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고 부드러운 햇살 머금은 연천 152.2m²(46.0평) 복층 경량 목조주택
건축정보
· 위 치 : 경기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
· 대지면적 : 679.0m²(205.3평)
· 연면적 : 152.2m²(46.0평)/용적률 18.4%
1층 107.9m²(32.6평),
2층 17.1m²(5.2평),
차고 27.2m²(8.2평)
· 건축면적 : 135.1m²(40.8평)/건폐율 19.9%
· 건축형태 : 복층경량 목조주택
· 외벽마감 : 방부목 채널 사이딩
· 내벽마감 : 루버(거실),벽지(방)
· 지붕재 : 아스팔트 슁글
· 바닥마감 : 강화마루
· 난방형태 : 기름보일러
· 설 계 : 도원건축사사무소
· 시 공 : 아란코엑스 02-932-6501
www.arancoex.co.kr

양지바른 동남쪽으로 치마폭을 살포시 늘어뜨린 군자산 기슭 마을에 들어선 152.2m²(46.0평)복층 경량 목구조 주택.
군자산 봉우리를 하나 툭 떼어 앉힌 듯 도드라져 보인다.
공직 생활 정년을 앞둔 건축주가 노후를 건강하고 쾌적하게 보낼 요량으로 지은 안식처다.
주변환경, 집터, 집, 마당, 텃밭, 정자, 퍼걸러 이 모든 것이 한데 아우러져
건축주 부부의 전원생활에 알콩달콩 재미를 더한다

넓은 덱만큼이나 박공지붕의 처마 선을
길게 뽑아 실용성과 기능성에다 여유로움까지 더했다
마을길에서 대문까지, 또 대문에서 현관까지
진입 동선을 사선으로 내 아기자기하다.
주택은 관입 부분이 많은 벽면과
높고 낮은 지붕 선으로 입체감이 빼어나다

1. 마을 어귀에서도 외관이 도드라진 집이 단박 눈에 띈다.
건강한 집, 건강한 삶
건축주는 집터를 마련한 후 조망과 채광 실용에 주안점을 두고 부지를 조성한다. 집터는 남북으로 긴 장방형이고, 전면은 마을 길과 접하며, 전면과 우측면이 경사를 완만하게 이루는 형태다.
이러한 집터에 안정감을 주면서 조망을 확보하고자 전면과 우측면을 높이고, 그 둘레에 한탄강 곰보돌로 통하는 현무암으로 석축을 쌓는다. 또한, 전면에서 대문까지 사선으로 진입로를 내고 맷돌과 잔디, 관상수로 꾸며 외부 간섭은 피하면서 드나듦에 아기자기함을 더한다.
전면 우측에 지하 주차장을 만들고, 그 위에 여러 명이 둘러앉아 자연을 주제로 바비큐나 차를 즐기는 공간으로 퍼걸러를 설치한다 .넓은 마당 후면에 단을 높여 정남향으로 주택을 앉혀 집 안 가득 가깝게는 마당을, 멀게는 들과 산과 하늘을 담는다.거실을 중심으로 각 실을 좌우측으로 물리고 거실과 2층 다락방 지붕을 앞뒤로 포개고 좌우 측에 까치창 지붕을 설치해 입면에 부피감을 준다.
아울러, 우기에 실용적인 데다 보는 재미까지 더하는 눈썹 처마를 거실과 좌우측 각 실의 부목 채널 사이딩으로 마감한 외벽, 전면에 넓게 뽑은 덱 등 한눈에 전통 경량 목조주택임을 짐작하게 한다.
건축주는 노후를 건강하게 보내고자 짓는 집이니만큼 처음부터 건축구조를 나무 향기가 은은하게 풍기는 목구조로 정한다.시공사인 아란코엑스는 동두천에 지은 경량 목조주택을 방문한 후, 그 집주인에게 소개 받는다.
설계 및 시공 협의 과정에서 요구한 사항은 거실 천장고를 높이고 창을 넓게 낼 것, 방은 침실 기능에만 한정할 것, 외관은 지붕 선에 높낮이를 주어 먼발치에서도 도드라져 보이게 할 것 등이다.
공간은 기능과 유지 관리를 고려해 가운데 전면에 거실과 침실을, 후면에 다용도실과 주방, 욕실을 배치한 구조다. 1층 우측에 안방, 거실, 식당, 다용도실, 보일러실을 한 덩어리로, 좌측에 공용 욕실과 작은방을 한 덩어리로 엮어 동선을 단순화한다. 1층 현관과 계단실로 이어지는 2층 다락방도 마찬가지다.
주택의 실내 이미지를 좌우하는 거실은 건강하고 쾌적하며 밝은 느낌을 강조하고자 아트월을 제외한 벽체와 천장 모두 목재 루버로 마감하고, 전면 창 위에 반달 창을 계절별 채광조건을 고려해 달아낸다.
해가 산 너머로 꼬리를 쉬이 감추는 계절임에도 밝고 화사한 기운이 집 안 깊숙이 스며드는 이유다.

2. 지하 주차장 상부를 활용해 조성한 퍼걸러.

3. 집 전면에 덱을 넓게 깔고 우측에 정자를 놓았다.

4. 넓은 마당에 단을 높여 정남향으로 주택을 앉힘으로써
집 안 가득 가깝게는 마당을, 멀게는 들과 산과 하늘을 담았다.

건축주는 “일주일 전만 해도 거실 창이 한 폭의 수채화처럼 누렇게 여문 벼의 황금빛 물결로 가득했다”면서
“그때 왔으면 좋았을 텐데”라고 아쉬워했다.
그리곤 “먼발치로 보이는 들판을 가르는 기차, 밤이면 점점이 줄을 잇듯 늘어선 길가의 방범등이 연출하는
풍광도 아름답다”고 말한다.
도시에선 소음과 빛 공해를 유발하는 기찻길과 방범등도 전원에선 너른 들녘과 어우러지면 멋진 원경을 연출한다.
올해 6월 전원주택에 입주한 후 건축주는 몸무게가 3kg 정도 빠졌단다.
아파트와 달리 전원 주택에선 화초며 텃밭을 가꾸는 등 몸을 움직일 일이 많기 때문이란다.
그뿐만 아니라 연천군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군자산을 오르는 일로 아침을 맞고
10여 분 남짓한 직장까지 도보로 출퇴근 한단다. 건축주에게 전원생활은 곧 다이어트인 셈이다.
올해 6월 준공한 이 주택엔 아직 미완의 공간이 남았다.
건축주의 숙제이기도 한데, 바로 한지로 장식한 거실 한쪽 벽면에 건축주 부부와 두 아들,
첫째 며느리, 손주가 함께한 가족사진을 거는 일이다.


본사 :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 미도빌딩 602-1호
T : (02) 932 6501
F : (02) 932 6503
E-mail : arancoex@naver.com
홈페이지주소 : www.arancoex.co.kr
블로그주소 : http://blog.naver.com/arancoex
농가주택 리모델링, 시골집 수리하기, 전원주택, 통나무주택, 목조주택, 주말주택, 세컨드하우스, 황토주택,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행복하세요.
도움이 많이 된 정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생각하던 전원주택입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