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내나라 문화유산 답사회 (SM Academy) 원문보기 글쓴이: 답사회장 (김신묵)
국보 제25호 - 공식명칭 :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慶州 太宗武烈王陵碑) - 지 정 일 : 1962.12.20 - 시대 : 통일신라
- 주소 : 경북 경주시 서악동 844-1번지
신라 제29대 왕인 태종무열왕의 능 앞에 세워진 석비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졌던 비(碑)들은 중국 당나라의 영향을 받아 받침돌은 거북 모양을 하고 있고, 비몸위의 머릿돌에는 용의 모습을 새겨져 있는데, 태종무열왕릉비는 이러한 양식이 나타난 그 최초의 예가 되고 있다.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김춘추
신라 29대 임금 태조무열왕 김춘추는 25대 진지왕의 장남 용수의 아들이며, 진평왕의 장녀 즉 선덕여왕의 언니 천명공주 소생이다.
아버지 용수가 죽은 후에는 어머니가 삼촌인 용춘에게 재가하였기에 용춘의 양자가 되었고 24살에는 화랑도의 제18세 풍월주에 올랐으며 이후 26, 27, 28대 진평, 선덕(여), 진덕(여)왕대의 정치 외교 문제에 중추적 역할을 하기에 이른다.
백제를 고립시키기 위하여 고구려와 동맹을 맺고자 갔다가 갇히게 되었으나 겨우 탈출하였으며 이후 친당정책을 주도하여 여러차례 당을 내왕하며 당 태종 이세민에게 병력지원을 약조 받았다. 이후 가야국 후예 김유신 등과 손잡고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하였으며 654년 진덕여왕이 죽자 신하들의 지지를 얻어 52세의 나이로 29대 임금이 되니 첫 진골출신 왕이다.
이후 김유신과 힘을 합쳐 삼국을 통일하는 초석을 닦게 되나 완전한 통일을 못보고 661년 6월에 59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으며 사후 시호를 무열이라 하였으며 태종이라는 시호가 추가되어 태종무열왕이라 부르게 되었다.
김유신의 누이중 동생 문희는 김춘추와 결혼하여 문명부인이 되었으며 언니 보희는 김춘추의 첩이 되었다. 30대 문무왕은 문명부인의 큰아들, 김인문은 차남이다. 또한 보희의 딸 요석공주는 김흠운과 결혼하였으나 백제와의 전투에서 사망하자 과부가 되어 원효와의 사이에 설총을 낳는 등 (원효대사가 무열왕의 사위 인 셈) 여러가지 일화가 얽혀있는 것이 특징이다.
태종무열왕릉
태종 무열왕릉은 경주 북서쪽, 지금의 경부고속도로 경주 IC 가까운곳 선도산의 남쪽 기슭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데, 신라 56대 왕릉중 어디가 누구의 왕릉인지 명확히 알 수 있는 것이 드물지만 태종 무열왕릉은 그 앞에 무열왕릉비(碑)가 서있어 확실하게 29대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능인 것을 알 수 있다. (사적 제20호)
능은 별다른 장식없이 약 100m에 달하는 커다란 봉분이지만 미끈하게 생긴 능선을 가진 아름다운 모습이다. 능 둘레에 자연석을 쌓고 드문드문 큰 돌을 받쳤으나 흙에 묻혀 잘 보이지 않는다. 이후 통일신라시대에서는 왕릉에 여러가지 장식을 세우기 시작한다.
태종 무열왕릉 뒷쪽으로는 거대한 능 4기가 나란히 있는데 누구의 능인지 밝혀지지 않은채 서악동 고분군 (사적 제142호)로 불리고 있으며 아마도 무열왕의 선조들로 짐작할 뿐이다.
<태종무열왕릉 전경>
태종무열왕릉비 (국보 제25호)
태종무열왕릉비는 능 앞쪽, 그러니까 매표소에서 표를 끊고 입장하노라면 오른쪽 비각안에 세워져 있는데 귀부와 이수만 남아있다.
비신은 없지만 머릿돌인 이수의 가운데에 '太宗武烈大王之碑(태종무열대왕지비)'라고 돋을새김 되어 있어 능의 주인을 알게 해준다.
이 글씨는 무열왕의 둘째아들이자 명필인 김인문이 쓴 것으로 전해지며 김인문은 길건너에 묻혀 있다.
이수는 양쪽에 세마리씩, 좌우 합하여 여섯마리의 용이 서로 얽혀 여의주를 희롱하며 받들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뛰어난 조각이다.
귀부는 거북이가 머리를 높이 쳐들고 힘차게 앞으로 나가려는 형상으로 보이며 실제로 앞발은 5개, 뒷발은 4개를 조각하여 뒷발을 힘있게 땅을 박차고 미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거북이 등에는 육각의 귀갑무늬를 새기고 당초문과 구름문양을 화려하게 조각하여 뛰어난 예술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귀부는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것중 가장 오래된것이다. 그만큼 국보의 가치가 충분히 있는 것이다.
<무열왕릉비 비각>
<비신은 없고 비좌와 이수만 남아 있다.>
<옆모습... 앞발은 5개, 뒷발은 4개의 발가락이다. 비좌에 얹힌 이수의 옆면을 보면 3마리의 용을 새겼음을 알 수 있다.>
<이수는 둘로 깨어졌으나 뛰어난 조각솜씨는 충분히 보여지며 가운데 글씨도 알 수 있다.>
<이수의 뒷모습, 여의주를 다투고 희롱하는 모습이다.>
<거북머리를 위로 치켜 들었는데 목 둘레에도 주름을 의미하는 조각을 새겼으며 붉은 색이 돈다. 힘을 주는 모습이리라.>
< 계 속 >
첫댓글 연재 문화재해설 시리즈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