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야를 찾았다.
고향에도 찾아보기 힘든 고야나무-. 어제 신촌리서 조우를 했다.
여러 과일나무들이 모여 서 있는 농장엔 탐스런 과일들이 여보란 듯이 싱그럽게 향을 뿜으며
반색을 했다. 그런데 정말 우연이었다.
밭둑에서 허름하게 서있던 고야나무를 발견하고 얼마나 반가웠는지-.어쩔 줄을 몰랐다.
마치 첫사랑하는 님을 만난 것처럼 달려가 여기저기 초록 잎속에 성글게 숨어있는
빨갛게 익어가는 작은 고야를 하나하나 만저보며 입속에 넣었다.
고야나무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늘 이렇게 설명했다.
-자주보다 껍질이 두껍지 않고 크지 않고 아무리 파래도 시큼하고 달다.
서울 태생인 아내는 고야하면 침대에 누운 명화만을 떠올리니 답답할 수 밖에-.
고야나무는 울안이나 밭둑에 서식하는데, 점점 그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 어떤 연유일까?
어머니처럼 몸집이 작지만 유년기 추억을 모두 간직하고 있는 과실 중에 과실이다.
자두는 아니다. 자두 사촌이라고 할까 ,토종자두라 할까, 개량되지 않은 우리 과실이다.
유년기 때 조금만 익어도 자구가 돌았다고 시큼하면서도 달아 한 입에 쏘옥 넣던 과실-.
충남에서는 오야라고 하는데 알고보니 고야는 강원도 방언이고 ' 원래 표준어는 오얏(李)이란다.
예전 친구네 집을 갈 때면 논둑에 한줄로 늘어선 고야나무가 생각난다.
작으면서도 달달한 맛,물론 자두보다 상품성은 떨어지지만
표피가 얇고 몸뚱이가 작아서인지 병충해가 침입하지 않고,
쓱쓱 씻어 한입에 넣고, 시골에서 돈이 귀하던 시절, 떨어진 고야를 주워 가방에 넣어 읍내 중학교 때
친구에게 팔기도 했던 추억들이 듬뿍 서려있는 고야-.
혹서에 만난 것은 너무 값진 일이다.
옛말에 오얏나무 아래서 갓끈을 고쳐쓰지 말라는 그 오야가 바로 고야라고 한다.
중국 이씨는 노자로부터 비롯되었단다. 도가를 창시한 철학자 노자는 본래 이이(李耳)라고 한다.
그 집에 오얏나무가 있어 나무(木)아래서 자식들이 태어나(子)
수불초생인작성(樹不初生因作姓) 이라고 했고, 거기서 이씨 성이 퍼졌다고 전한다.
추억이 가득 담겨져 있는 고야는 아름답다.
예전에 우리 집 아래 면장집 손녀딸이 오면 나는 뒤곁에 유난히 큰 고야를 주워
시골에 놀러온 손녀딸에게 갖다 주며 소꼽놀이하던 유년시절-.
마치 김유정 소설속에서 점순이가 고구마를 주인공에서 주듯-.
여름밤이었다. 형하고 가지가 휘도록 달린 논둑에 가서 몇명이 밑에서
담요를 펴서 들고 형은 올라고 고야나무를 흔들며 마구 따던 추억의 밤을 잊지 못한다.
고야-. 순수한 우리 토종 재래종, 충청도에서는 응애라고도 한다.
하얀 꽃이 피는 고야나무-. 왜 그런데 요즘 점점 멸종되어 가는 것일까?
안타깝다. 변종 개량수종들이 많이 보급되어 자리를 내주는 것일까?
토종은 귀하다, 토종꿀, 토종돼지, 토종음식, 토종감자, 토종 고야-.
어제 추억을 먹고, 첫사랑을 마시고 한입에 넣어 시큼하게 먹던 고야가
내 입안에 남아 아득한 유년으로 타임머쉰을 타고 시운전해 보았다.
내년 식목일에는 순 재래종이요.토종인 고야나무를
내 고향에 반드시 심으리라. (글-德田)
첫댓글 고야, 지난해 저희 집에 가지가 휘어지도록 열었는데 올 해는 어찌된 일인지... 내년을 기대해 봅니다. 파란것은 골라 설탕에 재워 봤는데 매실 저리 가라 빛깔과 맛이 일품 이었습니다.
저희 고향 정족리는 그저 지지부진으로 사라지고 있어요. ㅋㅋ
사진과 같은 과일을 춘천지방에선 '오야주'라고 했어요. 경상도에선 '왜추'라고도 합니다. 오야주 서리하던 생각이 납니다.
ㅎㅎ 저는 춘천살면서 오야주는 처음이고 그저 고야라고만 ㅎㅎ오얏 일리가 있군요.감사
'왜추'란 말 오랫만에 들으니 고향생각이 절로 나네요. ^*^
어린 시절 고야의 시큼달콤한 맛을 꽤나 좋아했다. 하지만 덕전님처럼 실컷 먹지는 못했다. 우리 집에 고야나무가 없었으니까. 고야 먹던 그 시절이 그립습니다.
유년시절 절대빈곤시절이라 시광,살구, 고야, 뚱딴지,고구마 심지어는 감자까지 캐서 날것으로 까먹었지요. 오죽하면 목에 접칼을 목걸이처럼 걸고 다녔던 기억이 납니다.ㅋ
아무리 봐도 내 눈에는 자두인데 맛이 다른가 봅니다. 토종이 사라진다는데 관심을 갖어야지요.
자두는 고야보다 배는 더 큰 과일입니다.
김유정 단편문학에도 새고개란 지명에 고야가 많던 곳이라고 나오지요.ㅎㅎ
글쎄 아내도 같은 답을 해요. 토종 자두? 고야 개량종? 여하튼 그런 대세에 밀려 고야나무가 점점 사라지는게 우리를 슬프게 하지요. 그 유명한 봉사왕님도 모르시니 앞으로 몇년만 지나면 고야는 그저 명화의 대명사로 한정되겠지요.ㅎ
덜 익은거는 절대 먹지 마세요 토사걸리면 죽습니다.
네-. 덜 익었으나 약간 노란 빛을 띠면 자구가 돌았다고 마구 따 먹었어요. 시큼한 것을 ㅎ
고야와 고염은 또 다른것인가보죠 서울에 입성하던 날 서강쪽에서 고염이 노리끼하게 열린 걸 보았었습니다. 고야, 고염, 자두, 아무리 보아도 헷갈립니다.
빠하하 누님 고염이 아니고 고욤인데 감의 재래종 토종입니다.ㅋㅋㅋ누님의 가향은 어디신데 ㅎㅎ
고향집 뒤란과 논둑에도 밀고야나무 있었습니다. 한개만 던져주시어요. ㅋㅋ
와 젊은 분이 고야를 알고 있다니-.ㅎㅎ 고향이 어딘지요?
동화속에 나올듯 아름다운 곳이에요. 바로 홍천 내촌입니다.
덕전님 말씀대로라면 서울에서 첨본 그것이 맞아요. 고욤 고향을묻지 마세요. 이름도 묻지 마세요.
빠 우 으 묻지 마라 대중가요 제목같아서요.죄송 꾸벅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