금王은 그렇게 함으로써, 하늘과 땅) 그것과 더불어 하게 된다. (임금王은 그렇게 함으로써)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큰 바와 (더불어) 같이 하게 된다.
夫王者, 之, 所以爲大者, 以其, 能法天地, 而合乎道也. 故曰,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道, 以自然爲貴.
(도道가 더불어 어우러지는 하나의 몸을 자세하게 살피는) 임금王, 그는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큰 바를 일삼게 되고, 따라서 그는 하늘과 땅을 법칙 삼을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그는) 도道와 (더불어) 어우러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따라서 천하의) 사람들은 땅을 법칙 삼아야 하는데, (왜냐하면, 임금은 천하의 사람들 가운데 하나로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큰 땅을 법칙 삼고) 땅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큰) 하늘을 법칙 삼으며, 하늘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큰) 도道를 법칙 삼고, 도道는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無爲)를 법칙 삼기 때문이다.” (요컨대) 도道는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無爲)를 귀한 바로 삼는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