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치료적 맞춤운동, 비타미네, 영성 연구소
카페 가입하기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therapeutic exercise 스트레칭에 대한 탐구와 나눔(check by 김송준)
문형철 추천 2 조회 1,705 13.10.21 12:06 댓글 15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3.11.08 13:44

    3. 테크닉을 이용한 스트레칭1) MET(근에너지 기법)?-PIR AND RI 기법

    4. 근육의 Isolation을 기시종지의 정확한 스트레칭-관절의 rom과근육 islolation을 고려한 스트레칭

    5. 해부학 연결선을 이용한 기능적 스트레칭-해부학 연결선의 관점에서 기능적 스트레칭

    6.주의사항가장 중요한 것은 개개인에 맞게, 목적에 맞게 스트레칭 하는 것

  • 13.11.09 17:24

    09박한철
    1. 스트레칭의 핵심 : 근육기원성 ROM제한과 관절기원성 ROM제한을 구분하는 것

    2. 스트레칭의 정의
    ㅇ 피부 스트레칭 : Langer's line
    ㅇ 근막 스트레칭 : 근방추, 건막, 관절낭 등
    ㅇ 건막 MFR : lines alba, 골지건기관
    ㅇ 근육의 스트레칭 : 근육길이, 근섬유길이

    3. 스트레칭의 목적
    ㅇ 피부 : 적절한 점탄성 회복
    ㅇ 근막 : 적절한 길이를 가진 점탄성 회복
    ㅇ 건막 : 근-건 부착부의 점탄성과 구심기능 회복
    ㅇ 근육, 건 : 적절한 길이와 coupled force의 회복


  • 13.11.09 17:30

    4. 스트레칭 도구와 근육의 역할
    ㅇ 도구를 이용한 스트레칭 : 테니스공, 골프공, 스위스볼 등
    ㅇ 근육을 이용한 자가 스트레칭 : 정학한 기시종지, 해부학 연결선을 고려

    5. 테크닉을 이용한 스트레칭 : MET(근에너지 기법)

    6. 근육의 isolation을 고려한 정확한 스트레칭

    7. 주의사항
    ㅇ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목적에 맞게
    ㅇ 개인마다의 스트레칭 한계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핵심

  • 13.11.10 16:09

    스트레칭
    ROM의 제한을 근육기원-관절기원성으로 구분하는것이 중요.

    1.스트레칭의 정의
    무엇을 늘릴 것인가?
    피부- 근막 - 건막 - 근육으로 구분하여 결정.

    2.스트레칭 목적
    스트레칭 시행으로 무엇을 얻을것인가?
    -피부:피부 점탄성 및 정상스트레칭범위 회복
    -근막: 배열변화및 점탄성 회복, 적절한 길이 회복
    -건막: 골지텐던의 구심 기능 회복
    -근육,건:정상길이 회복, 점탄성,수축-이완기능,coupled force 회복, 근방추의 길이 인지/건의 장력인지 기능회복

  • 13.11.10 16:09


    3. 스트레칭 도구와 근육의 역할
    (1). 도구를 이용
    ->각종 공(테니스공 골프공 스위스볼...), 진동건, 체외충격파 등의 도구이용.
    한계가 명백

    (2). 근육을 이용
    자가 스트레칭으로, 기시종지 및 해부학연결선을 고려하여 시행해야 효과가 좋다

    4. 테크닉을 이용한 스트레칭
    MET(PIR AND RI기법)

    5. 근육 Isolation, 기시종지를 정확히 고려한 스트레칭
    관절 ROM도 마찬가지로 고려한다.

    6. 해부학 연결선을 이용한 기능적 스트레칭
    -자료 필요

    7. 주의사항
    개개인에 맞춰, 또한 목적에 맞게 스트레칭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14.02.04 00:54

    근육기원성 ROM 제한과 관절기원성 ROM 제한을 구분하는 것이 스트레칭의 핵심.
    스트레칭(stretching)과 유연성(Flexibility)
    유연성은 관절움직임(joint mobility)를 포함한 개념

    근육통증은 주요 의학적 문제임. 특이소견 없는 요통의 60~85%는 근육 기원성 통증임.
    근막통증후군으로 발생하는 통증은 대략 30%임.
    70~80세 여성의 7%가 섬유근막통 증후군으로 고통받고 있음.

    1. 스트레칭의 정의(무엇을 늘릴 것인가?)

    1) 피부 스트레칭
    2) 근막(fascia) 스트레칭
    3) 건막(aponeurosis) MFR
    4) 근육(muscle)의 스트레칭

    2. 스트레칭의 목적(무엇을 얻을 것인가?)

    # 적절한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ity) 회복
    # 근막의 배열변화

  • 14.02.04 00:54

    # 건막의 구심기능(golgi tendon organ)기능 회복
    # 적절한 길이(length-tension relationship) 회복
    # 적절한 짝힘(coupled force)의 회복
    # 근육의 수축-이완 기능회복
    # 근방추의 장력과 길이인지, 수축-이완기능 회복
    # 건의 장력인지 기능 회복


    3. 스트레칭 도구와 근육의 역할
    1) 도구를 이용한 스트레칭
    # 중력과 자세를 이용
    # 테니스공, 골프공, 스위스볼, 폼롤러 등
    # 진동건
    # 체외충격파
    # 도구를 이용한 스트레칭은 한계가 명백히 있음.

    2) 근육을 이용한 자가 스트레칭
    # 자가 스트레칭
    # 정확한 기시종지, 해부학연결선(기능적 연결선)을 고려한 자가스트레칭이 최고의 치료(by 김송준)

  • 14.02.04 00:55

    4. 테크닉을 이용한 스트레칭
    1) MET(근에너지 기법)


    7. 주의사항
    # 가장 중요한 것은 개개인에 맞게, 목적에 맞게 스트레칭 하는 것

    1) 스트레칭의 목적에 도달할때까지 시행
    2) 유해자극으로 느껴 반사성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도록 시행
    3초 3회 2세트
    3) 과도한 rom으로 hypermobie 관절이 되지 않도록 주의

  • 19.10.21 01:04

    스트레칭 핵심 개념.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