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시 구역 넓어 학생들 검은점으로 보일 뿐 대부분 화질 낮아 인상착의 등 식별 불가능 전담 모니터링 직원도 없어 방범 기능 못해
도내 초등학교에 설치된 CCTV 대부분의 화질이 낮아 사람과 차량 식별이 불가능하고 전문 모니터 요원조차 없어 사실상 무용지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자가 방문한 A초등학교는 재학생 1,100여명을 보호하기 위해 급식소 앞과 건물 출입구, 건물 뒤편 주차장 등 모두 12곳에 CCTV가 설치됐다.
12곳의 CCTV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는 행정실과 숙직실에 각각 설치돼 있었지만 전담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직원은 없었다.
학교 관계자와 함께 기자가 학교내에서 찍힌 CCTV 내용을 모니터로 확인했는데 전혀 누구인지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학생 200여명이 다니는 B초등학교도 사정은 마찬가지.
체육관 옥상과 건물 3층 외벽 등 교내 5곳에 CCTV가 설치돼 있는데 감시 구역이 넓은 만큼 모니터에는 학생들이 검은점으로 나타났다. 화면에서 특정 학생의 얼굴을 확대했지만 사진이 깨지면서 사람 형태만 확인할 수 있었다.
CCTV를 납품하는 업체 등에 따르면 도내 초등학교에 설치된 CCTV는 대부분 41만, 52만 화소이다. 학교 CCTV 특성상 넓은 구역을 감시해야 하는데 41만, 52만 화소로 찍힌 화질로 외부인의 얼굴과 인상착의 등을 확인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CCTV 업체 관계자는 “41만 화소 정도면 CCTV에 잡힌 외부인의 동선 파악 정도만 가능하다”며“외부인을 확인하려면 100만화소(메가픽셀급) 이상의 스피드돔 CCTV를 설치해야 하는데 카메라당 100만원씩 차이가 나 다 바꾸기는 재정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B초등학교 행정실장은 “외부출입자가 맘만 먹으면 CCTV에 찍히지 않고도 교내에 들어올 수 있다”며“인력이나 예산 부족으로 고화질의 CCTV설치나 전담모니터링 직원을 두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도교육청은 학교 안전을 위해 2008년부터 올해까지 도내 347개 초등학교에 15억8,353만원을 들여 CCTV를 설치했다.
이영섭 도교육청 교육진흥과 장학관은 “학교 운동장 또는 교문 등 광범위 지역 촬영을 위한 CCTV는 100만 화소 이상급으로 교체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감사원이 공개한 지방교육행정 실태 감사 결과에서도 교내에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CCTV의 화질이 적어도 100만 화소 이상 돼야 하지만 조사대상 1만7,471대 가운데 1만6,922대(96.8%)는 50만 화소 미만의 CCTV가 설치돼 있어 식별이 불가능했다.
강경모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