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염화실
 
 
 
카페 게시글
*** 좋은글(스크랩)모음 스크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9월 18일 후기/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17)
관문 추천 0 조회 35 14.09.19 16:45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9월 18일 후기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17)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9월 18일 후기.hwp

 

서울경기강원지역방 3094번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3094

의 후속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열일곱 번째로 읽었습니다. 오늘 불서읽기에는 환희장엄 법우, 클나라 법우, 저 관문 이렇게 3명이 참석했습니다.

오늘도 지난번에 모였던 장소 ‘Cafe 57th’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곳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와 80 미터 가량 직진하신 후 풍문여고를 오른 쪽에 끼고 돌아서 약 60 미터 가면 보이는 곳입니다. 모이는 때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교재 <The Dalai Lama and Howard C. Cutler, The Art of Happiness> Part III Transforming Suffering: CHAPTER 9 Self-Created Suffering을 끝까지 읽었습니다. 관문이 가지고 있는 책으로 160페이지 9째 줄부터 171페이지 마지막 줄까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읽는 동안의 후기는 영어와 저희가 시도해 본 번역을 올리겠습니다. 번역본으로 <달라이 라마 & 하워드 커틀러/류시화 옮김,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김영사> 를 가끔씩 참고하겠습니다.

                                                                  

                                                        PART III Transforming Suffering

                                                   제3부 고통을 전환하기

 

CHAPTER 9 Self-Created Suffering

제9장 스스로 만든 고통

 

                                                         Guilt

                                               죄책감

 

As products of an imperfect world, all of us are imperfect. Every one of us has done some wrong. There are things we regret -- things we have done or things we should have done. Acknowledging our wrongdoings with a genuine sense of remorse can serve to keep us on the right track in life and encourage us to rectify our mistakes when possible and take action to correct things in the future. But if we allow our regret to degenerate into excessive guilt, holding on to the memory of our past transgressions with continued self-blame and self-hatred, this serves no purpose other than to be a relentless source of self-punishment and self-induced suffering.

불완전한 세계의 산물로서 우리 모두는 불완전하다. 우리 각자는 무엇인가 잘못을 저지른 적이 있다. 우리는 무엇인가 후회할 일이 있다. 그것은 우리가 이미 한 일이거나,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한 후회이다. 진정으로 뉘우치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것은 우리를 삶의 올바른 길로 인도하고, 기회가 있을 때 잘못을 바로잡도록 우리에게 용기를 준다. 하지만 후회가 지나쳐 죄의식으로 발전하도록 내버려둔다면, 또한 끊임없이 자신을 책망하며 과거의 죄를 기억한다면, 후회는 단지 스스로 벌을 받고 고통을 받아들이는 가혹한 일이 될 뿐이다.

 

During an earlier conversation in which we had briefly discussed the death of his brother, I recalled that the Dalai Lama had spoken of some regrets related to his brother’s death. Curious about how he dealt with feelings of regret, and possibly guilt feelings, I returned to the subject in a later conversation, asking, “When we were talking about Lobsang’s death, you mentioned some regrets. Have there been other situations in your life that you’ve regretted?”

앞에서 존자님의 형님이 돌아가신 일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를 나눴을 때, 존자님은 형님의 죽음에 대해 후회하는 말을 했었다. 존자님이 후회나 죄책감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했던 나는 나중에 다시 그 문제에 대해 물었다.

“존자님의 형님 롭상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할 때, 존자님은 후회하는 일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것 말고도 존자님의 삶에서 후회하는 일이 또 있나요?”

 

“Oh, yes. Now for instance there was one older monk who lived as a hermit. He used to come to see me to receive teachings, although I think he was actually more accomplished than me and came to me as a sort of formality. Anyway, he came to me one day and asked me about doing a certain high level esoteric practice. I remarked in a casual way that this would be a difficult practice and perhaps would be better undertaken by someone who was younger, that traditionally it was a practice that should be started in one’s mid-teens. I later found out that the monk had killed himself in order to be reborn in a younger body to more effectively undertake the practice . . .”

존자님이 대답했다.

“네, 있습니다. 예전에 은둔 생활을 하던 노수도승이 있었습니다. 그분은 가르침을 받기 위해 종종 나를 찾아오곤 했습니다. 사실 그 수도승은 나보다 더 높은 깨달음을 얻은 분이어서 의례적으로 나를 찾아왔을 것입니다. 어쨌든 어느 날 그분이 나를 찾아와서는 높은 차원의 밀교 수행에 대해 물었습니다. 나는 별 생각 없이 그것은 어려운 수행이어서 젊은 사람이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십대 중반의 소년들이 그 수행을 시작한다는 말을 덧붙였습니다. 그런데 얼마 후 나는 그 수도승이 자살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노수도승은 젊은 몸으로 다시 태어난 그 수행을 더 효과적으로 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 .”

 

Surprised by this story, I remarked, “Oh, that’s terrible! That must have been hard on you when you heard . . .”

The Dalai Lama nodded sadly.

“How did you deal with that feeling of regret? How did you eventually get rid of it?”

이 이야기에 놀라서 내가 말했다.

“아, 정말 끔찍하군요! 그 소식을 들었을 때, 존자님 마음이 무척 아프셨겠습니다. . . ”

존자님은 슬픈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였다.

“존자님은 그런 후회스런 느낌에 어떻게 대처하셨습니까? 결국 그런 느낌을 어떻게 없앨 수 있었습니까?”

 

The Dalai Lama considered silently for quite a while before replying, “I didn’t get rid of it. It’s still there.” He stopped again, before adding, “But even though that feeling of regret is still there, it isn’t associated with a feeling of heaviness or a quality of pulling me back. It would not be helpful to anyone if I let that feeling of regret weigh me down, be simply a source of discouragement and depression with no purpose, or interfere with going on with my life to the best of my ability.”

존자님은 꽤 오랫동안 조용히 생각하시더니, 이윽고 대답했다.

“난 그 감정을 없애지 못했습니다. 그것은 아직도 내 마음에 남아 있습니다.”

존자님은 잠시 말을 중단했다가 다시 말했다.

“하지만 그 후회하는 느낌이 아직 있더라도, 그것이 중압감이나 나를 물러서도록 하는 성질과 연결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만약 후회스런 감정이 나를 짓누르고, 쓸데없이 나에게 좌절감과 우울한 느낌을 주고, 내가 최선을 다해 사는 데 방해가 되도록 내버려둔다면, 그것은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 될 것입니다.”

 

At that moment, in a very visceral way, I was struck once again by the very real possibility of a human being fully facing life’s tragedies and responding emotionally, even with deep regret, but without indulging in excessive guilt or self-contempt. The possibility of a human being’s wholly accepting herself or himself, complete with limitations, foibles, and lapses of judgment. The possibility of recognizing a bad situation for what it is and responding emotionally, but without over-responding. The Dalai Lama sincerely felt regret over the incident he described but carried his regret with dignity and grace. And while carrying this regret, he has not allowed it to weigh him down, choosing instead to move ahead and focus on helping others to the best of his ability.

그 순간에 마음속 깊이 나는 다시 한 번 놀랐다. 한 인간이 깊은 후회감을 갖고 있으면서도, 삶의 비극에 철저히 맞서고 정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바로 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데에. 하지만 또 지나친 죄책감이나 자기멸시에 빠지지 않는다는 데에. 한 인간이 제약, 결점, 판단의 실수 등으로 가득 차 있으면서, 자기 자신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에. 나쁜 상황이 존재하는 것에 대해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감정적으로 대응하면서도 지나치게 반응하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존자님은 그가 설명한 사건에 진심으로 후회하는 느낌을 갖고 있지만, 그의 후회는 위엄과 우아함을 갖추고 있었다. 후회하는 느낌은 갖고 있으면서도, 그 느낌이 그를 짓누르도록 내버려두지 않았고, 대신에 앞으로 나아가고 그의 능력이 닿는 대로 다른 사람들을 돕는 데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선택했다.

 

Sometimes I wonder if the ability to live without indulging in self-destructive guilt is partly cultural. In recounting my conversation with the Dalai Lama about regret to a friend who is a Tibetan scholar, I was told that in fact, the Tibetan language doesn’t even have an equivalent for the English word “guilt”, although it does have words meaning “remorse” or “repentance” or “regret,” with a sense of “rectifying things in the future.” Whatever the cultural component may be, however, I believe that by challenging our customary ways of thinking and cultivating a different mental outlook based on the principles described by the Dalai Lama, any of us can learn to live without the brand of guilt that does nothing but cause ourselves needless suffering.

가끔 나는 자기 파괴적인 죄책감에 빠지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이 부분적으로 문화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후회에 관한 존자님과의 대화를 티벳인 학자인 친구에게 이야기하면서, 나는 사실 티벳어에는 영어 단어 “죄책감”에 해당하는 말이 없다는 말을 들었다. “뉘우침” 혹은 “참회”, “후회”를 뜻하는 단어가 있기는 하지만, 그 의미는 “앞으로 일을 바로잡는 것”이라는 것이다. 문화적 구성요소가 어떻든지 간에, 우리의 관습적인 사고방식에 도전을 함으로써 또 존자님이 설명한 원칙에 기초를 둔 다른 정신적 관점을 배양함으로써, 우리 중 누구라도 다만 우리자신에게 쓸데없는 고통만을 가져오는 죄책감의 낙인 없이 사는 법을 배울 수 있다고 믿는다.

 

                                            Resisting Change

                                            변화에 저항하는 것

 

Guilt arises when we convince ourselves that we’ve made an irreparable mistake. The torture of guilt is in thinking that any problem is permanent. Since there is nothing that doesn’t change, however, so too pain subsides -- a problem doesn’t persist. This is the positive side of change. The negative side is that we resist change in nearly every arena of life. The beginning of being released from suffering is to investigate one of the primary causes: resistance to change.

죄책감은 우리가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확신할 때 일어난다. 죄책감의 심한 고통은 어떤 문제도 영원하다고 생각하는 데에 있다. 하지만 변화하지 않는 것은 하나도 없기 때문에 고통도 가라앉는다. 어떤 문제도 영속적이지 않다. 이것이 변화의 긍정적인 면이다. 부정적인 면은 우리가 삶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변화에 저항한다는 것이다.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의 시작은 괴로움의 주된 원인 중의 하나인 ‘변화에 대한 저항’을 조사해 보는 것이다.

 

In describing the ever-changing nature of life, the Dalai Lama explained, “It’s extremely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causes or origins of suffering, how it arises. one must begin that process by appreciating the impermanent, transient nature of our existence. All things, events, and phenomena are dynamic, changing every moment, nothing remains static. Meditating on one’s blood circulation could serve to reinforce this idea: the blood is constantly flowing, moving, it never stands still.

삶의 늘 변화하는 본성을 설명하면서, 존자님은 말했다.

“괴로움의 원인 혹은 기원 즉 괴로움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해 조사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우리는 그 과정을 우리 존재의 무상(無常)하고, 일시적인 본성을 직시함으로써 시작해야만 합니다. 모든 사물, 사건, 현상은 역동적이고, 매 순간 변화하며, 어느 것도 멈춰 있지 않습니다. 우리의 혈액순환에 대해 명상하는 것이 이 생각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혈액은 끊임없이 흐르고 있고, 움직이고 결코 정지해 있는 법이 없습니다.

 

“This momentarily changing nature of phenomena is like a built-in mechanism. And since it is the nature of all phenomena to change every moment, this indicates to us that all things lack the ability to endure, lack the ability to remain the same. And since all things are subject to change, nothing exists in a permanent condition, nothing is able to remain the same under its own independent power. Thus, all things are under the power or influence of other factors. So, at any given moment no matter how pleasant or pleasurable your experience may be, it will not last. This becomes the basis of a category of suffering known in Buddhism as the ‘suffering of change.’”

“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현상의 본성은 마치 내장되어 있는 기계장치와 같습니다. 또 매 순간 변하는 것이 모든 현상의 본성이기 때문에, 이것은 우리에게 모든 것은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이 없고, 늘 똑같은 상태로 있을 수가 없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모든 것이 변화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아무 것도 영원한 상태에 있을 수 없고, 아무 것도 자신의 독립적인 힘으로 꼭 같은 상태에 있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모든 것은 다른 요인의 힘 또는 영향 아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어떤 주어진 순간에 당신의 경험이 아무리 유쾌하고 즐거운 것이라 할지라도, 영원할 수는 없습니다. 이것이 불교에서 ‘변화의 괴로움[行苦(행고)]’이라고 알려진 괴로움의 종류의 토대가 됩니다.”

 

The concept of impermanence plays a central role in Buddhist thought, and the contemplation of impermanence is a key practice. Contemplation of impermanence serves two main vital functions within the Buddhist path. on a conventional level, or in an everyday sense, the Buddhist practitioner contemplates his or her own impermanence -- the fact that life is tenuous and we never know when we’ll die.

무상(無常)의 개념은 불교사상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무상에 대한 명상은 중요한 수행이다. 불교 수행 안에서 무상에 대한 명상은 두 가지 주요한 필수적인 기능에 도움을 준다. 전통적인 수준, 혹은 일상적인 의미에서는 불교수행자는 자기 자신의 무상함에 대해 명상한다. 목숨은 보잘 것 없는 것이고 우리가 언제 죽을지 결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When this reflection is combined with a belief in the rarity of human existence and the possibility of attaining a state of spiritual Liberation, of release from suffering and endless rounds of rebirth, then this contemplation serves to increase the practitioner’s resolve to use her or his time to best advantage, by engaging in the spiritual practices that will bring about this Liberation. on a deeper level, the contemplation of the more subtle aspects of impermanence, the impermanent nature of all phenomena, begins the practitioner’s quest to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reality and, through this understanding, dispel the ignorance that is the ultimate source of our suffering.

이런 명상이 인간 존재와 영적인 해탈의 상태를 성취할 가능성, 괴로움과 끝없는 윤회의 고리에서 벗어남이 희귀한 일이라는 믿음과 연결될 때, 이 명상은 이 해탈을 가져올 영적인 수행에 전념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시간을 최대한 이롭게 사용하려는 수행자의 결단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더 깊은 차원에서 보면, 무상의 좀 더 세밀한 면, 모든 현상의 무상한 본성에 대한 명상은 수행자가 실재(實在)의 진정한 본성을 이해하려는 탐구를 시작하게 만들고, 이 이해를 통해서 우리 괴로움의 궁극적인 근원인 무지를 없애준다.

 

So, while the contemplation of impermanence has tremendous significance within a Buddhist context, the question arises: does the contemplation and understanding of impermanence have any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everyday lives of non-Buddhists as well? If we view the concept of “impermanence” from the standpoint of “change,” then the answer is a definite yes. After all, whether one looks at life from a Buddhist perspective or a Western perspective, the fact remains that life is change. And to the degree that we refuse to accept this fact and resist the natural life changes, we will continue to perpetuate our own suffering.

그렇다면 무상에 대한 명상이 불교적인 맥락 안에서 엄청난 의미를 가진다면, 이런 의문이 생긴다. 즉 무상에 대한 명상과 이해가 비불교도들의 일상생활에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가? 우리가 “무상”의 개념을 “변화”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대답은 명확하게 예스이다. 결국 우리가 삶을 불교의 관점에서 혹은 서양인의 관점에서 보든지 간에, ‘삶은 변화이다.’라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우리가 이 사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고 자연스러운 인생의 변화에 저항하는 정도에 따라, 우리는 우리 자신의 괴로움을 영속시킬 것이다.

 

The acceptance of change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a large measure of our self-created suffering. So often, for instance, we cause our own suffering by refusing to relinquish the past. If we define our self-image in terms of what we used to look like or in terms of what we used to be able to do and can’t do now, it is a pretty safe bet that we won’t grow happier as we grow older. Sometimes, the more we try to hold on, the more grotesque and distorted life becomes.

변화를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 자신이 지어낸 괴로움을 대규모로 줄이는 데에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너무도 자주 과거를 단념하기를 거부함으로써 우리 자신의 괴로움을 불러온다. 우리가 만약 우리의 자화상을 옛날에 어떻게 보였는지 혹은 옛날에는 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할 수 없는 것에 비추어서 정의(定義)한다면, 장담하건대 우리는 나이 들어가면서 더 행복해질 수 없을 것이다. 때때로, 우리가 집착하면 할수록, 인생은 더 그로테스크하고 비뚤어질 것이다.

 

While the acceptance of the inevitability of change, as a general principle, can help us cope with many problems, taking a more active role by specifically learning about normal life changes can prevent an even greater amount of the day-to-day anxiety that is the cause of many of our troubles.

변화의 불가피성을 일반적인 원칙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우리가 많은 문제와 맞서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반면에, 특히 보통의 삶의 변화에 대해 배움으로써 좀 더 적극적인 역할을 취하는 것이 많은 우리의 문제의 원인이 되는 매일의 불안을 훨씬 더 많이 막아줄 수 있다.

 

Revealing the value of recognizing normal changes, a new mother told me about a visit to the emergency room she had made at two o’clock in the morning.

“What seems to be the problem?” the pediatrician asked her.

“MY BABY! SOMETHING’S WRONG!” she cried frantically. “I think he’s choking or something! His tongue keeps protruding; he just keeps sticking it out . . . over and over again . . . like he’s trying to get something out, but there’s nothing in his mouth . . .”

자연스러운 변화를 인식하는 것의 가치를 드러내는 사례로, 새벽 2시에 응급실을 찾아간 초보 엄마가 내게 들려준 이야기가 있다.

소아과 의사가 그녀에게 물었다.

“어떻게 오셨지요?”

초보 엄마는 미친 듯이 소리를 질러댔다.

“우리 아기가 무언가 이상해요! 목구멍에 뭐가 걸렸나 봐요! 계속해서 혀를 내미는 거예요. 자꾸자꾸. . . 뭔가를 토해내려고 하는 것 같은데, 입안에는 아무 것도 없어요 . . .”

 

After a few questions and a brief examination, the doctor assured her, “There’s nothing to worry about. As a baby grows, he develops an increasing awareness of his own body and what it can do. Your baby has just discovered his tongue.”

몇 가지 질문을 하고 간단히 진찰을 한 뒤에, 의사가 엄마를 안심시켰다.

“걱정할 건 아무 것도 없습니다. 아기가 자라면서 자신의 몸에 대해 또 몸이 무엇을 하는지 끊임없이 알아차려 갑니다. 당신의 아기는 이제 막 자기의 혀를 발견한 거예요.”

 

Margaret, a thirty-one-year-old journalist, illustrates the critical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change in the context of a personal relationship. She came to me complaining of mild anxiety which she attributed to difficulty adjusting to a recent divorce.

31세의 언론인인 마가렛은 인간적인 관계의 상황에서 변화에 대한 이해와 받아들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한 실례이다. 그녀는 최근의 이혼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원인을 돌리는 경미한 불안에 대해 내게 와서 불평을 했다.

 

“I thought that it might be a good idea to have a few sessions just to talk to someone,” she explained, “to help me really put the past to rest, and make the transition back to the single life. To be honest, I’m a little nervous about it . . .”

그녀는 이렇게 설명했다.

“누군가에게 그저 이야기라도 해보기 위해 몇 차례 상담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지난 일은 완전히 잊고 독신 생활로 이행하는 데 도움이 될까 해서요. 솔직히 저는 좀 긴장하고 있거든요 . . . ”

 

I asked her to describe the circumstances of her divorce.

“I guess I’d have to describe it as amiable. There were no big fights or anything like that. My ex and I both have good jobs, so there weren’t any problems with a financial settlement. We have one boy, but he seems to have adjusted to the divorce well, and my ex and I have a joint custody agreement that is working well . . .”

나는 그녀에게 이혼의 상황에 대해 말해주기를 요청했다. 그녀가 말했다.

“이혼은 아주 온화한 편이었어요. 큰 싸움이나 그런 것은 전혀 없었구요. 전 남편과 나는 둘 다 좋은 직장을 가지고 있어서 재정적인 협상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어요. 우리 사이에 아들이 하나 있는데, 그 아이도 우리 이혼에 잘 적응하는 듯이 보였어요. 전 남편과 나는 아들을 공동으로 보살피기로 동의해서 잘 진행되고 있구요.”

 

“I mean, can you tell me what led to the divorce?”

“Umm . . . I suppose we just fell out of love,” she sighed. “It seemed that gradually the romance was gone; we just didn’t have the same intimacy that we had when we were first married. We both got busy with our jobs and our son and just seemed to drift apart. We tried some sessions of marital counseling, but they didn’t do any good. We still got along, but it was like we were brother and sister. It didn’t feel like love, like a real marriage. Anyway, we mutually agreed that it would be best to get a divorce; something just wasn’t there anymore.”

내가 물었다.

“내 말은, 무엇 때문에 이혼했는지 말해주실 수 있나요?”

“음. . . 우리 사랑이 식은 것 같아요.” 그녀는 한숨을 쉬었다.

“서서히 로맨스가 사라져 버린 것 같았어요. 우리가 처음 결혼했을 때 가졌던 친밀감은 없어지고요. 우린 둘 다 일과 아이 때문에 바빠서 서로 겉돌고 있는 것 같았어요. 우린 같이 살고는 있었지만, 마치 남매간 같았어요. 사랑이란 느낌도 없고, 진짜 결혼 같은 느낌도 없었어요. 어쨌거나 우리는 이혼하는 게 가장 좋겠다고 서로 동의했고, 별다른 것은 더 이상 없어요.”

 

After spending two sessions delineating her problem, we decided on a course of short-term psychotherapy, focusing specifically on helping her reduce her anxiety and adjust to her recent life changes. Overall, she was an intelligent and emotionally well-adjusted person. She responded very well to a brief course of therapy and easily made the transition back to single life.

두 번의 면담에서 그녀의 문제에 대해 윤곽을 듣고 난 뒤에, 우리는 그녀의 불안을 줄이고 최근의 삶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그녀를 돕는 데에 특히 초점을 맞추어서 단기간의 심리치료를 하기로 결정했다. 전반적으로, 그녀는 지성적이었고 정서적으로 잘 적응하는 사람이었다. 그녀는 짧은 치료 과정에 아주 잘 반응해서 쉽게 독신 생활로 돌아갔다.

 

Despite obviously caring for each other, it was clear that Margaret and her husband had interpreted the change in their level of passion as a sign that the marriage should end. All too often we interpret a diminution of passion as a signal that there is a fat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And more often than not, the first whisper of change in our relationship may create a sense of panic, a feeling that something is drastically wrong. Perhaps we did not pick the right partner after all. Our mate just doesn’t seem like the person we fell in love with. Disagreements come up -- we may be in the mood for sex and our partner is tired, we may want to see a special movie but our partner has no interest in it or is always busy. We may discover differences that we never noticed before. So, we conclude, it must be over; after all, there’s no getting around the fact that we are growing apart. Things just aren’t the same anymore; maybe we should get a divorce.

분명히 서로를 좋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가렛과 그녀의 남편은 열정 수준의 변화를 결혼생활을 끝내야 하는 표시로 해석했다. 너무도 흔히 우리는 열정의 감소를 관계에서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는 신호로 해석한다. 그리고 대개는 우리 관계에 있어서 첫 번째 변화의 속삭임이 공황 상태 즉 무슨 일이 극단적으로 잘못 되었다는 느낌을 일으킨다. 아마도 결국 제대로 배우자를 고르지 못한 거야. 우리의 배우자가 우리가 사랑에 빠졌던 그 사람이 아니야. 불화가 생긴다. 나는 섹스를 하고 싶은데 배우자는 피곤하고, 나는 특정한 영화를 보러가고 싶은데 배우자는 영화에 전혀 관심이 없다거나 항상 바쁘다. 전에는 한 번도 알아차리지 못했던 차이점을 발견한다. 그래서 끝내야 하겠다고 결론짓는다. 마침내, 우리가 겉돌고 있다는 사실을 회피할 필요가 없다. 더 이상 옛날 모습은 아니다. 아마도 이혼하는 게 좋겠다.

 

So what do we do? Relationship experts churn out books by the dozen, cookbooks telling us exactly what to do when the passion and flame of romance grow dim. They offer a myriad of suggestions designed to help rekindle the romance -- restructure your schedule to make romantic time a priority, plan romantic dinners or weekend getaways, compliment your mate, learn how to have a meaningful conversation. Sometimes these things help. Sometimes they don’t.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인간관계 전문가들은 수십 권의 책을 써내고 있다. 열정과 로맨스의 불길이 희미해질 때 정확하게 무엇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해 상세히 말해주는 책들이 있다. 그들은 로맨스의 불길을 다시 붙이도록 도움을 주는 수만 가지의 제안을 한다. 로맨틱한 시간을 가지는 것을 우선순위 첫 번째로 스케줄을 재조정하라. 로맨틱한 저녁식사나 주말여행을 계획하라. 배우자를 칭찬하라. 의미 있는 대화법을 배우라. 이 조언들은 때로는 도움이 되고, 때로는 그렇지 않다.

 

But before pronouncing the relationship dead, one of the most beneficial things we can do when we notice a change is to simply stand back, assess the situation, and arm ourselves with as much knowledge as possible about the normal patterns of change in relationships.

하지만 관계가 끝났다고 선언하기 전에, 우리가 변화를 알아차렸을 때 할 수 있는 가장 이로운 행동은 그저 한 걸음 뒤로 물러서서, 상황을 평가하고, 관계에서 보편적인 형태의 변화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지식을 갖도록 자신을 무장하는 것이다.

 

As our lives play out, we develop from infancy to childhood, to adulthood, to old age. We accept these changes in individual development as a natural progression. But a relationship is also a dynamic living system, composed of two organisms interacting in a living environment. And as a living system, it is equally natural and right that the relationship should go through stages. In any relationship, there are different dimensions of closeness -- physical, emotional, and intellectual. Bodily contact, sharing emotions, thoughts, and exchanging ideas are all legitimate ways of connecting with those we love.

우리 인생이 전개됨에 따라서, 우리는 영아에서 어린이로, 성인으로, 또 노인으로 변해간다. 개인적인 발전에서 이러한 변화를 우리는 자연스러운 진보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인간관계도 마찬가지로 역동적인 삶의 시스템이다. 다만 삶의 환경에서 상호작용하는 두 유기체로 구성되었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리고 살아있는 시스템으로서, 인간관계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것은 꼭 같이 자연스럽고 적절한 것이다. 어떤 인간관계에서도 다양한 차원의 친밀감이 있다. 신체적, 정서적, 지적인. 신체의 접촉, 감정과 생각 공유하기, 개념의 교환 등은 모두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을 연결하는 합리적인 방법이다.

 

It is normal for the balance to wax and wane: sometimes physical closeness decreases but emotional closeness can increase; at other times we don’t feel like sharing words, but just want to be held. If we are sensitive to this issue, we can rejoice in the initial bloom of passion in a relationship, but if it cools, instead of feeling worry or anger, we can open ourselves to new forms of intimacy that can be equally -- or perhaps more -- satisfying. We can delight in our partner as a companion, enjoy a steadier love, a deeper bond.

균형이 늘었다 줄어들었다 하는 것이 정상이다. 때로 신체적 친밀감이 줄어들지만 정서적 친밀감이 늘어나고, 다른 경우에는 말을 공유하는 느낌은 없지만, 꼭 안아주기를 바랄 때가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해 민감하면, 우리는 관계에서 최초의 열정이 꽃피는 것에 기뻐할 수 있다. 열정이 식는다면, 걱정이나 화를 내는 대신에 동등하게 아마도 더 많은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친밀감의 새로운 형태를 추구하도록 우리 자신을 열어놓을 수도 있다. 우리는 배우자를 동반자로서 기뻐하고, 더 꾸준한 사랑과, 더 깊은 유대감을 즐길 수 있다.

 

In his book Intimate Behavior, Desmond Morris describes the normal changes that occur in a human being’s need for closeness. He suggests that each of us repeatedly goes through three stages: “Hold me tight,” “Put me down,” and “Leave me alone.” The cycle first becomes apparent in the first years of life when children move from the “hold me tight” phase characteristic of infancy to the “put me down” stage when the child first begins to explore the world, crawl, walk, and achieve some independence and autonomy from the mother. This is part of normal development and growth.

<친밀한 행동>이라는 그의 저서에서, 데스몬드 모리스는 인간의 친밀감에 대한 욕구에서 일어나는 보편적인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는 말하기를 우리 각자는 반복적으로 세 가지 단계를 거친다고 한다. “나를 꼭 안아줘요.”, “나를 놓아줘요.”와 “나를 내버려 둬요.”가 그것이다. 이 순환은 인생의 최초 몇 년 동안에 아이들의 행동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아이들은 영아기의 특징인 “나를 꼭 안아줘요.” 단계에서 아이가 처음으로 세상을 탐구하기 시작하고, 기어 다니고, 걷고, 엄마로부터 독립과 자립을 좀 성취했을 때인 “나를 놓아줘요.” 단계로 이동한다.

 

These phases do not just move in one direction, however; at various stages a child may experience some anxiety when the feeling of separateness becomes too great, and then the child will return to the mother for soothing and closeness. In adolescence, “leave me alone” becomes the predominant phase as the child struggles to form an individual identity.

이런 양상은 하지만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단계에서 아이는 분리감이 너무나 커질 때에는 불안감을 경험할 수도 있다. 그래서 위안과 친밀함을 찾아서 엄마에게 돌아올 것이다. 사춘기에는 “나를 내버려 둬요.”가 아이가 개인적 정체성을 형성하려고 몸부림치는 동안 지배적인 국면이 된다.

 

Although this may be difficult or painful for the parents, most experts recognize it as a normal and necessary phase in the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ulthood. Even within this phase, there is still a mixture of phases. While the adolescent is crying “Leave me alone!” to his parents at home, the “hold me tight” needs may be met by strong identification with the peer group.

이런 현상은 부모에게는 힘들거나 괴로운 것일지 모르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그것을 유아기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정상적이고 필요한 양상이라고 인정한다. 이 국면에서도 양상의 혼합이 여전히 존재한다. 청소년이 “나를 내버려 둬요.”라고 집에서 부모에게 외치는 반면에, “나를 꼭 안아줘요.” 욕구가 또래 집단과의 강한 동일시로 충족될 수도 있다.

 

In adult relationships as well, the same flux occurs. Levels of intimacy change, with periods of greater intimacy alternating with periods of greater distance. This is also part of the normal cycle of growth and development. To reach our full potential as human beings, we need to be able to balance our needs for closeness and union with times when we must turn inward, with a sense of autonomy, to grow and develop as individuals.

성인들의 관계에서도 똑 같은 흐름이 일어난다. 친밀감의 수준들은, 더 큰 거리감과 번갈아서 더 큰 친밀감과 함께 변화한다. 이것도 또한 성장과 발전의 정상적인 순환의 부분이다. 인간으로서 우리의 완전한 가능성에 도달하기 위해서, 우리는 안으로 향해야 하는 때와, 개인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 자립의 감각과 친밀하고 연합하는 우리의 욕구에 균형을 잡을 수 있어야 한다.

 

As we come to understand this, we will no longer react with horror or panic when we first notice ourselves “growing apart” from our partner, any more than we would panic while watching the tide go out at the seashore. Of course, sometimes a growing emotional distance can signal serious problems in a relationship (an unspoken undercurrent of anger for instance), and even breakups can occur. In those cases, measures such as therapy can be very helpful. But the main point to keep in mind is that a growing distance doesn’t automatically spell disaster. It can also be part of a cycle that returns to redefine the relationship in a new form that can recapture or even surpass the intimacy that existed in the past.

우리가 이것을 이해하게 될 때, 우리는 우리 자신이 배우자와 “겉돌고 있는 것을” 처음으로 알아차렸을 때 더 이상 공포나 공황으로 반응하지 않을 것이다. 마치 조류가 바닷가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지켜보면서 허둥대지 않는 것과 같이. 물론 때로 자라나는 감정적 거리감이 (말로 표현되지 않은 분노의 역류 따위처럼) 인간관계에서 심각한 문제라는 신호를 보낼 수도 있고, 불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 그런 경우에는, 심리치료와 같은 조치가 아주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명심해야 할 중요한 점은 늘어나는 거리가 자동적으로 재난이라는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것은 또한 되돌아와서 과거에 존재했던 친밀감을 되찾을 수 있거나 혹은 능가하는 새로운 형태로서 관계를 재정립하는 순환의 부분일 수도 있다.

 

So, the act of acceptance, of acknowledging that change is a natural part of our interactions with others, can play a vital role in our relationships. We may discover that it is at the very time when we may feel most disappointed, as if something has gone out of the relationship, that a profound transformation can occur. These transitional periods can become pivotal points when true love can begin to mature and flower.

그러므로 변화는 우리가 남들과의 상호작용의 자연스러운 부분이라는 것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행위는, 우리의 관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심오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마치 관계에서 무언가가 빠져버린 것처럼, 우리가 가장 실망하는 바로 그 때라는 것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과도기는 진정한 사랑이 성숙되고 꽃 피우기 시작하는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

 

Our relationship may no longer be based on intense passion, the view of the other as the embodiment of perfection, or the feeling that we are merged with the other. But in exchange for that, we are now in a position to truly begin to know the other. To see the other as a separate individual, with faults and weaknesses perhaps, but a human being like ourselves. It is only at this point that we can make a genuine commitment, a commitment to the growth of another human being -- an act of true love.

우리의 관계는 더 이상 강렬한 열정, 상대방을 완벽의 화신으로 보기, 혹은 우리가 상대와 한 몸이 되었다는 느낌과 같은 것에 기초를 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의 대가로 우리는 이제 상대를 진정으로 알기 시작하는 입장에 있다.

 

Perhaps Margaret’s marriage could have been salvaged by accepting the natural change in the relationship, and forming a new relationship based on factors other than passion and romance.

아마도 마가렛의 결혼은 관계의 자연스런 변화를 받아들임으로써, 열정과 로맨스가 아닌 다른 요소에 기초를 둔 새로운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구조 받을 수도 있었다.

 

Fortunately, however, the story didn’t end there. Two years after my last session with Margaret, I ran into her at a shopping mall (the situation of running into an ex-patient in a social setting is one that invariably makes me, like most therapists, feel a bit awkward).

하지만, 다행히 이야기는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마가렛이 나와 마지막 상담을 받은 지 2년 후에, 우연히 쇼핑 몰에서 그녀와 만났다 (전 환자와 사회적 상황에서 만나는 것은 대부분의 치료사들처럼, 언제나 나를 다소 어색하게 만든다).

 

“How have you been?” I asked.

“Things couldn’t be better!” she exclaimed. “Last month, my ex-husband and I remarried.”

“Really?”

“Yeah, and it’s going great. We continued to see each other, of course, because of the joint custody. Anyway, it was difficult at first . . . but after the divorce, somehow the pressure was off. We didn’t have any expectations anymore. And we found out that we really did like each other and love each other. Things still aren’t the same as when we were first married, but it doesn’t seem to matter; we’re really happy together. It just feels right.”

“어떻게 지내셨어요?”

“아, 더 이상 좋을 수가 없어요!” 그녀가 흥분해서 소리 질렀다.

“지난달에 전 남편과 재혼했어요.”

“정말이세요?”

“예, 너무나 좋아요. 물론 우리는 아이를 공동으로 보살피는 일로 계속해서 서로 만나기는 했지요. 어쨌든 처음에는 힘들었어요. . . 하지만 이혼 후에 압박감은 없어졌어요. 우리는 더 이상 기대감을 가지지 않았어요. 그리고 우리가 정말로 서로 좋아하고 사랑한다는 것을 알았어요. 상황이 우리가 처음 결혼했을 때와 꼭 같지는 않지만, 그런 건 문제가 안 돼요. 우린 함께 정말 행복해요. 날아갈 것 같은 기분이에요.”

 

 
다음검색
댓글
  • 14.09.20 08:26

    첫댓글 오우...장편!!!
    아뢰야식...말리야식
    제행무상...열반적정
    소소영영ㅋㅌ
    감사 드립니당^*^
    _()()()_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