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9장三十九章
(아주 먼) 옛날, 그것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一; 道·德·性·命·自然)를 얻은 것이었다. 하늘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었는데, 따라서 맑아지게 되었다. 땅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었는데, 따라서 평안해지게 되었다. 혼魂과 백魄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었는데, 따라서 신령스러워지게 되었다. 계곡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었는데, 따라서 (가득) 채워지게 되었다. (따라서) 계곡은 (무위有爲를) 텅 비우게 되었고, 따라서 (작은 물줄기의) 온갖 것을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따라서 이른바 (가득) 채워지게 되었다. 온갖 사물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었는데, 따라서 살아가게 되었다. 천자와 제후는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었는데, 따라서 천하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에 대해) 곧아지게 되는 바를 일삼게 되었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그것은 (그것에) 이르렀는데, (그것이 그것에 이르게 되었던 까닭) 그것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 (때문)이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 만약) 하늘이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면, 이른바 맑은 바가 이내 아마 찢어지게 되었을 것이다. (만약) 땅이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면, 이른바 평안한 바가 이내 아마 무너지게 되었을 것이다. (만약) 혼魂과 백魄이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면, 이른바 신령스러운 바가 이내 아마 텅 비어지게 되었을 것이다. (만약) 계곡이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면, 이른바 (가득) 차는 바가 이내 아마 메말라지게 되었을 것이다. (만약) 만물이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면, 이른바 살아가는 바가 이내 아마 사라지게 되었을 것이다. (만약) 제후와 천자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면, 이른바 (천하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에 대해) 곧아지게 되고, 이른바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귀하게 여기게 되며,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높이게 되는 (바를 일삼는) 바가 이내 아마 (이른바 천하가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에 대해 곧아지게 되고,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귀하게 여기게 되며,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높이게 되는 바를 일삼는 바로) 넘어지게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귀하게 여겼고, 따라서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천하게 여겼으며, 따라서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천하를 다스리는) 근본으로 일삼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높였고, 따라서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낮추었으며, 따라서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천하를 다스리는) 근원으로 일삼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이름 지어 불렀다. “고(孤; 덕스러움德이 없어서 볼품없는 사람), 과(寡; 덕스러움德이 적어서 아래가 되는 사람), 불곡(不穀; 덕스러움德을 일삼기를 잘하는 바가 하나도 없는 사람).” 이것은 이른바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귀하게 여기고,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천하게 여기며,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천하를 다스리는) 근본(과 근원)으로 삼았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아닌가? 따라서 (지금의 제후와 천자는 만대에 이르는) 많은 수레(를 가진 바)에 이르렀지만, (그러한) 수레(를 가진) 바가 없는 (사람인) 듯이 해야 한다. 옥玉과 같이 맑고 고운 소리를 내는 바나 조약돌과 같이 반짝이는 빛을 내는 바를 (일부러) 일삼고자 하지 말아야 한다. (따라서) 이식재李息齋는 일컬었다. “(이른바, 양쪽의) 수레바퀴 (테두리), (양쪽 수레바퀴 테두리 위쪽의) 덮개, (양쪽 수레바퀴 테두리 안쪽 서른 개의) 바퀴살, (양쪽의 바퀴통에 끼우는 굴대, 끌채의 위쪽에 올리는 짐칸, 끌채의 앞턱 나무와) 뒤턱 나무가 (제후와 천자에 의해 일부러 일삼아) 어우러지게 되면,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전쟁을 일삼는) 수레(車; 戰車)로 일삼아지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전쟁을 일삼는 전차의) 부분과 부분은 (저절로 그러하게 짐을 나르는 수레인 화차貨車의 부분과 부분처럼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가지는 바가 (있을 수는) 있지만, 이른바 (전차는 저절로 그러하게 짐을 나르는) 수레(인 화차)로 이름 지어 불릴 수는 없다. (이른바) 인仁·의義·예禮·지智가 (제후와 천자에 의해 일부러 일삼아) 어우러지게 되면,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천하를 다스리는) 이치로 일삼아지게 된다. (따라서) 인仁·의義(·예禮·지智)가 (천하를 다스리는 이치로) 이름 지어 불릴 수는 있지만, 이른바 (인仁·의義·예禮·지智는 저절로 그러하게 천하를 다스리는) 이치로 이름 지어 불릴 수는 없다. 이른바, (그 제후와 천자의 발자국이) 가히 (밖으로 인仁·의義·예禮·지智를 일부러 일삼아) 붙잡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면, 그 (천하가 인仁·의義·예禮·지智를 일부러 일삼아 붙잡는) 발자국이 (가히) 밖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 저절로 그러하게 천하를 다스리는 이치를) 귀하게 여겼던 제후와 천자는 (그 이치를 일부러 일삼아 맑고 고운 소리를 내지 않는) ‘옥玉’과 같이 여겼지만, (저절로 그러하게 천하를 다스리는 이치를) 천하게 여기는 (지금의) 제후와 천자는 (그 이치를 일부러 일삼아 반짝이고 번쩍이는 빛을 내는) ‘조약돌’과 같이 여긴다.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가히 (인仁·의義·예禮·지智를 일부러 일삼아) 가리키고 이름 지어 부르게 되면,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가히 인仁·의義·예禮·지智) 그것을 (일부러 일삼아 가리키고 이름 지어 부르는 바를) 귀하게 여기거나, (인仁·의義·예禮·지智를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부르는 제후와 천자를) 천하게 여기는 바를 비롯하거나 얻게 된다.”
昔, 之, 得一者. 天, 得一, 以清. 地, 得一, 以寧. 神, 得一, 以靈. 谷, 得一, 以盈. 谷, 虛, 而受萬, 故曰盈. 萬物, 得一, 以生. 王侯, 得一, 以為天下貞. 其, 致, 之, 一也. 天, 無, 以清, 將恐裂. 地, 無, 以寧, 將恐廢. 神, 無, 以靈, 將恐歇. 谷, 無, 以盈, 將恐竭. 萬物, 無, 以生, 將恐滅. 侯王, 無, 以貞, 而貴, 高, 將恐蹶. 故貴, 以賤, 為本. 高, 以下, 為基. 是以侯王, 自稱孤寡不穀. 此, 非以賤為本邪? 非乎? 故致數輿, 無輿. 不欲琭琭如玉落如石. 李息齋曰: 輪蓋輻軫會, 而為車. 物物, 有名, 而車不可名. 仁義禮智合, 而為道. 仁義, 可名, 而道不可名. 苟有可執, 使其跡外見. 貴者, 如玉, 賤者, 如石. 可以指名, 而人, 始得貴賤之矣.
어리석은 제후와 천자天子는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로써 하기)를 (날마다) 거듭한다. (그는) 이른바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一·道·德·性·命·自然”)“로써” (하기를 날마다 거듭)하지 않는다. (그러나) 지혜로운 제후와 천자는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로써” (하기를) 날마다 (거듭)한다. 그는 이른바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로써 하기)를 (날마다 거듭) 하지 않는다.
愚者, 仍乎“一”. 而不能“以”. 智者, 日“以”. 之, 而不能“一”.
(이른바, 지혜로운 제후와 천자가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로써” 한다는 것은 (그는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잃어버린다는 것이다. (이른바, 지혜로운 제후와 천자가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로써” 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는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 無爲)“로써” 한다는 것이다.
「以」者, 失「一」也. 不「一」者, 無「以」也.
(이른바,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는 온갖 사물에 머금어져 있다. 온갖 사물에 스며들어 있다. (따라서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는 온갖 사물을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로써” 하게 된다) 따라서 온갖 사물은 (유위有爲와) 짝하는 바를 일삼는 바를 더불어 하지 않게 된다. (이른바,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는 온갖 사안을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로써” 한다.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다. (저절로 그러하게)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다. 따라서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가 일삼는 온갖) 사안은 (유위有爲와) 짝하는 바를 더불어 하지 않게 된다.
「一」, 含萬. 入萬. 而不與萬為對. 「以」. 無事. 有事. 而不與事為麗.
따라서 하물며 (아주 먼 옛날의 지혜로웠던 제후와 천자가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를) 구했겠는가? 따라서 하물며 (유위有爲를) 붙잡았겠는가?
而況可邀, 而況可執乎?
따라서 (흐린) 술은 익어져야 하고, 따라서 맑은 술이 (고여지는 바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집은 (이엉이) 얹어져야 하고, 따라서 지나가던 사람이 쉬어가게 된다. (따라서 지금의) 제후와 천자는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얻지” 말아야 한다. 따라서 (천하가) 우선 그 (유위有爲가) 흐린 바(濁; 無爲)를 지키게 된다. 따라서 (천하가 우선) 그 (무위無爲가 맑은 바를 담아내고 불어내는) 광주리(筐; 性)와 풀무(橐; 命)를 일삼게 된다. 따라서 뒤이어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가 (천하에 담겨지는 바가 가로막히지 않는 바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가 천하에 불려지는 바가 가로)막히지 않(는 바에 이르)게 된다.
是以酒, 熟, 而酤者, 至. 舍, 葺, 而行者, 休. 我, 不“得一”. 而姑守其濁. 以為之筐橐. 而後“一”, 可“致”. 而不拒.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귀하게 여기고,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천하게 여기며,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높이고,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낮추었다. 그는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와 더불어 하고, (그것과 더불어) 나란해졌다.
夫貴賤高下. 之, 與「一」, 均.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그러한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이게 되면, 이른바 어떻게 되는가?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귀하게 여기고 높이는 사람이게 되면, (그) 공功과 (그에 따른) 이름이 (천하의) 곳간에 쌓이게 된다.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천하게 여기고 낮추는 사람이게 되면, (천하가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이루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어지게 된다.
豈有當哉? 乃貴高者, 功名之府, 而賤下者, 未有成也.
(이른바, 제후와 천자의 저절로 그러한) 공功이 (천하에) 펼쳐지게 되면, 이른바 (천하는 일부러 일삼은 공功과) 어우러지는 바를 더불어 하지 않게 된다. (이른바, 제후와 천자의 저절로 그러한) 이름이 (천하에) 펼쳐지게 되면, 이른바 (천하는 일부러 일삼은 이름과) 아우러지는 바를 더불어 하지 않게 된다. 이른바, (제후와 천자의 저절로 그러한 공功이나 이름이 천하에 펼쳐지게 되면) 천하는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공功이나 이름과 더불어 어우러지거나 아우러지는 바를) 다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물며 (제후와 천자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천하에 펼치는 바)에야?
功立, 而不相兼. 名定, 而不相通. 則萬, 且不盡. 而況於「一」?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하늘과 땅은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어그러뜨리는 바를 (온갖 사물과 사안을 다스리는) 이치로 삼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천자와 제후는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망가뜨리는 바를 (천하를 다스리는) 이치로 삼았다. (따라서 만 대에 이르는) 많은 “수레(輿; 戰車)”(를 가진 지금의 제후와 천자)로써 천하를 싣(고자 하)는 사람은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알아차리고,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얻으며, (유위有爲가 “오롯한 바”를) 내버리고, (무위無爲가 “오롯한 바”를) 오래 보여지게 (해야) 하는 것이다.
故天地之, 理虧. 而王侯之, 道喪. 以大「輿」載天下者, 知, 所取, 捨, 久矣.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