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의대 교수평의회는 24일 성명서를 내고 정부는 전공의와 학생에 대한 비민주적인 탄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또 집단 사직한 전공의에게 처벌이 있을 때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집단행동 가능성도 시사했다. 교수평의회는 전체 교수들의 대의 기구다.
연세대 의대 교수평의회는 임상 경험이 전무한 자칭 의료 전문가들에 의한 탁상공론이 대한민국의 의료를 곪아가게 하고 있다면서, 이들은 정부가 이달 발표한 의대 증원 정책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대해 의료 정책을 대하는 기존 정부들과 궤를 같이하는 정치적인 쇼라며 필수 의료 분야에서 묵묵히 종사하는 임상 의사가 보기에 필수 의료를 살리기 위한 정책과 무관한 탁상공론의 나열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정부에 ▶임상 의료 전문가 의견을 충실히 반영한 제도 원점 수립 ▶2000명 증원 결정 근거 공개와 전면 재검토 ▶전공의·의대생에 대한 사찰·협박 중단을 요구했다. 이어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여건을 무시한 증원 정책은 함량 미달 의사를 양산하는 원인이 될 것이라며 의대 교수로서 정부의 막무가내식 증원 정책을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 제자들에 대한 부당한 처벌이 현실화하면 스승으로서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병원을 떠난 전공의에 대한 처벌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의대 교수들의 움직임은 잇따르고 있다.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현 의료 비상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정부뿐 아니라 의사단체 등과도 대화하며 적극적으로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정부가 2000명 증원에 너무 매달리고 있다며 피교육자인 전공의가 사직하고 학생이 휴학하는 비상사태는 정부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지난 23일 성명을 내고 “이번 주말이 골든타임”이라며 정부의 납득할 만한 조치가 없다면 전공의들과 함께 행동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제한적으로 돌아가는 병원 진료가 이대로 간다면 열흘도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국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19일 기자회견을 열고 “2000명이란 수치는 전국의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 여건을 고려할 때 단기간에 수용하기에 불가능한 숫자라고 주장했다. KAMC는 적당한 증원 규모로 2000년 의약분업 때 줄어들었던 350명 정도가 적절하다고 밝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