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 봉수산 순교성지
대흥 봉수산 성지
의좋은 형제 순교자의 깊은 신앙이 깃든 곳
도로주소: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의좋은형제길 25-14
대흥 형옥원 한가운데 성모상이 있고, 그 뒤로 옥사가 보인다.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에는 예로부터 ‘의좋은 형제’가 살았던 곳으로 유명한 마을이 있다. 밤에 몰래 서로의 논에 볏단을 건네줬다는 우애 깊은 이성만 · 이순 형제의 이야기가 담긴 ‘의좋은형제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또 다른 의좋은 형제를 만날 수 있는 성지가 나온다. 바로 하느님을 향한 신앙을 나누던 ‘의좋은 순교자’, 복자 김정득 베드로와 복자 김광옥 안드레아 형제를 현양하는 대전교구 대흥봉수산 순교성지이다.
성지에 들어서면 넓은 잔디 광장 가운데 두 팔 벌린 성모상이 순례자를 반겨 맞이하고 있다. 성모상이 세워진 받침대는 사형을 집행했던 참수대(斬首臺)를 형상화한 것이다. 그 뒤로 전통방식으로 지어진 인상적인 목조건물이 있다. 기와지붕에 나무와 흙벽으로 이루어진 익숙한 건물이지만, 가까이 가면 일반적인 가옥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문마다 창호 없는 창이 뚫려있고, 지붕 바로 아래 달린 작은 창에는 창살이 쳐있는 옥사(獄舍)이다. 성지 바로 옆에 대흥 동헌이 자리하고 있는데, 바로 대흥 관아의 옥사인 대흥 형옥원(刑獄圓)을 재현한 것이다. 형옥원은 죄인들을 가두는 감옥으로 고신(拷訊)과 형벌을 가하던 곳을 이르는 말이다. 옥사에는 3개의 방이 있고, 그 안에는 죄인들이 목에 차는 칼과 곤장을 칠 때 사용했을 형구들이 놓여 있다. 순교자들은 짧게는 며칠에서 길게는 수개월 동안 모진 형벌과 고통을 참아내며 이 작은 공간에서 지내야 했다.
성지 내에 재현한 대흥 형옥원 옥사.
본래 대흥 관아의 옥사는 상중리 296번지 일원 옥담거리에 있었다. 또 사형을 집행하던 처형장은 예당호 내천변에 있었고, 조리돌림 등의 고신이 행해지던 저잣거리는 동서리 173번지 인근에 있었다. 김정신 스테파노(단국대 건축학과) 교수가 설계한 형옥원은 이들을 재현 · 기념하는 공간이다. 형옥원 앞마당은 십자 형태의 거리 모습으로 조성되어 조리돌림, 팔주리 등의 고신과 주리틀기와 큰칼 등의 형벌, 그리고 사형에 이르는 과정을 묘사한 그림과 설명문들이 준비되어 있다. 형옥원 바로 앞에는 형벌을 집행하던 의자와 곤장대도 놓여 있다.
대흥 관아의 옥사인 대흥옥을 재현한 건물에는 2014년 8월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복자품에 오른 김정득 베드로와 그의 사촌 형제인 김광옥 안드레아의 초상화가 걸려있다. 대흥옥은 순교자들이 갇힌 수많은 감옥 중에서 특별히 복자 김정득 베드로가 처형을 기다리던 곳이다. 복자 김광옥 안드레아는 이 지역과는 크게 연고가 없는 순교자다. 인근 고을인 예산에서 면장을 맡던 김광옥은 예산과 청주에서 문초와 형벌을 당하고 한양에서 사형선고를 받아 예산의 처형장에서 순교했다. 그러나 이 둘의 관계를 생각할 때 김정득의 순교를 기리는 이곳에서 김광옥을 함께 현양하는 것은 너무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성지 가장자리로 십자가의 길이 조성되어 있다.
‘대춘’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던 김정득 베드로는 김광옥 안드레아에게 교리를 배워 입교했다. 두 형제는 1801년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공주 무성산으로 들어갔다. 두 형제가 피신하면서 가져간 것은 교회 서적과 성물뿐이었다. 두 형제는 오로지 교리를 실천하기 위해 숨었는데, 그들의 피신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이미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었기에 더 빨리 발각되었다. 그래서 김정득은 홍주로, 김광옥은 예산으로 끌려가 문초를 받고, 이후 함께 청주에 수감되어 형벌을 받았다.
복자 김정득 베드로가 어떤 신앙생활을 이어왔는지는 상세히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한양으로 압송되어 1801년 8월 21일(음력 7월 13일) 받은 사형선고 선고문을 통해, 그가 모진 박해에도 불구하고 용기 있게 신앙을 증언했을 뿐 아니라 이웃들에게 담대하게 하느님의 말씀을 전했고, 어떤 형벌과 문초에도 신앙을 반대하는 말이나 다른 신자들의 거처를 밝히는 말을 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선고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가의 금령을 두려워하지 않고, ‘제사는 폐지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 산속에 숨어 살면서 어리석은 백성들을 속이고 유혹하였으며, 형벌과 문초를 가하여도 아주 모질어서 굴복하지 않았다. 그 죄상을 생각해 보니, 만 번 죽어도 오히려 가볍다.”
대흥 동헌 왼쪽에 대흥봉수산 순교성지가 조성되었다.
사형선고를 받고 예산까지 내려오는 동안, 고신과 형벌로 몸을 제대로 가누기조차 어려운 상태에서도 복자 김정득 베드로와 김광옥 안드레아는 천상의 기쁨에 가득 차서 즐거운 얼굴을 하고 있었다. 각자의 처형 장소인 대흥과 예산으로 갈라지는 갈림길에서 두 형제는 손을 맞잡고 “내일 정오, 천국에서 다시 만나세.”라고 작별 인사를 했다. 김정득은 예산에서 얼마를 더 가서 대흥 감옥에 수감되었고, 그 이튿날 읍내로 끌려나가 칼날 아래 목숨을 바쳤다. 김광옥 또한 같은 날 예산의 처형지에서 같은 시간에 참수로 순교했다. 그때가 1801년 8월 25일(음력 7월 17일)이었다.
대흥면에서도 봉수산자락에 자리하고 있어 ‘대흥봉수산’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성지는 두 형제뿐 아니라 대흥 고을 출신의 여러 순교자도 현양하고 있다. 뮈텔(Mutel, 閔德孝) 주교가 순교자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 작성한 「치명일기」(致命日記)에는 복자 김정득 베드로 외에도 황 베드로(46세), 백청여(50세 가량), 원지우 안드레아, 이 루도비코(43세), 이 아우구스티노(38세), 원 요셉(55세) 등 대흥 고을 출신 순교자 7위가 기록되어 있다.
대전교구는 2019년 5월 6일 124위 순교자들의 시복을 기념하고, 특별히 ‘의좋은 순교자’로 불리는 복자 김정득 베드로와 사촌 형제인 복자 김광옥 안드레아를 기억하고, 대흥 고을 출신 순교자들을 현양하기 위해 ‘대흥봉수산 순교성지’ 축복식을 거행했다. 대흥봉수산 순교성지는 순교자들이 신앙을 증거하다 처형된 장소의 특성을 살려 토지면적 4628㎡에 330㎡의 임시 성당과 2314㎡의 ‘형옥원’을 갖추었다. 형옥원에는 박해시대 순교자를 가두었던 형옥 시설인 옥사, 저잣거리, 처형대가 재현되었고, 그 둘레에 십자가의 길 14처가 설치되었다. 아울러 성지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되새기며, 봉수산과 예당저수지와 조화를 이루는 자연환경 속에서 순교 영성과 창조질서 보전을 함께 전파해나갈 예정이다.
[2019년 가톨릭신문 이승훈 기자의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편집,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19년 12월 6일)]
복자 김정득 베드로 약전
김정득(?~1801) 베드로는 충청도 홍주의 대흥에서 태어나 친척인 김광옥 안드레아와 함께 여사을 이존창 루도비코로부터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다. 이후 그는 계명을 지키 며 기도와 복음실천 등 신앙생활을 열심히 실천하였다. 주문모 야고보 신부님은 1796 년 여름부터 1800년 봄까지 몇 차례 서울을피해 충청도와 전라도에서 성사를 베풀며 전교를 하였다. 이때 교우들을 만나 미사와 성사를 집전하고 성물과 교회서적들을 회장 들에게 맡겼다. 김정득도 정산 이도기 바오로 와 마찬가지로 성물과 교회서적들을 가지고있다가 박해를 피하면서 땅에 묻었다.
땐정득은 사촌 김광옥과 함께 1799년 말 공주 마곡사 인근 무성산에 숨어 오로지 기도와 교리 실천에 전념하며 다가올 순교를 준비하였다. 그러나 두 사람의 이름이 이미 널리알려져 있어 포졸들에게 잡혀 대흥옥과 예산옥에 각각 갇혔다. 둘은'^홍주,청주,포청 옥 등에 갇혀 고문과 문초를 받았지만 주님 의 수난을 묵상하고 성모님께 의탁하며 천주님과 교우들을 끝까지 배반하지 않고 교회 성물과 서적을 지켰다.
신유년(1801년) 8월 21일 내려진 사형선고 문에 “그들의 고향인 예산과 대흥으로 압송 하여 참수하라.”는 명령이 덧붙여졌다. 당시김정득과 김광옥에게 내려진 선고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국가의 금령을 두려워하지 않고 ‘제사는 폐지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 하였다. 산중에 숨어살면서 어리석은 백성들을 속여서 유혹하였으며,형벌과 문초를 가하여도 아주 모질어서 굴복하지 않았다. 그 죄상을 생각해 보니 만 번 죽어도 오히려 가볍다.”
김정득과 김광옥은 그 동안의 형벌로 인해 걸음조차 뗄 수 없을 지경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하느님이 주신 용기와 힘으로 즐거운 얼굴을 하고 있었다. 예산과 대흥의 갈림길에서 헤어질 시간이 되자, 그들은약속이나 한 듯이 손을 마주잡으며 “내일 정오, 천국에서 다시 만나세!” 라고 작별인사를 하였다.
김광옥은 예산옥에 갇히고, 김정득은 대흥옥에 수감되었다. 그리고 이튿날 읍내 물가로끌려가 김광옥은 예산에서,김정득은 대흥에 서 신앙을 고백하며 칼날 아래 목숨을 바쳤다 . 1801년 8월 25일 (음7월 17일), 김정득과 김광옥은 서로 약조대로 한날한시에 ‘의 좋은 순교자’가 되어 주님 품에 함께 안겼다.
대흥고을 순교자
① 복자 김정득 베드로
② 황 베드로(46세,치명일기 119),
③ 백청여(50여 세, 치명일기 258),
④ 원 안드레아 지우(치명일기 349)
⑤ 이 루도비꼬(43세, 치명일기 451),
⑥ 이 아우구스띠노(38세,치명일기 452),
⑦ 원 요셉(55세, 치명일기 99),
두 복자 “1, 천주를 배반치 말라(信德).
2, 교우를 일러바치지 말라(愛德)
3, 성물과 교회서적을 바치지 말라(望德,) ” 는「순교자 3계」를 목숨 걸고 지켰다.
“내일 정오,천국에서 다시 만나세!”
-‘의좋은 순교자’ 복자 김정득 - 김광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