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3년(癸未) 간행 강진안씨세보(康津安氏世譜)는 안씨 시조 동래설과 순흥의 광주 분파설, 신죽산, 탐진의 순흥 분파설 등을 모두 채택하고 있다. 탐진안씨 경인보(庚寅譜, 1830)의 김시찬(金是瓚), 안석형(安碩衡)의 서문(序文)과 탐진세고(耽津世稿)에 실렸던 안명옥(安命玉, 1797-1849), 이원조(李源祚, 1792-1871)의 족보 서문이 재수록되어 있다.
참고: 1883년 강진(탐진)안씨족보(康津安氏族譜) 안씨 시조 동래설
아래는 한옥션에 경매 매물로 나와 있는 1883년(癸未) 간행 강진안씨세보(康津安氏世譜)이다. 경인보(庚寅譜, 1830)처럼 상장군공파와 헌납공파 쪽이 주도해서 간행한 듯하다.
傳本이 많지 않은 1883년 간행 목활자본 [강진안씨세보(康津安氏世譜)] 4卷 4冊 완질본 : 한옥션 경매
<내용> 傳本이 많지 않은 1883년 간행 목활자본 [강진안씨세보(康津安氏世譜)] 4卷 4冊 완질본으로 첫책 권두에 李源祚, 安明玉의 序文, '上之三十年庚寅(1830)...金是瓚謹序', '庚寅...後孫碩衡謹識' '上之卽位二十一年癸未(1883)...安思龍謹識' 重刊序, 끝책 권말에 後孫思彬의 跋이 있다. 첫책 앞부분 하단 여백부 표지 포함 10여장 부분 손상, 얼룩 외 기타 보존 상태 양호하다. <크기> 21.4×32.3cm
* 동일 족보 소장처 康津安氏世譜.1-4 (1883)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전주박물관 강진안씨세보 부천 족보전문 도서관 강진안씨세보
|
첫댓글 상장공파와 헌납공파도 1830년까지는 탐진안씨로 족보를 발간했었고 1883년 처음으로 강진안씨로 개명했네요. 그러면 강진안씨는 1883년부터 새로 시작된 본관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