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치科 Xiphiidae
◎ 돛새치 : Istiophorus platypterus Shaw
► 방 언 : 돛새치[전남], 배방치[포항], 새치[남한], 바렌[부산], 부채[경남]
► 외국명 : (영) Indo-Pacific sailfish, (일) Bashyokajiki (バショウカジキ)
► 형 태 : 크기는 최재 전장 348㎝, 체중 100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270㎝ 정도이다. 체색은 청새치와 비슷하나 암청색이고 옆구리에는 코발트색의 둥근 반점으로 된 약 17줄이 수직으로 줄지어 있다. 각 줄의 둥근 반점은 4~6개이다. 등지느러미는 청색이며, 작은 흑색의 둥근 반점이 흩어져 있다. 몸의 비늘은 작고 양 턱에는 작은 이빨이 있다. 꼬리자루에는 2쌍의 융기선이 세로 놓여 있다. 제1등지느러미는 크고 길어 돛과 같이 생겼고 그 외각은 앞쪽 반이 움푹 들어갔다. 가장 높은 곳은 최대 체고를 훨씬 넘는다. 뒤의 반이 불룩 나와있고 지느러미 면에는 진한 청색의 아름다운 둥근 점이 밀포되어 있다. 배지느러미는 1극2연조로 매우 길어서 뒤끝이 항문에 까지 달한다. 가슴지느러미는 낫 모양으로 길고 배지느러미는 위 턱 길이와 같다. 몸통의 단면은 폭이 좁은 타원형이다. 돛새치류의 자어는 머리에 톱니연(鋸齒緣)이 있는 큰 가시가 있다. 등지느러미도 낮으며, 양 턱도 같은 길이로 짧다.
크기는 최대 전장 350㎝까지 자란다. 긴 몸에 높은 돛 모양의 등지느러미를 가졌다. 몸은 좌우로 측면되었으며 몸의 단면은 세워놓은 계란형이다. 위턱이 새의 부리처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부리의 단면은 원형이다. 긴 몸에 높은 돛 모양의 등지느러미를 가졌다. 몸은 좌우로 측면되었으며 몸의 단면은 세워놓은 계란형이다. 위턱이 새의 부리처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부리의 단면은 원형이다. 돛새치류는 물고기를 사냥할 때 몰래 접근해서 부리를 재빠르게 휘둘러 먹이를 때려 기절시킨 다음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부리는 다른 여러 가지 기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체역학적 기능을 높이기도 하고 포식자를 물리치는 무기로 사용한다는 가설이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제1등지느러미가 매우 크며 높이가 체고보다 훨씬 높고 중간 부분이 가장 높다. 제1등지느러미의 기저부는 길고 제2등지느러미에 거의 닿아있다. 뒷지느러미도 2개이며 제2뒷지느러미가 제2등지느러미보다 약간 앞에 있다. 배지느러미는 가늘지만 길이가 매우 길어서 거의 항문에 다다른다. 극조 1개 연조 2개로 이루어져있고 복부 홈 안으로 수납시켜 넣을 수 있다. 몸은 피부에 묻힌 작은 비늘로 덮여있고 각 비늘은 1~2개의 끝이 무딘 돌기가 튀어나와있다. 꼬리자루(미병부)에 2개의 융기선이 있다. 측선은 1개이며 겉으로 잘 보인다. 등쪽은 암청색이며 그 아래에 갈색이 튀어 들어간 밝은 청색 부문이 수평 방향으로 놓여있고 배쪽으로 내려가면서 은색이다. 체측에 약 20개의 청색(코발트) 수직 줄 무늬가 배열되어 있는데 이 줄은 수많은 둥근 청색 점들이 이어져서 생긴 것이다. 제1등지느러미의 막은 암청색이며 작고 둥근 수많은 검은 점들이 빽빽이 들어차 있다. 나머지 지느러미들은 흑갈색이거나 암청색이다. 제1, 2뒷지느러미의 기저부가 백색일 때가 가끔 있다.
► 설 명 : 서태평양에서 인도양의 근해를 널리 회유하고, 새치류 중에서는 가장 연안근처에 내유한다. 표층에서 수심 200m까지에 서식한다. 외양성 어류로 길고 큰 등지느러미를 수면 위에 내놓고는 여러 마리가 한데 어울려 다닌다. 주요 먹이는 작은 물고기와 오징어 종류이다. 정어리나 고등어 무리를 발견하면 제1등지느러미를 바로 세우고 돌진하여 무리에 근접하면 등지느러미를 펼치고 부리 모양의 주둥이를 흔들어 먹이가 되는 어류에게 상처를 주어서 삼킨다. 산란기는 8~9월경이다. 태평양의 열대 해역에서는 주년(周年) 산란하며, 성기는 해역에 따라 다르다. 눈에서부터 꼬리지느러미 앞쪽까지가 1.6m가 되면 성숙한다. 정치망, 연승 등으로 어획하며, 9~10월에 정치망에 한꺼번에 들어온다. 육색(肉色)은 새치류 중에서는 가장 진해서 붉은 도홍색을 띤다. 종전에는 어묵의 원료로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생선회, 생선초밥용, 구이 등으로 이용될 정도로 신선한 것이 반입된다. 최대 수명은 13년 정도이다.
외양 표층성이며, 주로 수온약층(thermocline, 찬 아래쪽 물과 위쪽 더운 물이 만나 경계를 이루는 곳) 위쪽에서 발견된다. 연안과 섬이 가까운 수역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 크기 별로 무리를 짓는다. 물고기, 갑각류, 두족류를 잡아 먹는다. 태평양의 열대와 아열대 해역에서 연중 산란하며 해당 지역의 여름 철에 산란 절정기를 이룬다. 암수가 짝을 지어 산란하거나 암컷 한 마리를 수컷 두세 마리가 쫓아가며 구애 행동을 하면서 산란한다. 성숙된 알은 지름이 0.85 mm이며 1개의 기름 방울을 달고 있다. 알려진 최대 수명은 13년이다.
해양생물학자들의 추론에 의하면 돛새치의 큰 등지느러미는 몸을 식히거나 덮이는 기능을 가졌을 것이라고 한다. 등지느러미에 많은 혈관이 들어있기 때문이며 빠른 순발 속도를 내기 전과 그 후에 수면이나 수면 가깝게 가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그 증거로 보고 있다.
돛새치를 목표로 어로 작업을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대개 다랑어 주낙 어로작업에서 부수적으로 잡힌다. 돛새치는 블루마린이나 청새치같은 “마린(marlin)”이라고 부르는 다른 종들보다 값이 훨씬 덜 나가기 때문에 잡았다가 다시 풀어주는 일이 많다. 스포츠 낚시에서는 힘이 좋아서 인기 있는 낚시 대상어이다. 생선, 훈제, 냉동으로 판매된다. 생선회, 생선초밥, 구이, 국 등 등으로 이용한다.
제철은 가을이다. 살이 붉은 적색육 어류이다. 머리가 커서 가식부의 비율이 다소 적다. 비늘은 껍질에 파묻혀 떨어지지 않는다. 살은 힘줄이 많고 기름기가 별로 없다. 살은 담백하면서도 감칠맛이 있다. 등지느러미 아래의 근육은 맛이 매우 좋다. 살뿐만 아니라 밥통, 심장 등도 요리에 이용한다. 제철인 가을에는 살 전체에 지방분이 섞여 있어서 부드러우며, 지방의 단맛과 적당히 신맛이 어우러져 맛이 매우 좋다. 생선초밥, 소금구이, 튀김, 무니에르, 조림, 국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중남부, 제주도), 일본(동북 이남에서 큐우슈우 근해), 대만(근해) 등을 비롯하여 홍해, 인도양, 태평양의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지중해에도 분포하며, 이는 홍해에서 수에즈 운하를 통해 이입된 것이다.
► 비 고 : 인도-태평양돛새치(Istiophorus platypterus)는 오래 전부터 대서양에 분포하는 개체군과 같은 종으로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1990년에 일본의 어류학자 나카무라(Nakamura)는 대서양 개체군이 인도-태평양 개체군과 종이 다른 것으로 분류하고 대서양 개체군을 대서양돛새치(Atlantic sailfish, 학명 Istiophorus albicans)로 명명하여 분리하였다. 최근에 후자의 분류를 따르는 추세가 있다. 2018년 12월 현재로“fishbase. org”와 “FAO”가 대서양종과 인도-태평양 종을 구분해 놓고 있다. 그러나 이 분류는 불안정적이어서 언제 다시 뒤바뀔지 모른다. 동일종으로 보는 학자들은 Istiophorus albicans를 Istiophorus platypterus의 동종이명으로 취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