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성음크로마하프찬양협회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스크랩 로마자 표기법
강귀순 추천 0 조회 111 10.08.29 15:39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로마자 표기법

[Romanization]

 

국어의 경우, 그 특성상 많은 표기체계가 제안되어 무질서하게 쓰여왔다. 1980년대 초반까지도 공문서나 한글의 로마자화에는 지난 1959년 공포된 문교부안을 따르면서도 외국인 상대의 신문 ·잡지 등에서의 표기는 주로 1930년 고안된 매쿤-라이샤워 체계를 따름으로써 일원적이지 못한 실정이었으나 1978년부터 폭넓은 연구와 자문, 여론 수렴을 거쳐 1984년 문교부의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이 고시되었다. 2000년에 인터넷시대에 맞지 않는 반달표와 어깨점을 없애고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에게 편리한 방향으로 개정한 문화관광부안이 고시되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기존의 표기체계는 다음과 같다.

⑴ 매쿤-라이샤워 체계(McCune-Reischauer System):1930년 G.M.매쿤과 E.O.라이샤워가 고안한 표기체계로서 한글을 한 자 한 자 라틴 자모로 전사()하는 방법이 아니라, 한글이 발음될 때 겪는 활음적 변화(:euphonic change)를 고려하는 방법이다. 라틴 자모의 음가()는
일본어의 헵번식() 체계나 중국어웨이드-길즈식 체계와 같이 모음은 이탈리아음을, 자음은 영어음을 나타낸다. ㅓ를 ?로, ㅡ를 ?로 표시하는 미크론이라는 변별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위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음을 나타내는 자음은 각기 그 발음상의 음가에 따라 적도록 되어 있다(예:ㄱ→k, g, ng, ㄹ→r, l, n 등). 또한 유기음()에 아포스트로피(예:p’=ㅍ, t’=ㅌ)를 썼으며, 단어 내부의 보조구분을 위하여 하이픈(예:T?ksu-gung 덕수궁, Haein-sa 해인사 등)을 사용하였고, ‘애’와 ‘아에’가 혼동될 경우 전자를 ae로 후자를 a?로 표시하여 구별하게 하였다. J.하비가 마련한 표기체계는 미국 및 영국에서 널리 쓰인다.

람스테트의 방법:G.J.람스테트가 1939년 《한국어 문법 A Korean Grammar》에서 사용한 로마자화 방법이다.

⑶ 조선어학회안():
정인섭() ·이희승() ·정인승() 등이 중심이 되어 1941년 1월에 발표한 조선어학회안. 최현배() 등은 별도로 사안()을 가지고 있었으나 채택되지 않았다.

⑷ 예일 체계(The Yale System):S.E.마틴이 《한국어 형태음운론》에서 채택한 방식이며 마틴 체계라고도 한다.

⑸ 문교부안: 1984년 고시, 시행된 로마자
표기법이다. 1959년에 제정된 표기법이 1음운 1기호의 원칙이었던 데 대하여 표음주의()를 택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이에 따라서 독립문은 Doglibmun 대신 Tongnimmun으로 표기된다. 또 파열음 ·파찰음 및 모음 ㅓ와 ㅡ를 외국인의 실제 발음에 가깝게 조정하였다. 즉, ㄱ ·ㄷ ·ㅂ ·ㅈ은 k ·t ·p ·ch로 표기하되 유성음 사이에서만 g ·d ·b ·j로 표기하고, ㅋ ·ㅌ ·ㅍ ·ㅊ은 어깨점(’)을 사용, k’ ·t’ ·p’ ·ch’로 표기하며, 모음 ㅓ ·ㅡ는 반달표( ˘ )를 사용하여 ? ·?로 표기한다. 그 밖에 인명은 김정호(Kim Ch?ng-ho)와 같이 표기하고,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 등의 행정구역은 -do ·-shi ·-gun ·-gu ·?p ·-my?n ·-ri ·-dong으로 표기한다. 또 서울(Seoul)과 같은 관용표기를 인정하여, 인쇄 및 타이핑 때 부호( ˘ ·’ )의 부득이한 생략을 허용한다.

⑹ 문화관광부안:2000년 7월 고시, 시행된 현행 로마자 표기법이다. 이전 표기법과 비교할 때 가장 큰 차이는 인터넷과
정보화의 시대에 맞지 않는 반달표와 어깨점을 없앤 점이다.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고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원칙이지만 모음에서 ‘ㅢ’는 ‘ㅣ’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고 장모음의 표기는 따로 하지 않는다. 자음에서 파열음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k, t, p로 적는다. 동화작용, 구개음화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적으며,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고유 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고,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쓰며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 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붙여 쓰며 인명, 회사명, 단체명 등은 그동안 써온 표기를 쓸 수 있다.

 

 

 

로마자 표기법

 

제 1 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제 2 장   표기 일람
 제1항   모음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적는다.
 제2항   자음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적는다.

제 3 장   표기상의 유의점
 제1항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적는다.
 제2항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제3항   고유 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제4항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 ( )안의 표기를 허용함.)
 제5항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의 행정 구역 단위와 '가'는 각각 'do, si, gun, gu, eup, myeon, ri, dong, ga'로 적고, 그 앞에는 붙임표(-)를 넣는다.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제6항   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붙여 쓴다.
 제7항   인명, 회사명, 단체명 등은 그동안 써 온 표기를 쓸 수 있다.
 제8항   학술 연구 논문 등 특수 분야에서 한글 복원을 전제로 표기할 경우에는 한글 표기를 대상으로 적는다. 이때 글자 대응은 제2장을 따르되 'ㄱ, ㄷ, ㅂ, ㄹ'은 'g, d, b, l'로만 적는다. 음가 없는 'ㅇ'은 붙임표(-)로 표기하되 어두에서는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기타 분절의 필요가 있을 때에도 붙임표(-)를 쓴다.

부 칙
 1. (시행일)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2. (표지판 등에 대한 경과 조치) 이 표기법 시행 당시 종전의 표기법에 의하여 설치된 표지판(도로, 광고물, 문화재 등의 안내판)은 2005. 12. 31.까지 이 표기법을 따라야 한다.
 3. (출판물 등에 대한 경과 조치) 이 표기법 시행 당시 종전의 표기법에 의하여 발간된 교과서 등 출판물은 2002. 2. 28.까지 이 표기법을 따라야 한다.


 

 로마자 표기법 (개정판)

모음

국  어

l

변경전

a

o

o

u

u

i

ae

e

oe

ya

yo

yo

yu

yae

ye

wa

wae

wo

we

wi

ui

개정안

a

eo

o

u

eu

i

ae

e

oe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wi

ui

 

 

자음

국  어

변경전

k/g

kk

k'

t/d

tt

t'

p/b

pp

p'

ch/j

tch

ch'

s/sh

ss

h

m

n

ng

r/l

개정안

g/k

kk

k

d/t

tt

t

b/p

pp

p

j

jj

ch

s

ss

h

m

n

ng

r/l

 

국어의 새 로마자 표기의 용해 

 ㄱ ㄷ ㅂ ㅈ은 k t p. ch에서 g d b j로 통일

 부산 Pusan→Busan        대구 Taegu→Daegu

 단 ㄱ ㄷ ㅂ이 받침에 올 때에는 k t p로 표기

 곡성 Gokseong              무극 Mugeuk   

 ㅋ ㅌ ㅍ ㅊ은 k' t' p' ch'에서 k t p ch로 변경

 태안 T'aean→Taean         충주 Ch'ungju→Chungju

 ㅅ은 sh와 s에서 s로 통일

 신라 Shilla→Silla             실상사 Shilsangsa→Silsangsa

 발음상 혼동의 우려 있을 때 음절 사이에 붙임표 사용 허용

 중앙 Jung-ang

 성과 이름은 띄어쓰고 이름은 붙여쓰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 사용 허용

 송나리 Song Nari 또는 Song Na-ri

 김복남 Kim Boknam

 

ga
각 gak 간 gan 갈 gal 감 gam
갑 gap 갓 gat 강 gang 개 gae 객 gaek
거 geo 건 geon 걸 geol 검 geom 겁 geop
게 ge 겨 gyeo 격 gyeok 견 gyeon 결 gyeol
겸 gyeom 겹 gyeop 경 gyeong 계 gye 고 go
곡 gok 곤 gon 골 gol 곳 got 공 gong
곶 got 과 gwa 곽 gwak 관 gwan 괄 gwal
광 gwang 괘 gwae 괴 goe 굉 goeng 교 gyo
구 gu 국 guk 군 gun 굴 gul 굿 gut
궁 gung 권 gwon 궐 gwol 귀 gwi 규 gyu
균 gyun 귤 gyul 그 geu 극 geuk 근 geun
글 geul 금 geum 급 geup 긍 geung 기 gi
긴 gin 길 gil 김 gim 까 kka 깨 kkae
꼬 kko 꼭 kkok 꽃 kkot 꾀 kkoe 꾸 kku
꿈 kkum 끝 kkeut 끼 kki
나 na 낙 nak  
난 nan 날 nal 남 nam 납 nap 낭 nang
내 nae 냉 naeng 너 neo 널 neol 네 ne
녀 nyeo 녁 nyeok 년 nyeon 념 nyeom 녕 nyeong
노 no 녹 nok 논 non 놀 nol 농 nong
뇌 noe 누 nu 눈 nun 눌 nul 느 neu
늑 neuk 늠 neum 능 neung 늬 nui 니 ni
닉 nik 닌 nin 닐 nil 님 nim
다 da
단 dan 달 dal 담 dam 답 dap 당 dang
대 dae 댁 daek 더 deo 덕 deok 도 do
독 dok 돈 don 돌 dol 동 dong 돼 dwae
되 doe 된 doen 두 du 둑 duk 둔 dun
뒤 dwi 드 deu 득 deuk 들 deul 등 deung
디 di 따 tta 땅 ttang 때 ttae 또 tto
뚜 ttu 뚝 ttuk 뜨 tteu 띠 tti
라 ra
락 rak 란 ran 람 ram 랑 rang 래 rae
랭 raeng 량 ryang 렁 reong 레 re 려 ryeo
력 ryeok 련 ryeon 렬 ryeol 렴 ryeom 렵 ryeop
령 ryeong 례 rye 로 ro 록 rok 론 ron
롱 rong 뢰 roe 료 ryo 룡 ryong 루 ru
류 ryu 륙 ryuk 륜 ryun 률 ryul 륭 ryung
르 reu 륵 reuk 른 reun 름 reum 릉 reung
리 ri 린 rin 림 rim 립 rip
마 ma
막 mak 만 man 말 mal 망 mang 매 mae
맥 maek 맨 maen 맹 maeng 머 meo 먹 meok
메 me 며 myeo 멱 myeok 면 myeon 멸 myeol
명 myeong 모 mo 목 mok 몰 mol 못 mot
몽 mong 뫼 moe 묘 myo 무 mu 묵 muk
문 mun 물 mul 므 meu 미 mi 민 min
밀 mil
  바 ba
박 bak 반 ban 발 bal
밥 bap 방 bang 배 bae 백 baek 뱀 baem
버 beo 번 beon 벌 beol 범 beom 법 beop
벼 byeo 벽 byeok 변 byeon 별 byeol 병 byeong
보 bo 복 bok 본 bon 봉 bong 부 bu
북 buk 분 bun 불 bul 붕 bung 비 bi
빈 bin 빌 bil 빔 bim 빙 bing 빠 ppa
빼 ppae 뻐 ppeo 뽀 ppo 뿌 ppu 쁘 ppeu
삐 ppi
  사 sa
삭 sak 산 san 살 sal
삼 sam 삽 sap 상 sang 샅 sat 새 sae
색 saek 생 saeng 서 seo 석 seok 선 seon
설 seol 섬 seom 섭 seop 성 seong 세 se
셔 syeo 소 so 속 sok 손 son 솔 sol
솟 sot 송 song 쇄 swae 쇠 soe 수 su
숙 suk 순 sun 술 sul 숨 sum 숭 sung
쉬 swi 스 seu 슬 seul 슴 seum 습 seup
승 seung 시 si 식 sik 신 sin 실 sil
심 sim 십 sip 싱 sing 싸 ssa 쌍 ssang
쌔 ssae 쏘 sso 쑥 ssuk 씨 ssi
아 a
악 ak 안 an 알 al 암 am 압 ap
앙 ang 앞 ap 애 ae 액 aek 앵 aeng
야 ya 약 yak 얀 yan 양 yang 어 eo
억 eok 언 eon 얼 eol 엄 eom 업 eop
에 e 여 yeo 역 yeok 연 yeon 열 yeol
염 yeom 엽 yeop 영 yeong 예 ye 오 o
옥 ok 온 on 올 ol 옴 om 옹 ong
와 wa 완 wan 왈 wal 왕 wang 왜 wae
외 oe 왼 oen 요 yo 욕 yok 용 yong
우 u 욱 uk 운 un 울 ul 움 um
웅 ung 워 wo 원 won 월 wol 위 wi
유 yu 육 yuk 윤 yun 율 yul 융 yung
윷 yut 으 eu 은 eun 을 eul 음 eum
읍 eup 응 eung 의 ui 이 i 익 ik
인 in 일 il 임 im 입 ip 잉 ing
  자 ja
작 jak 잔 jan 잠 jam 잡 jap
장 jang 재 jae 쟁 jaeng 저 jeo 적 jeok
전 jeon 절 jeol 점 jeom 접 jeop 정 jeong
제 je 조 jo 족 jok 존 jon 졸 jol
종 jong 좌 jwa 죄 joe 주 ju 죽 juk
준 jun 줄 jul 중 jung 쥐 jwi 즈 jeu
즉 jeuk 즐 jeul 즘 jeum 즙 jeup 증 jeung
지 ji 직 jik 진 jin 질 jil 짐 jim
집 jip 징 jing 짜 jja 째 jjae 쪼 jjo
찌 jji
  차 cha
착 chak 찬 chan 찰 chal
참 cham 창 chang 채 chae 책 chaek 처 cheo
척 cheok 천 cheon 철 cheol 첨 cheom 첩 cheop
청 cheong 체 che 초 cho 촉 chok 촌 chon
총 chong 최 choe 추 chu 축 chuk 춘 chun
출 chul 춤 chum 충 chung 측 cheuk 층 cheung
치 chi 칙 chik 친 chin 칠 chil 침 chim
칩 chip 칭 ching
칩 chip 칭 ching
코 ko 쾌 kwae 크 keu 큰 keun 키 ki
타 ta 탁 tak
탄 tan  
탈 tal 탐 tam 탑 tap 탕 tang 태 tae
택 taek 탱 taeng 터 teo 테 te 토 to
톤 ton 톨 tol 통 tong 퇴 toe 투 tu
퉁 tung 튀 twi 트 teu 특 teuk 틈 teum
티 ti
  파 pa
판 pan 팔 pal 패 pae
팽 paeng 퍼 peo 페 pe 펴 pyeo 편 pyeon
폄 pyeom 평 pyeong 폐 pye 포 po 폭 pok
표 pyo 푸 pu 품 pum 풍 pung 프 peu
피 pi 픽 pik 필 pil 핍 pip
하 ha
학 hak 한 han 할 hal 함 ham 합 hap
항 hang 해 hae 핵 haek 행 haeng 향 hyang
허 heo 헌 heon 험 heom 헤 he 혀 hyeo
혁 hyeok 현 hyeon 혈 hyeol 혐 hyeom 협 hyeop
형 hyeong 혜 hye 호 ho 혹 hok 혼 hon
홀 hol 홉 hop 홍 hong 화 hwa 확 hwak
환 hwan 활 hwal 황 hwang 홰 hwae 횃 hwaet
회 hoe 획 hoek 횡 hoeng 효 hyo 후 hu
훈 hun 훤 hwon 훼 hwe 휘 hwi 휴 hyu
휼 hyul 흉 hyung 흐 heu 흑 heuk 흔 heun
흘 heul 흠 heum 흡 heup 흥 heung 희 hui
흰 huin 히 hi 힘 him

마찰음

폐에서 나온 공기가 구강의 좁아진 어느 한 부분에 마찰되면서 통과하며 나는 소리

 

조음위치에 따라 양순음(兩脣音) [Φ] [β ], 순치음(脣齒音) [f] [v], 치간음(齒間音)[θ] [ð] , 치경음(齒莖音) [s] [z], 구개치경음(口蓋齒莖音) [] [∫], 치경구개음(齒莖口蓋音) [] [], 연구개음(軟口蓋音) [x] [v], 성문음(聲聞音) [h] [] 등으로 나뉜다.

 

국어에서는 '훌륭하다' 등의 어두의 'ㅎ'이 [θ]으로 수의적으로 나타나고, '두부·부부' 등의 'ㅂ'이 [β]으로 수의적으로 나타난다.

 

현대국어에서 양순마찰음은 음운론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순치음은 국어에서 쓰이지 않으며, '시원하다·시커멓다' 등에서는 구개음화된 'ㅅ'[∫]이 쓰이고 '힘·효자·혀' 등에서 구개음화된 'ㅎ'[]이 쓰인다. 국어에서 마찰음은 음운론적으로는 /ㅅ/과 /ㅎ/ 둘뿐인데, 모두 2가지 음절의 끝소리로는 쓰이지 않는다.

 

파열음

폐쇄음(閉鎖音)·정지음(停止音)·터짐소리라고도 한다. 허파에서 나오는 날숨을 일단 막았다가 그 막았던 자리를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다. 국어의 파열음으로는 연구개음(軟口蓋音:ㄱ, ㄲ, ㅋ)·치음(齒音:ㄷ, ㄸ, ㅌ)·양순음(兩脣音:ㅂ, ㅃ, ㅍ)이 있다. 비강(鼻腔)으로 파열되는 ㆁ, ㄴ, ㅁ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파열음의 발음은 일반적으로 접촉·지속·개방의 3단계로 구분된다.

현대국어의 경우 음절말 위치에서는 개방의 단계가 필요하지 않다. 조음점(調音點) 위치에서 폐쇄된 상태에서 발음이 멈추어지므로 불파음(不破音)·미파음(未破音)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초.중. 종성이란 한 글자에서 나는 소리를 세 단계로 나눈 것입니다. 이중 초성과 종성은 자음으로만 쓰여지며,

중성은 모음 입니다. 초성은 한글의 자음 모두가 사용되며 종성은 [ㄱ ㅇ ㄷ ㄴ ㅂ ㅁ ㅅ ㄹ]여?자만 사용됩니다.

예를 들자면 [한]자의 경우 'ㅎ'은 초성 'ㅏ'는 중성 'ㄴ'은 종성인데 현재 국어에서는 종성이 없는 글자도 있습니다. [가]자의 경우 초성과 중성이 있지만 종성이 생략되었습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종성이 없는 경우라도 [옛이응]을 써서 글자의 모양을 갖추었습니다.

초성 :  한 음절에서, 처음으로 나는 소리.

중성 : 한국어의 음절 구성에 있어 가운데의 모음.

       가운뎃소리·속소리라고도 한다.

종성 : 국어에서 한 음정의 끝에 오는 자음 또는 그 자음에 대한 문자

 

 

....................

 

현행의 로마자 표기법은 조선어학회의 '외래어표기법 통일안'(1941) 부록 2에 수록된 '조선어음 라마자 표기법'(朝鮮語音羅馬字表記法), 교육부의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1959), 머큔과 라이샤워의 '머큔-라이샤워 표기법'(1939)을 수정·보완하여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1984)으로 제정·발표한 것이다.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모두 3장으로 되어 있다. 제1장 표기의 기본원칙은 국어의 표준발음에 따라 적는다는 것,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 1음운은 1기호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 등이 규정되어 있다.

제2장 표기일람은 구체적으로 국어의 음운과 그에 대응되는 로마자를 일람한 것이다. 이에 열거된 국어 음운과 로마자 표기의 기본대응은 다음과 같다.

① 모음:ㅏ(a), ㅓ(?), ㅗ(o), ㅜ(u), ㅡ(?), ㅣ(i), ㅐ(ae), ㅔ(e), ㅚ(oe), ㅑ(ya), ㅕ(y?), ㅛ(yo), ㅠ(yu), ㅒ(yae), ㅖ(ye), ㅢ(?i), ㅘ(wa), ㅝ(wo), ㅙ(wae), ㅞ(we), ㅟ(wi). ② 자음:ㄱ(k, g), ㄲ(kk), ㅋ(k'), ㄷ(t, d), ㄸ(tt), ㅌ(t'), ㅂ(p, b), ㅃ(pp), ㅍ(p'), ㅈ(ch, j), ㅉ(tch), ㅊ(ch'), ㅅ(s, sh), ㅆ(ss), ㅎ(h), ㅁ(m), ㄴ(n), ㅇ(ng), ㄹ(r, l).

모음에서는 이 대응형태로 표기하고 장단(長短)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자음에서 2개의 표기형이 있는 것은 외국인의 발음이 실제 우리의 발음과 비슷하게 되도록 배려한 것이다.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ㄴ, ㄹ, ㅁ, ㅇ'과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나는 'ㄱ, ㄷ, ㅂ, ㅈ'은 'g, d, b, j', '시'의 'ㅅ'은 'sh', 자음 앞이나 낱말의 끝에 나는 'ㄹ'은 'l', 'ㄹㄹ'은 'll'로 적는다.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은 표기시의 구체적 규정이다.
우선 음운의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나 형태소가 결합할 때 나타나는 된소리나 인명과 행정구역 단위명의 짧은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제외한다.


예를 들어 '냇물·풀잎·같이·국화·사건·사북면' 등은 'naenmul, p'ullip, kach'i, kuk'wa, sak?n, Sabukmy?n' 등으로 적는다. 짧은줄표(-)는 'ㅐ(ae), ㅇ(ng)'처럼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는 것의 경계를 나타내거나 인명에서 이름의 각 음을 구별하기 위해서, 행정구역 단위명과 거리의 명칭인 '가'와 그 앞의 행정구역명을 분리하는 데 쓰인다.

5음절 이상의 자연지물명·문화재명·인공축조물명은 낱말 사이에 이 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강·김복남·제주도·금동미륵보살반가상' 등은 'Han-gang, Kim Pok-nam, Cheju-do, K?mdong-mir?kposal-pan-gasang'으로 적는다.

고유명사는 첫소리를 대문자로 적는다.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으로 쓰되 띄어 쓴다.

한자식의 이름이 아닌 경우에는 이름에서 '-'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시·군·구·읍·면·리·동'의 행정구역 단위와 거리를 지칭하는 '가'는 각각 'do, shi, gun, gu, ?p, my?n, ri, dong, ga'로 고정시켜서 적는데, 그 앞에 '-'를 넣는다.

특별시·광역시·시·군·읍 등의 행정구역 단위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자연지물명·문화재명·인공축조물은 '-' 없이 붙여 쓴다.

국제관계 및 종래의 관습적 표기로 인해 갑자기 변경할 수 없는 것은 관례를 허용한다.

마지막으로 의미의 혼동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ˇ'와 '''은 생략할 수 있다.

이 표기법은 표음주의 원칙을 채택한 점, 모음 'ㅓ, ㅡ'와 파열음·파찰음을 외국인의 실제 발음에 가깝도록 한 점, 고유명사 표기 방식을 통일한 점, 예외적인 표기를 최소화한 점, 인쇄나 타자에 편리하도록 'ˇ,''의 생략을 허용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1992년 6월 컴퓨터 텔렉스 등 기계화 작업을 위한 로마자 표기법이 별도로 만들어져 쓰이고 있다

예시 
대관령(Daegwallyeong)
속리산(Songnisan)
합덕(Hapdeok)
오죽헌(Ojukheon)
합천(Hapcheon)
북악(Bugak)
곡릉(Gongneung)
집현전(Jiphyeonjeon)
팔당(Paldang)
일산(Ilsan)
속리산(Songnisan)
월곳(Wolgot)
별내(Byeollae)

 

 

 

정부의 한글 로마자 표기법

 

(1987. 10.)

 

 1987년 10월 정부의 한글 로마자 표기법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ya 

yo 

yo 

yu 

 

ae 

yae 

ye 

wa 

wae 

oe 

wo 

we 

wi 

?i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k,g 

t,d 

r,l 

p,b 

s,sh 

ng 

ch,j 

ch' 

k' 

t' 

p' 

 

kk 

tt 

pp 

ss 

tch 

 

 

 

붙임1> ‘ㄱ, ㄷ, ㅂ, ㅈ’이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ㄴ, ㄹ, ㅁ, ㅇ’과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소리날 때에는 각각 ‘g, d, b, j’로 적고 이 외에는 각각 ‘k, t, p, ch’로 적는다. 

 보기)  가구 kagu               바둑 paduk             갈비 kalbi  

        제주 Cheju              담배 tambae            받침 patch'im  

 

붙임2> ‘ㅅ’은 ‘시’의 경우에 ‘sh’로, 그 외에는 ‘s’로 적는다. 

 보기) 시루 shiru               신안 Shinan             신촌 Shinch'on  

        부산 Pusan              상표 sangp'yo           황소 hwangso  

 

붙임3>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적고, 자음 앞이나 낱말의 끝에서는 ‘l’로 ‘ㄹㄹ’은 ‘ll’로 적는다.  

 보기) 사랑 sarang             물건 mulg?n             발 pal  

        진달래 chindallae  

 

표기 상의 유의점 

제1항 음운변화가 일어날 때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적는다. 

 

1. 자음 사이에서 동화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보기)  냇물 naenmul            부엌문 puongmun        낚는다 nangnunda 

        닫는다 tannunda          갚는다 kamnunda         진리 chilli 

        심리 shimni              압력 amnyok            독립 tongnip 

 

2. ‘ㄴ, ㄹ’이 덧나는 경우 

 보기) 가랑잎 karangnip        낮일 nannil              담요 tamnyo 

        홑이불 honnibul          풀잎 pullip              물약 mullyak  

 

3. 구개음화가 되는 경우 

 보기) 굳이 kuji                해돋이 haedoji           같이 kach'i  

 

4. ‘ㄱ, ㄷ, ㅂ, ㅈ’이 ‘ㅎ’과 어울려 나는 소리 

 보기) 국화 kuk'wa             낳다 nat'a              밟히다 palp'ida  

        맞히다 mach'ida          

 

붙임> 형태소가 결합할 때 나타나는 된소리는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보기) 장기(長技) changki       사건 sakon              냇가 naetka  

        작두 chaktu             신다 shinta              산불 sanbul  

 

제2항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나, 기타 분절의 필요가 있을 때는 ‘-’(짧은 줄표)를 써서 따로 적는다. 

 보기)  장이 chang-i            잔기(殘期) chan-gi 

        물가에 mulka-e          종로에 Chongno-e 

 

붙임> 인명과 행정구역 단위명 표기에서 ‘-’(짧은 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동화작용은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보기) 김복남 Kim Pok-nam     사북면 Sabuk-myon 

 

제3항 고유명사는 첫소리를 대문자로 적는다. 

 보기) 인천 Inch'on             대구 Taegu              세종 Sejong  

 

제4항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쓰되 띄어쓰고, 이름 사이에는 ‘-’(짧은 줄표)를 넣는다. 

          다만, 한자 식의 이름이 아닌 경우에는(-)를 생략할 수 있다. 

 보기)  김정호 Kim Chong-ho            남궁동자 Namgung Tong-cha 

        손 미희자 Son Mi-hui-cha         정 마리아 Chong Maria 

        한 하나 Han Hana 

 

제5항 제2항 붙임>의 규정에 불구하고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의 행정구역 단위와 ‘가’는 각각 ‘do, shi, gun, gu, up, myon, ri, dong, ga’로 적고 그 앞에는 (-)(짧은 줄표)를 넣는다. 

 보기) 충청북도 Chungch'ongbuk-do     제주도 Cheju-do 

        의정부시 Uijongbu-shi             파주군 P'aju-gun 

        도봉구 Tobong-gu                 신창읍 Shinch'ang-up 

        주내면 Chunae-myon             인왕리 Inwang-ri 

        당산동 Tansan-dong              봉천2동 Pongch'on 2-dong 

        종로2가 Chongno 2-ga           퇴계로 5가 T'oegyero 5-ga 

 

붙임> 특별시, 직할시, 시, 군, 읍 등의 행정구역 단위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보기) 부산직할시 Pusan                  신창읍 Shinch'ang  

 

제6항 자연지물명,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 명은 (-) 없이 붙여쓴다. 

 보기) 남산 Namsan                    속리산 Songnisan 

        금강 Kumgang                   독도 Tokto 

        해운대 Haeundae                경복궁 Kyongbokkung 

        도산서원 Tosansowon             불국사 Pulguksa 

        현충사 Hyonch'ungsa             독립문 Tongnimmun 

        오죽헌 Ojuk'on                   촉석루 Ch'oksongnu 

        종묘 Chongmyo                  다보탑 Tabot'ap 

        무량수전 Muryangsujon           연화교 Yonhwagyo 

        극락전 Kungnakchon             석굴암 Sokkuram  

        안압지 Anapchi                  남한산성 Namhansansong 

 

붙임> 5음절 이상일 경우에는 낱말 사이에 (-)를 쓸 수 있다. 

 보기)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Kumdong-mirukposal-pan-gasang 

 

제7항 고유명사의 표기는 국제 관계 및 종래의 관습적 표기를 고려해서 갑자기 변경할 수 없는 것에 한하여 다음과 같이 적는 것을 허용한다. 

 보기) 서울 Seoul                      이순신 Yi Sun-shin 

        이화 Ewha                      연세 Yonsei 

        이승만 Sungman Rhee 

 

제8항 인쇄나 타자의 어려움이 있을 때에는 의미의 혼동을 초래하지 않을 경우 ˘˘o, u, yo, ui, 등의 ‘˘'(반달표)와 k', t', p', ch' 등의 (')(어깨점)을 생략할 수 있다.

 

 

 

  파열음 [편집]

한글 자모 로마자
(초·종성, 모음이 뒤에 올 때)
로마자
(종성, 모음이 뒤에 오지 않을 때)
g k
kk k
k k
d t
tt -
t t
b p
pp -
p p

파찰음 [편집]

한글 자모 로마자
(초·종성, 모음 앞)
로마자
(종성, 모음 앞이 아닐 때)
j t
jj -
ch t

마찰음 [편집]

한글자모 로마자
(초·종성, 모음 앞)
로마자
(종성, 모음 앞이 아닐 때)
s t
ss t
h h

비음 [편집]

한글 자모 로마자
첫소리
로마자
종성, 모음 앞
로마자
종성, 모음 앞이 아닐 때
n n n
m m m
(없음) ng ng

유음 [편집]

한글 자모 로마자
초성
로마자
종성
r l

  •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예) 선릉역 (Seolleung Station)

모음 [편집]

단모음 [편집]

한글 자모 로마자
a
eo
o
u
eu
i
ae
e
oe
wi

이중모음 [편집]

한글 모음 로마자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편집]

  • 대한민국: Daehanminguk
  • 서울특별시: Seoulteukbyeolsi (Seoul City)
  • 송파구: Sonpa-gu
  • 잠실동: Jamsil-dong

(주소를 써야할 경우 지명과 명칭을 -로 분리해야한다.)

  • 대관령: Daegwallyeong
  • 속리산: Songnisan
  • 안녕하세요: Annyeonghaseyo 

 
다음검색
댓글
  • 10.09.15 01:19

    첫댓글 헷갈리기 쉬운 것을 필요할 때 찿아볼 수 있도록 이렇게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