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혹적인 꽃향기 속에서(446) – 깽깽이풀(제이드가든수목원)
깽깽이풀
2023년 4월 4일(목), 맑음, 제이드가든수목원
나의 심춘순례의 한 코스인 제이드가든수목원은 춘천시 남산면 햇골길 끄트머리 산골짝에 위치해 있다.
이 수목원은 자연지형을 그대로 활용하여 산책하기 적당하다.
이곳 봄은 작년보다 더 늦다. 벚꽃은 아직 피지도 않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몇몇 풀꽃들은 고왔다.
깽깽이풀에 대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의 내용을 함께 올린다.
깽깽이풀 [비추천명 : 깽이풀]
ㅇ 학명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Moore
ㅇ 과명
앵글러 -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APG Ⅳ-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ㅇ 일본명
타츠타소우(タッタソウ,竜田草)
ㅇ 영문명
Asian twinleaf
ㅇ 분포
중국, 러시아 / 한국(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ㅇ 생육환경
▶ 산골짝의 중복 이하에서 자란다. 북쪽으로 터진 계곡 입구의 동향 사면이 주요 생육지로 약간 습윤하고
반그늘인 곳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다.
ㅇ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ㅇ 크기
높이가 20-30cm 정도로 자란다.
ㅇ 잎
잎은 긴 엽병 끝에 달리고 원심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9cm로서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고 전체가 딱딱하며
연잎처럼 물에 젖지 않는다.
ㅇ 꽃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2cm로서 홍자색이며 1-2개의 꽃대가 잎보다 먼저 나와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4개이고 피침형이며 꽃잎은 6-8개로서 거꿀달걀모양이고 옆으로 퍼지며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ㅇ 열매
열매는 골돌로서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부리처럼 길며 종자는 흑색이고 타원형이다.
ㅇ 줄기
원줄기가 없다.
ㅇ 뿌리
근경은 짧고 옆으로 자라며, 근경에서 여러 잎이 나온다. 원뿌리는 단단하며 잔뿌리가 많다.
ㅇ 번식방법
▶ 실생 및 분주로 번식한다.
1. 실생번식 : 씨를 채취하여 바로 강모래 묘상에 뿌려 성장이 좋으면 2년 안에 꽃을 볼 수가 있다.
2. 분주번식 : 5-10㎝정도 높이의 풀이지만 포기나누기로 잘 번식하므로 매년 포기나누기를 하면 쿠션 모양이 된다.
산모래 등으로 한 배양토를 접시분에 반구형으로 불룩하게 흙을 돋우고 그 위에 심는다. 분을 놓는 장소는 봄부터
장마철까지는 양지, 그 이후는 반그늘에서 재배한다.
ㅇ 재배특성
보습성이 좋고 유기질이 풍부하여 비옥한 토양조건의 반그늘에서 재배한다. 동향의 완만한 경사면에서 재배하면
좋다. 재배에 강건하며 매화와 같은 흰꽃은 얕은 분에 무리를 지어 심으면 한결 앙증스럽고 운치있다.
ㅇ 보호방안
산야에 집단으로 분포하므로 개발로 인한 자생지 훼손이 쉽게 일어난다. 20 여 곳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는
풍부하나, 꽃이 아름다워 야생화로 도채가 많이 일어난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ㅇ 유사종
▶ 한계령풀(Leontice microrhyncha): 전체에 털이 없으며 뿌리는 땅 속 깊이 곧게 들어가고, 알줄기가 달린다.
ㅇ 특징
▶ 종자에 당분이 존재하는 꿀샘이 있어 개미 등의 곤충이 잘 물어서 전파시킨다. 따라서 자연상태에서는 개미들의
활동 범위내에서 일정한 범위로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경우가 많다.
▶ 자생지에 따라 독특한 형질을 나타내는 지역형이 뚜렷한데 크게 구분하여 북위38˚를 중심으로 남쪽에 생육하는
개체들은 잎이 전개되기 이전에 꽃이 피며 다화성으로서 관상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북쪽에 생육하는 개체들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크며 잎과 꽃이 동시에 피고 비다화성으로 관상가치는 떨어진다.
▶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67)
첫댓글 깽깽이풀은 여러 포기가 한데 모여있는 모습이 깔끔하고 아름답습니다.
구경 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귀하다는 깽깽이풀이 식물원치고 없는 곳이 없습니다.
야생에서도 있을 텐데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어제 청태산에 모데미풀 보러 갔는데,
깽꺵이풀도 있다고 하여 그곳에 온 사람들에게 물었더니 아는 사람이 없더군요.
그래서 청태산에서는 깽꺵이풀을 보지 못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