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CC동영상이나 애니 동영상이 재생 안되는 분들.. |
애니가 안나오거나 크게 보기가 안되시는 분들은 아래의 Adobe Flash Player 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시면 바로 나옵니다.
Adobe Flash Player 다운로드 <-- 클릭
새창이 뜨면 주소창 밑에 엑티브X 깔고 약관에 동의 하시고 '지금설치하기'를 눌러 다운로드 하세요^^ |
회원님들 모두 저희 카페에서 잠시나마 즐거운 시간 되시기를 바랍니다^3^ |
♨ 그래도 안되시는 분들은 ♨
▣ 동영상 끊김 없이 보는 방법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 동영상을 보다 보면 끊기거나 멈춰서 짜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이런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버퍼를 늘리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 할 수도 있습니다.
1. 미디어 플레이어를 수행하고 <도구>→<옵션> 메뉴로 들어감
2. <옵션>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성능> 탭을 누름
3. <내 연결 속도> 옵션을 고르고 목록 버튼을 눌러 을 선택
4. <네트워크 버퍼링> 항목의 버퍼를 10초로 지정
5. 다시 <네트워크> 탭을 누르고 항목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6. <프록시 설정> 항목에서 HTTP를 마우스로 두 번 클릭해 <프로토콜 구성>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프록시 서버 이용 안함> 옵션을 선택
끊김없이 동영상을 보실려면
플레이버튼을 누르신 후 일시정지를 해두시면
맨 아래의 플레이막대부분이 서서히 진행되어 가는게 보이실 겁니다.
빨간색은 동영상 재생이구요 오른쪽으로
희미하게 진행되어 가는 회색막대가 보이실 겁니다.
막대가 많이 진행되어 있거나 모두 진행이 되어 있으면
끊김없이 한꺼번에 동영상을 감상하실수 있습니다.
귀찮으시겠지만,
보시고자 하는 동영상을 끊김없이 감상하실려면
미리 플레이버튼을 누르시고 일시정지를 해 놓으신후
다른 검색이나 다른 동영상 감상후에 보시면 끊김없는
동영상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비퍼링이 중단되는 사례도 가끔있습니다
이런현상은 접속자가 많을 경우 일시적으로 생기는
현상입니다.
버퍼링(buffering)이란?
동영상이나 영화를 볼 때 버퍼링 중이라고 나오는데
아주 느리면 한 없이 기다리십니까?
정보의 송수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처리 속도의 차를 흡수하는 방법.
최근의 인터넷 방송이나 동영상 등의 서비스는 ASF나 WMV파일 포맷 방식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입니다. 즉, 송신 측에서 데이터를 보냄과 거의 동시에 수신 PC에서 재생시키는 방식입니다.
인터넷에서 이러한 스트리밍 방식의 동영상 파일을 클릭하여 미디어 플레이어로 동영상을 플레이하면 인터넷의 전송 상태가 항상 똑같을 수 없기 때문에 중간에 끊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때, 버퍼를 사용하면 미리 버퍼에 플레이할 일정량의 데이터를 받아놨다가 위와 같은 경우에 쓸 수 있으므로 화면이 끊어지는 현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잠깐] 스트리밍(stream) 서비스란?
기존의 동영상 파일(MOV, AVI 등)을 완전히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려면 수십분이나 기다려야하는 인내가 필요했는데,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여 일정량의 데이터만 받으면 곧바로 실시간으로 재생이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이런 기술로 인해 실시간 TV시청이나 VOD서비스가 가능해진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MPEG, CODEC(압축과 복원)기술을 사용하는데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 Media Technology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Real Network사의 Realsystem 솔루션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Window Media Technology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동영상 파일 포맷(WMV, ASF파일)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 ASF파일 - Window media encoder7.0 이전 버전에서 만든 파일
● WMV파일 - 그 이후 버전에서 만든 파일
▶ 버퍼(Buffer)란?
컴퓨터의 내부 메모리에 일정량의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을 말하며,
이 버퍼는 항상 일정량의 데이타를 채우게 됩니다.
이 버퍼가 인터넷 방송이나 동영상 재생시 실제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서버에서 방송 송출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접속 → 서버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PC로 네트워크 회선을 통해 전송 → 클라이언트PC는 받은 데이터를 버퍼(임시저장공간)에 일정량 저장 → 버퍼에 일정량의 데이터가 채워지면 데이터를 읽기 시작하여 재생됨
▶ 버퍼링(Buffering)이란?
서버는 데이타를 지속적으로 전송하게 되고, 접속한 클라이언트는 이 데이타를 지속적으로 메모리의 버퍼에 저장하게 되는 것 입니다. 만일 이 버퍼가 모두 비워진다면 클라이언트쪽에서는 더 이상 버퍼에서 꺼낼 데이타가 없으므로 다시 버퍼가 채워질때까지 일시정지상태에서 잠시 기다리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버퍼링이라고 합니다.
버퍼링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인터넷 회선불량으로 인해 데이타가 적절하게 전달되지 못하면 버퍼에 데이타를 원할하게 채워나가지 못하게 되고, 결국 버퍼를 채우는 속도보다 버퍼를 읽어가는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어느순간 버퍼가 비워지게 되며, 버퍼가 채워질때까지 기다리게 되어 버퍼링 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 입니다.
▶ 버퍼량 설정 방법
Window Media Player에는 5초분의 버퍼가 기본 설정되어 있는데 수정하려면,
도구->옵션->성능 탭의 네트워크 버퍼링에서 수정이 가능합니다.
▶ 인터넷 회선 용량(대역폭)과의 관계
동영상 재생시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Peer-to-Peer로 직접 연결되고 클라이언트 하나 하나가 일정한 대역폭(회선의 용량)을 요구합니다.
56kbps로 서비스할 경우 <56 X 청취자의 수> 만큼의 대역폭이 필요한 거지요.
56kbps로 방송을 송출하는데 5명이 접속했다고 가정하면 차지하는 대역폭은 다음과 같습니다.
송출자측의 사용 회선대역 : 56kbps X 5명 = 280kbps
청취자측의 사용 회선대역 : 56kbps
만약 ADSL사용자가 400kbps의 평균 업로드 대역을 가진다면 버퍼링 없이 들을 수 있는 접속자 수는 400 / 56 = 7.12... 즉, 7명이 되며, 이 이상의 인원이 접속하게 되면 버퍼링이 일어나게 됩니다.
28.8k로 방송 송출시 : 700k / 28.8k = 25명 ~ 30명
56k로 방송 송출시 : 700k / 56k = 12명 ~ 16명
64k로 방송 송출시 : 700k / 64k = 11명 ~ 14명
96k로 방송 송출시 : 700k / 96k = 7명 ~ 10명
128k로 방송 송출시 : 700k / 128k = 5명 ~ 7명
▶ 동영상 재생시 자주 끊어질 때
버퍼링은 미디어를 재생하기 전 여분의 미디어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두는 것이므로, 실시간 방송을 버퍼량 5초로 설정하였다면 5초 정도 늦게 재생되는 것입니다. 인터넷 회선 속도가 좋다면 버퍼링을 3초 정도로 하면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재생될 것이며, 반대로 회선 속도가 좋지 않아 동영상 재생이 끊긴다면 버퍼링을 2,30초 정도로 길 게 설정하면 끊기는 현상을 줄일 수 있겠지요
아래 영상을 볼 때 버퍼링을 줄이는 쉬운 방법
한번 시도 해보세요~! ^_^




이 방법은 윈도우 마이크로 소프트웨 정품을 써야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게 안 되면 위 설명을 참조하세요
영상 안보이시는 분은 참고
1. 내 PC에 설치된 플래시 버전 확인하기
아래 링크를 눌러 내 컴퓨터에 설치된 플래시 플레이어 버전이 10 인지 확인해 주세요.
박스 안에 들어 있는 숫자가 내 PC에 설치된 플래시 플레이어의 버전을 나타냅니다.
플래시 플레이어의 버전10 이면 플래시 플레이어의 버전9로 설치 해야합니다.
☞ Flash Player 버전 확인하기

2. 설치된 플래시 프로그램 제거하기
아래 링크에서 언인스톨러 (프로그램 제거기) 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시면 플래시 플레이어가 제거됩니다.
☞ Flash Player 제거 프로그램 다운로드받기
3. Flash Player 9 다운로드 받기
아래 링크에서 Flash Player 9를 다운로드 받고,
모든 브라우저를 종료하신 후 2개의 실행파일을 실행하시면 Flash Player 9 가 설치됩니다.
☞ Flash Player 9 다운로드받기
* 플래시를 재설치해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재부팅하신 후 프로그램 삭제→설치를 진행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