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곡) 동무 생각(思友) / 엄정행(Ten.)
이은상 詩, 박태준 曲
(봄)
봄의 교향악(交響樂)이 울려 퍼지는 청라(靑蘿)언덕 위에 백합 필 적에
나는 흰 나리꽃 향내 맡으며 너를 위해 노래 노래 부른다
청라(靑蘿)언덕과 같은 내 맘에 백합 같은 내 동무야
네가 내게서 피어날 적에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여름)
더운 백사장(白沙場)에 밀려 들오는 저녁 조수(潮水) 위에 흰 새 뛸 적에
나는 멀리 산천 바라보면서 너를 위해 노래 노래 부른다
저녁 조수(潮水)와 같은 내 맘에 흰 새 같은 내 동무야
네가 내게서 떠돌 때에는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가을)
서리 바람 부는 낙엽 동산 속 꽃진 연당(蓮塘)에서 금어(金魚) 뛸 적에
나는 깊이 물속 굽어보면서 너를 위해 노래 노래 부른다
꽃진 연당(蓮塘)과 같은 내 맘에 금어(金魚) 같은 내 동무야
네가 내게서 뛰놀 적에는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겨울)
소리 없이 오는 눈발 사이로 밤의 장안(長安)에서 가등(街燈) 빛날 때
나는 높이 성궁(城宮) 쳐다보면서 너를 위해 노래 노래 부른다
밤의 장안(長安)과 같은 내 맘에 가등(街燈) 같은 내 동무야
네가 내게서 빛날 때에는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노래(가곡): 동무생각 (사우. 思友) 아티스트: 엄정행(Ten.) 사,곡: 이은상 詩, 박태준 曲 앨범: 테너 엄정행 가곡집 2집 (바우고개 / 비목) 앨범정보: 한국음반, 1983년 발매 |
이은상 작시, 박태준 작곡으로 만들어진 가곡으로, 원 제목은 ‘사우(思友)'였으며
후에 '동무생각'으로 개명되었다.
노랫말은 춘하추동 계절 별 한 절씩 모두 4절로 되어 있다. (부르는 성악가에 따라
편의상 2절~3절로 불렀다.)
노산 이은상 선생이, 아버지가 설립한 마산 창신학교(기독교계) 고등과를 졸업하고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모교인 창신학교에 국어교사로 있을 때, 박태준 선생이
1921년 평양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마산 창신학교에 음악교사(1921~1923)로
부임해 옴으로서 교분이 두터워져서, 이 가곡 ‘사우(思友)’를 이은상 작사 박태준 선생
작곡으로 1922년 발표하였다.
가사의 배경이 된 사연은, 박태준 선생이 가끔 이은상 선생에게 자신이 나고 자랐던
고향 대구 이야기며, 짝사랑했던 여학생 이야기를 했고, 이은상 선생은 그 이야기를
모티브로 해서 시를 썼고 박태준 선생이 곡을 붙인 노래가 바로 ‘사우(思友)’였다.
대구 사람들은, 이렇게 박태준 선생이 태어나고 다녔던 계성학교와, 선생이 짝사랑
했던 신명여학교 여고생, 그리고 그 인근의 푸른 담쟁이 넝쿨로 뒤덮인 옛 선교사
사택과 東山 일대의 언덕에서 청순한 사랑이 짝사랑으로 움텄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푸를 청(靑) 자(字), 담쟁이 넝쿨 라(蘿) 자(字)를 붙여 '청라(靑蘿)언덕'이라 명명하고
‘동무생각’ 노래비를 세우고, 창작 오페라를 공연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