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염화실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 좋은글(스크랩)모음 스크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9월 11일 후기/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16)
관문 추천 0 조회 27 14.09.12 12:28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9월 11일 후기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16)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9월 11일 후기.hwp

 

서울경기강원지역방 3089번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3089

의 후속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열여섯 번째로 읽었습니다. 오늘 불서읽기에는 루카 법우, 줄리아 법우, 환희장엄 법우, 저 관문 이렇게 4명이 참석했습니다.

오늘도 지난번에 모였던 장소 ‘Cafe 57th’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곳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와 80 미터 가량 직진하신 후 풍문여고를 오른 쪽에 끼고 돌아서 약 60 미터 가면 보이는 곳입니다. 모이는 때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교재 <The Dalai Lama and Howard C. Cutler, The Art of Happiness> Part III Transforming Suffering: CHAPTER 9 Self-Created Suffering을 읽었습니다. 관문이 가지고 있는 책으로 152페이지 10째 줄부터 160페이지 8째 줄까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읽는 동안의 후기는 영어와 저희가 시도해 본 번역을 올리겠습니다. 번역본으로 <달라이 라마 & 하워드 커틀러/류시화 옮김,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김영사> 를 가끔씩 참고하겠습니다.

                         

                                         PART III Transforming Suffering

                                  제3부 고통을 전환하기

 

CHAPTER 9 Self-Created Suffering

제9장 스스로 만든 고통

 

“We also often add to our pain and suffering by being overly sensitive, overreacting to minor things, and sometimes taking things too personally . . . ” With these words, the Dalai Lama recognizes the origin of many of the day-to-day aggravations that can add up to be a major source of suffering. Therapists sometimes call this process personalizing our pain -- the tendency to narrow our psychological field of vision by interpreting or misinterpreting everything that occurs in terms of its impact on us.

“우리는 또한 종종 지나치게 민감하고, 사소한 일에 과민반응을 하고, 때때로 너무 자신만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생각함으로써 우리의 아픔과 고통을 더합니다. . . ”

이 말로써 존자님은 고통의 주요한 원인에 더해질 수 있는 날마다의 많은 악화시키는 일의 기원을 인정하고 있다. 심리치료전문가들은 이 과정을 고통의 개인화라고 부른다. 그것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에만 신경을 곤두세운 채 모든 일을 이해하거나 오해함으로써 심리적으로 시각을 좁혀나가는 경향을 말한다.

 

One night I had dinner with a colleague at a restaurant. The service at the restaurant turned out to be very slow, and from the time we sat down, my colleague began to complain: “Look at that! That waiter is so damn slow! Where is he? I think he’s purposely ignoring us!”

어느 날 저녁 나는 음식점에서 친구와 함께 저녁을 먹었다. 알고 보니 그 음식점은 손님에 대한 서비스가 아주 느렸다. 자리에 앉는 순간부터 내 친구는 불평을 터뜨리기 시작했다.

“이거 보라구! 웨이터가 이렇게 꾸물거려도 되는 거야! 도대체 어디에 처박혀 있는 거야? 일부러 우리를 무시하고 있는 게 분명하다구!”

 

Although neither of us had pressing engagements, my colleague’s complaints about the slow service continued to escalate throughout the meal and expanded into a litany of complaints about the food, tableware, and anything else that was not to his liking. At the end of the meal, the waiter presented us with two free desserts, explaining, “I apologize for the slow service this evening,” he said sincerely, “but we’re a little understaffed. one of the cooks had a death in the family and is off tonight, and one of the servers called in sick at the last minute. I hope it didn’t inconvenience you . . .”

우리 두 사람은 급한 약속이 없었지만, 친구는 처음에 서비스가 늦다고 불평을 하더니 식사를 하면서도 음식, 식기 그리고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모든 것에 대해 끊임없이 불평을 터뜨렸다. 식사가 끝날 무렵에 웨이터는 우리에게 무료로 디저트를 가져다주면서 그날 식당의 사정을 설명했다. 그는 진심으로 말했다.

“오늘 저녁 서비스가 늦은 것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오늘 저희 식당에는 일할 사람이 부족하거든요. 요리사 한 명은 가족 중에 돌아가신 분이 있어서 나오지 않았고, 웨이터 한 명은 조금 전에 몸이 아파서 못 나오겠다고 집에서 전화를 했습니다. 이로 인해 두 분에게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I’m still never coming here again,” my colleague muttered bitterly under his breath as the waiter walked off.

“그래도 난 다시는 여기 오지 않을 거야.”

말을 마치고 돌아가는 웨이터의 등에 대고 내 친구가 심술궂은 목소리로 중얼거렸다.

 

This is only a minor illustration of how we contribute to our own suffering by personalizing every annoying situation, as if it were being intentionally perpetrated on us. In this case, the net result was only a ruined meal, an hour of aggravation. But when this kind of thinking becomes a pervasive pattern of relating to the world and extends to every comment made by our family or friends, or even events in society at large, it can become a significant source of our misery.

이 일은 짜증스런 상황을 자신만이 겪고 있다고 생각함으로써 스스로 고통의 원인을 제공하는 작은 예에 불과하다. 이것은 마치 의도적으로 스스로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과 같다. 우리의 경우에 남은 결과는 단지 식사를 망치고 한 시간 동안 분통을 터뜨린 것뿐이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가족과 친구들도 점점 이렇게 말을 하고, 심지어 사회 전반으로 이런 경향이 확대된다면, 그것은 우리 모두를 비참하게 만드는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wider implications of this kind of narrow thinking, Jacques Lusseyran once made an insightful observation. Lusseyran, blind from the age of eight, was a founder of a resistance group in World War II. Eventually, he was captured by the Germans and imprisoned in Buchenwald concentration camp. In later recounting his experiences in the camps, Lusseyran stated, “. . . Unhappiness, I saw then, comes to each of us because we think ourselves at the center of the world, because we have the miserable conviction that we alone suffer to the point of unbearable intensity. Unhappiness is always to feel oneself imprisoned in one’s own skin, in one’s own brain.”

이런 편협한 생각이 좀 더 폭넓은 것을 암시하다고 하면서, 자크 뤼세랑은 통찰력 있는 자신의 생각을 보여주었다. 여덟 살 때부터 앞을 보지 못했던 뤼세랑은 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에 저항하는 레지스탕스 그룹을 조직했다. 결국 그는 독일인에게 붙잡혀 부헨발트 집단 수용소에 갇혔다. 나중에 수용에서 겪은 일들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면서 뤼세랑은 말했다.

“당시의 경험을 통해 나는 우리가 불행을 느끼는 이유는 스스로를 세상의 중심에 놓고, 자신만 침을 수 없는 고통을 겪는다는 비참한 확신을 갖고 있기 때문임을 알았다. 자신의 몸 안에, 또는 머릿속에 갇혀 있는 사람은 언제나 불행할 수밖에 없다.”

 

“But It’s Not Fair!”

“하지만 그건 불공평해!”

 

In our daily lives, problems invariably arise. But problems themselves do not automatically cause suffering. If we can directly address our problem and focus our energies on finding a solution, for instance, the problem can be transformed into a challenge. If we throw into the mix, however, a feeling that our problem is “unfair,” we add an additional ingredient that can become a powerful fuel in creating mental unrest and emotional suffering. And now we not only have two problems instead of one, but that feeling of “unfairness” distracts us, consumes us, and robs us of the energy needed to solve the original problem.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문제는 늘 일어나게 마련이다. 하지만 문제가 저절로 고통을 일으키는 건 아니다. 우리가 문제에 달려들어 관심을 기울이고 해답을 찾는 데 온 힘을 기울인다면, 문제는 하나의 도전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자신에게 문제가 생긴 것이 불공평하다는 느낌을 갖고 있다면, 그것은 불안감과 고통스러운 감정을 일으키는 강력한 자극제가 될 것이다. 그러면 이제 우리가 하나가 아닌 두 가지 문제를 떠안게 될 뿐 아니라, 그 불공평한 느낌이 우리의 정신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우리의 마음을 소진시켜 원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빼앗아갈 것이다.

 

Raising this issue with the Dalai Lama one morning, I asked, “How can we deal with the feeling of unfairness that so often seems to torture us when problems arise?”

어느 날 아침 나는 이 문제를 제기하면서 존자님에게 물었다.

“문제가 일어날 때면 우리는 그런 상황이 불공평하다고 느끼면서 고통스러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감정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The Dalai Lama replied, “There may be a variety of ways that one might deal with the feeling that one’s suffering is unfair. I’ve already spoken of the importance of accepting suffering as a natural fact of human existence. And I think that in some ways Tibetans might be in a better position to accept the reality of these difficult situations, because they will say, ‘Maybe it is because of my Karma in the past.’ They will attribute it to negative actions committed in either this or a previous life, and so there is a greater degree of acceptance.

존자님이 대답했다.

“자기의 고통이 불공평하다는 느낌에 대처하는 방법은 아주 다양할 겁니다. 나는 앞에서 고통을 인간 존재의 자연스러운 사실로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티벳인들이 이러한 어려운 상황의 진실을 받아들이기에 더 나은 위치에 있을 거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내가 이런 고통을 당하는 것은 아마도 전생의 나의 업(業) 때문일 거야.’라고 말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자신의 고통을 현생이나 전생에서 자신이 저지른 부정적인 행동 탓으로 돌릴 것이고, 따라서 그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고통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I have seen some families in our settlements in India, with very difficult situations ? living under very poor conditions, and on top of that having children with both eyes blind or sometimes retarded. And somehow these poor ladies still manage to look after them, simply saying, ‘This is due to their Karma; it is their fate.’

“나는 우리 티벳인들의 인도 정착지에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몇몇 가족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들은 매우 가난한 조건에서 살고 있었는데, 게다가 두 눈이 멀고 때로는 정신박약 증세까지 보이는 아이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쨌든 이 가난한 엄마들은 ‘이것은 이 아이들의 업 때문이지요. 아이들의 운명입니다.’라고 말하면서 그런대로 그 아이들을 돌봅니다.

 

“In mentioning Karma, here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and understand that sometimes due to one’s mis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Karma, there is a tendency to blame everything on Karma and try to exonerate oneself from the responsibility or from the need to take personal initiative. one could quite easily say, ‘This is due to my past Karma, my negative past Karma, and what can I do? I am helpless.’

“업에 대해 말할 때 반드시 지적하고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습니다. 때로 사람들은 업의 원리를 잘못 알아서 모든 것을 업 탓으로 돌리면서 책임을 회피하려고 하거나, 개인적인 결단을 내릴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들은 아주 쉽게 ‘이것은 내 과거의 업, 나의 부정적인 과거의 업 때문이야. 내가 무얼 할 수 있겠어? 난 구제불능이야.’라고 말합니다.

 

“This is a totally wrong understanding of Karma, because although one’s experiences are a consequence of one’s past deeds, that does not mean that the individual has no choice or that there is no room for initiative to change,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 And this is the same in all areas of life. one should not become passive and try to excuse oneself from having to take personal initiative on the grounds that everything is a result of Karma. Because if one understands, the concept of Karma properly, one will understand that Karma means ‘action.’ Karma is a very active process.

“이것은 업을 완전히 잘못 이해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람의 경험은 과거의 행위의 결과라 할지라도, 그것이 그에게 선택의 여지가 없거나,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할 여지가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똑같이 적용됩니다. 우리는 수동적이 되어서는 안 되며 모든 것이 업의 결과라고 해서 개인적인 결단을 내리는 것을 회피해서도 안 됩니다. 왜냐하면 업의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면, 업이 ‘행동’을 의미한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업은 매우 능동적인 과정입니다.

 

“And when we talk of Karma, or action, it is the very action committed by an agent, in this case ourselves, in the past. So what type of future will come about, to a large extent, lies within our own hands in the present. It will be determined by the kind of initiatives that we take now.

“우리가 업, 즉 행동에 대해 말할 때, 그것은 행위자, 이 경우에는 우리 자신이 과거에 한 바로 그 행동을 말하는 겁니다. 따라서 어떤 미래가 펼쳐질 것인가는 광범위하게 현재의 우리 자신의 손안에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지금 취하는 결단의 종류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So, Karma should 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a passive, static kind of force, but rather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an active process.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n important role for the individual agent to play in determining the course of the Karmic process. For instance, even a simple act or a simple purpose, like fulfilling our needs for food . . . In order to achieve that simple goal, we need an action on the part of ourselves. We need to look for food, and then we need to eat it; this shows that even for the simplest act, even a simple goal is achieved through action . . .”

“그러므로 업을 수동적이고 정적인 힘의 관점에서 이해해서는 안 됩니다. 오히려 능동적인 과정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이것은 업과 연관된 과정을 결정하는 데 개인 행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음식을 먹을 욕구를 채우는 것 같은 아주 단순한 행위 또는 단순한 목적조차도. . . 그 단순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우리는 자신 스스로 행동을 필요로 합니다. 우리는 음식을 찾아야 하고, 그것을 먹어야 합니다. 이것은 단순한 행동조차, 단순한 목표조차도 행동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Well, reducing the feeling of unfairness by accepting that it is a result of one’s Karma may be effective for Buddhists,” I interjected. “But what about those who don’t believe in the doctrine of Karma? Many in the West for instance . . .”

내가 끼어들었다.

“불공평이 업의 결과라는 것을 받아들임으로써 불공평의 감정을 줄이는 것은 불교도들에게는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업의 원리를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어떻게 합니까? 예를 들어 많은 서양인들은 . . .”

 

“People who believe in the idea of a Creator, of God, may accept these difficult circumstances more easily by viewing them as part of God’s creation or plan. They may feel that even though the situation appears to be very negative, God is all powerful and very merciful, so there may be some meaning, some significance, behind the situation that they may not be aware of. I think that kind of faith can sustain and help them during their times of suffering.”

“창조주, 신의 개념을 믿는 사람들은 이 어려운 상황을 신의 창조 혹은 섭리의 부분으로 봄으로써 더 쉽게 받아들일 것입니다. 그들은 상황이 매우 부정적으로 보이더라도 신은 전지전능하며 자비롭기 때문에 그들이 알아차리지 못하는 상황 뒤에 어떤 의미, 어떤 종요성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느낄 것입니다. 내 생각으로는 그런 믿음이 그들이 고통을 당하는 동안 그들을 격려하고 도와줄 수 있을 겁니다.”

 

“And what about those who don’t believe in either the doctrine of Karma or the idea of a Creator God?”

내가 말했다.

“그러면 업의 원리나 창조주 신 어느 것도 믿지 않는 사람들은 어떻지요?”

 

“For a nonbeliever . . . ,” the Dalai Lama pondered for several moments before responding, “. . . perhaps a practical, scientific approach could help. I think that scientists usually consider it very important to look at a problem objectively, to study it without much emotional involvement. With this kind of approach, you can look at the problem with the attitude of, ‘If there’s a way to fight the problem, then fight, even if you have to go to court!’” He laughed. “Then, if you find that there’s no way to win, you can simply forget about it.

존자님은 잠시 곰곰이 생각한 후에 대답했다.

“신앙이 없는 사람들이라. . . , 아마도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방법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대개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감정의 개입이 없이 문제를 연구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고 생각합니다. 존자님은 웃으며 말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당신은 문제를 ‘법정에 가야하더라도, 문제와 싸울 방법이 있으면 싸우고, 이길 승산이 없으면 그저 잊어버려라.’하는 태도로 바라볼 수 있을 겁니다.

 

“An objective analysis of difficult or problematic situations can be quite important, because with this approach you’ll often discover that behind the scenes there may be other factors at play. For instance, if you feel that you’re being treated unfairly by your boss at work, there may be other factors at play; he may be annoyed by something else, an argument with his wife that morning or something, and his behavior may have nothing to do with you personally, may not be specifically directed at you. Of course, you must still face whatever the situation may be, but at least with this approach you may not have the additional anxiety that would come along with it.”

“어려운 혹은 문제가 되는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은 아주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런 방법으로 당신은 종종 장면 뒤에 다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당신이 직장 상사에게 부당하게 대우받고 있다고 느낄 때, 다른 요인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상사가 다른 일로 짜증이 나 있을 수도 있고, 그 날 아침에 부인과 말다툼을 했을 수도 있고, 등등. 그리고 상사의 행동은 당신과는 개인적으로 아무런 관계도 없을 수도 있고, 특별히 당신을 겨냥한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물론, 당신은 여전히 어떤 상황이라도 맞서야 하지만, 적어도 이 방법으로 당신은 따라오는 부가적인 불안은 겪지 않을 것입니다.”

 

“Could this kind of ‘scientific’ approach, in which one objectively analyzes a situation, also possibly help one to discover ways in which oneself may be contributing to the problem? And could that help reduce the feeling of unfairness associated with the difficult situation?”

내가 물었다.

“이러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과학적인’ 방법이 자신이 스스로 만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을 발견하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요? 또 그 어려운 상황과 연관된 불공평의 감정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까요?”

 

“Yes!” he responded enthusiastically. “That would definitely make a difference. In general, if we carefully examine any given situation in a very unbiased and honest way, we will realize that to a large extent we are also responsible for the unfolding of events.

존자님이 열정적으로 대답했다.

“물론입니다! 분명히 차이가 나타날 겁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주어진 상황을 편견 없이 정직한 방식으로 주의 깊게 살펴보면, 사건의 전개에 우리도 상당 부분 책임이 있다는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For instance, many people blamed the Gulf War on Saddam Hussein. Afterwards, on various occasions I expressed, ‘That’s not fair!‘ Under such circumstances, I really feel kind of sorry for Saddam Hussein. Of course, he is a dictator, and of course, there are many other bad things about him. If you look at the situation roughly, it’s easy to place all the blame on him -- he’s a dictator, totalitarian, and even his eyes look a little bit frightening!” He laughed. “But without his army his capacity to harm is limited, and without military equipment that powerful army cannot function. All this military equipment is not produced by itself from thin air! So, when we look at it like that, many nations are involved.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걸프전의 책임을 사담 후세인에게 돌립니다. 나중에 여러 자리에서 나는 ‘그건 불공평하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런 상황 아래서, 나는 정말 사담 후세인이 좀 가엾게 느껴집니다. 물론 그는 독재자이고, 그에게 많은 다른 나쁜 면들이 있습니다. 사태를 대충 바라보면, 그에게 모든 탓을 돌리기 쉽습니다. 그는 독재자에 전체주의자에 심지어 그의 눈빛은 좀 무섭기까지 하지요!” 존자님이 웃었다. “하지만 그의 군대가 없이는 그의 가 해 능력이 제한될 것이고, 군사장비가 없다면 그 강력한 군대도 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 이 모든 군사장비는 난데없이 저절로 생산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우리가 그런 식으로 바라볼 때, 많은 국가들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So,” the Dalai Lama continued, “often our normal tendency is to try to blame our problems on others, on external factors. Furthermore, we tend to look for one single cause, and then try to exonerate ourselves from the responsibility. It seems that whenever there are intense emotions involved, there tends to be a disparity between how things appear and how they really are. In this case if you go further and analyze the situation very carefully, you’ll see that Saddam Hussein is part of the source of the problem, one of the factors, but there are other contributing conditions as well. once you realize this, your earlier attitude that he is the only cause automatically falls away and the reality of the situation emerges.

존자님은 계속해서 말했다.

“그러니까 흔히 우리는 우리 문제를 다른 사람, 외부 요인 탓으로 돌리려는 경향이 일반적으로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는 단 하나의 원인을 찾아서는 우리 자신은 책임을 회피하려고 듭니다. 강렬한 감정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는 언제나 일이 어떻게 보이느냐와 실제로 어떠한지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이 경우에는 더 자세히 들어가서 상황을 주도면밀하게 분석해 보면, 사담 후세인은 문제의 근원의 일부이고, 한 가지 요인이지만, 다른 조건들도 또한 사태 악화에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일단 이 사실을 깨달으면, 당신의 종전의 후세인이 유일한 원인이라는 태도는 없어지고 상황의 진면목이 나타납니다.

 

“This practice involves looking at things in a holistic way -- realizing that there are many events contributing to a situation. For example, our problem with the Chinese -- again, there is much contribution made by ourselves. I think perhaps our generation may have contributed to the situation, but definitely our previous generations I think were very negligent, at least a few generations back. So I think we, as Tibetans, contributed to this tragic situation. It’s not fair to blame everything on China. But there are so many levels.

“이런 실천에는 사물을 전체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포함됩니다. 즉 하나의 상황에 원인이 되고 있는 많은 사건이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중국과의 우리의 문제를 보면, 역시 우리 티벳인들에 의해 야기된 것이 있습니다. 아마도 우리 세대가 상황의 원인이 되었을 수도 있고, 분명히 우리 전 세대들이, 적어도 2, 3대 전 세대들이 매우 부주의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 티벳인들도 이 비극적 상황에 원인을 제공한 것입니다. 모든 것을 중 국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공평하지 못 합니다. 하지만 상황에는 너무도 많은 수준이 있습니다.

 

“Of course, although we might be a contributing factor to a situation, that doesn’t mean we are solely to blame. For example, Tibetans have never completely bowed down to Chinese oppression; there has been continued resistance. Because of this the Chinese developed a new policy -- transferring large masses of Chinese to Tibet so that the Tibetan population becomes insignificant, the Tibetans displaced, and the movement for freedom cannot be effective. In this case we cannot say that the Tibetan resistance is to blame or is responsible for the Chinese policy.”

“물론 우리가 어떤 상황에 원인 제공자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우리만이 비난받아야 함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면 티벳인들은 한 번도 중국의 압제에 완전히 굴복한 적이 없습니다. 끊임없는 저항이 있었지요. 이것 때문에 중국인들은 새로운 정책을 펼쳤습니다. 많은 중국인들을 티벳으로 이주시켜서 티벳인 인구가 의미가 없어졌고, 티벳인을 다른 곳으로 보내버렸습니다. 그래서 자유를 위한 운동도 효과를 볼 수가 없게 되었지요. 이 경우 우리는 티벳인의 저항이 비난받아야 한다든가 중국의 정책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When you are looking for your own contribution to a situation, what about those situations that clearly aren’t your own fault, that you have nothing to do with, even relatively insignificant everyday situations, such as when someone intentionally lies to you?” I asked.

내가 물었다.

“존자님 자신이 상황에 원인 제공 역할을 한 것을 찾고 있을 때, 누군가가 고의적으로 존자님에게 거짓말을 할 때처럼, 틀림없이 존자님 자신의 잘못이 아니고, 존자님과 아무 관계가 없고, 심지어 비교적 의미 없는 일상적 상황에 대해서는 어떻게 하겠습니까?”

 

“Of course, I may initially feel a sense of disappointment when somebody isn’t truthful, but even here, if I examine the situation, I might discover that in fact their motive for hiding something from me may not be the result of a bad motive. It may be that they simply have a certain lack of confidence in me. So sometimes when I feel disappointed by these kinds of incidents, then I try to look at them from another angle. I’ll think that maybe the person did not want to fully confide in me because I won’t be able to keep it secret. My nature usually tends to be quite straightforward, so because of this this person might have decided that I’m not the right person who can keep secrets, that I may not be able to keep secrets as many people would expect. In other words, I am not worthy of the person’s full trust because of my personal nature. So, looking at it in that way, I would consider the cause to be due to my own fault.”

“물론 처음에는 누군가가 성실하지 않을 때 실망감을 느낄 겁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황을 잘 살펴보면, 사실 그들이 나에게 무엇인가를 숨기려 하는 동기는 나쁜 동기의 결과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것을 발견할 것입니다. 그것은 단지 그들이 나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때때로 이런 종류의 일로 실망할 때, 나는 다른 각도에서 그 일을 바라보려고 노력합니다. 아마도 내가 비밀을 지키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그 사람은 나에게 완전히 털어놓기를 원하지 않은 거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내 천성이 대개 아주 솔직담백할 때가 많아서 이것 때문에 이 사람은 내가 비밀을 지킬 수 있는 적당한 인물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겁니다. 나는 많은 사람들이 기대한 것만큼 비밀을 못 지킨다고 생각한 거죠. 다시 말하자면, 나는 내 개인적인 천성 때문에 그 사람의 완전한 신뢰를 받을 가치가 없는 것입니다. 사태를 그 런 식으로 보기 때문에, 나는 원인이 내 자신의 잘못 때문이라고 여길 것입니다.”

 

Even coming from the Dalai Lama, this rationale seemed like a bit of a stretch -- finding “your own contribution” to another’s dishonesty. But there was a genuine sincerity in his voice as he spoke, which suggested that in fact this was a technique he had used to practical advantage in his personal life to help deal with adversity. In applying this technique in our own lives, of course, we might not always be so successful in finding our own contribution to a problematic situation.

존자님에게서 나온 것이기는 하지만, 다른 사람의 부정직함에 “당신 자신이 원인을 제공”한 것을 발견하라는 이 논리적 근거는 다소 견강부회(牽强附會)처럼 보였다. 하지만 존자님이 말할 때 그의 목소리에는 순수한 진지함이 묻어 있었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나는 존자님이 자신의 삶 속에서 만나는 어려운 상황에 대처할 때 실제로 그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기술을 우리 삶에 적용할 때 우리는 물론 문제가 되는 상황 속에서 자신이 제공한 원인을 항상 발견할 수는 없을 것이다.

 

But whether we are successful or not, even the honest attempt to search for our own contribution to a problem allows a certain shift of focus that helps to break through the narrow patterns of thinking that lead to the destructive feeling of unfairness which is the source of so much discontent in ourselves and in the world.

하지만 우리가 그것에 성공하든 못하든 어떤 문제에 자신이 제공한 원인을 찾으려는 정직한 시도는 우리의 시각을 변화시켜 오로지 남을 비난하려는 편협한 사고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해 커다란 불만을 품게 만드는 불공평한 느낌도 서서히 사라질 것이다.

 

 
다음검색
댓글
  • 14.09.12 20:16

    첫댓글 고맙습니다. _()_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